Table of Contents

서 론: 국가안보와 민군관계 제1부 군사제도와 국가: 이론적, 역사적 관점들 제1장 전문직업으로서의 장교제도 전문직업과 군대 / 전문직업의 개념 / 군사전문직업 제2장 서구사회에서의 군사전문직업의 대두 새로운 사회형태 / 용병 및 귀족장교제도 / 18세기의 귀족적인 제도/ 직업군인의 윤리 : 군사적 기교와 천부의 재능 / 직업군인의 기원 / 직업군인제도의 출현(1800∼75)/ 유럽의 군사전문직업제도, 1875년 / 직업윤리의 형성 제3장 군인정신-군대 윤리의 보수적 현실주의 군인정신의 의의 / 직업군인 윤리 제4장 권력, 전문직업 및 이데올로기 : 민군관계이론 문민통제의 형태 / 민군관계의 두 수준 / 객체적인 문민통제의 균형 / 민군관계의 형태 제5장 독일과 일본의 민군관계 독일형과 일본형 / 독일 : 전문직업적 군국주의의 비극 / 군사적 신들의 죽음 / 일본 : 정치적 군국주의의 연속성 제2부 미국의 군부권력 : 역사적 경험, 1789~1940 제6장 이데올로기적 불변요소 : 자유주의적 사회 대 군사전문직업주의 미국 민군관계의 역사적 불변요소들/ 미국에서의 자유주의의 우세 / 군사문제에 대한 자유주의적 접근방법 / 자유주의적 정치에서의 군 출신 영웅 제7장 구조적 불변요인 : 보수적 헌법 대 문민통제 객관적 문민통제의 규정이 없는 헌법 / 헌법 기초자들과 문민통제 / 민병대 조항과 군사 연방주의 : 제국 내의 제국 / 권력의 분립 : 연방정부군에 대한 2중 통제 / 최고사령관 조항 : 정치?군사적 위계질서/ 문민통제와 입헌정부 제8장 남북전쟁 전 미국 군사전통의 뿌리 미국 군사사상의 3요소 / 연방주의의 실패 : 해밀턴의 실패로 끝난 전문직업주의 / 기술주의 / 대중주의 / 전문직업주의 제9장 미국 군사전문직업의 창출 산업평화주의의 지배 : 산업주의 대 군사주의/ 고립의 시대 : 암흑과 광명 / 창조적 중심 : 셔먼, 업튼, 루스 / 전문직업주의의 제도들 / 미국 군인정신의 형성 제10장 신해밀턴주의적 타협의 좌절, 1890~1920 신해밀턴주의의 성격/ 마한과 우드 : 군사평론가의 비극 / 실패로 끝난 사회와의 일체감, 1918~1925 제11장 양차 세계대전 사이의 민군관계 불변성 실업계 개혁파의 적대감과 군사전문직업주의 / 개혁적 자유주의 : 군사주의의 실용주의적 관례/ 군사제도 / 미국의 군인 윤리, 1920~1941 제3부 미국 민군관계의 위기, 1940~1955 제12장 제2차 세계대전 : 권력의 연금술 총력전 중의 민군관계 / 국가 대전략에 대한 군부의 권한과 영향력 / 전시 권한에 대한 군부의 적응 / 경제동원에서의 민군관계 / 조화와 알력의 결과 제13장 전후 10년 동안 미국의 민군관계 민군관계의 대안(代案) / 전후 민군관계에 대한 관점 / 미국 사회에 대한 군부의 영향력 제14장 합동참모본부의 정치적 역할 정치적 역할 : 본질적 역할과 대변적(代辯的) 역할/ 트루먼 행정부의 합참 / 한국전쟁 : 장군들과 군대 및 일반 국민 /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첫 2년 동안의 합참 결 론 제15장 권력의 분립과 냉전시대의 국방 권력분립의 충격/ 권력분립 대 기능의 분리 / 권력분립 대 군의 전문직업주의 / 권력분립 대 전략적 일원론 제16장 국방부 내 민군관계의 구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0년간의 조직상의 문제들 / 합동참모본부 : 법적 형식과 정치적 실체 / 예산회계국장 : 국방성의 초자아 / 국방장관의 역할 / 국방장관의 필요성 제17장 새로운 균형을 향하여 국가안보의 필요조건/ 이념 환경의 변화 / 보수주의와 국가안보 / 군사적 이상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