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우리 시대 최고의 감성 작가, 노희경! 그녀의 첫 에세이가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왔다!! “사랑하지 않는 자는 모두 유죄다. 자신에게 사랑받을 대상 하나를 유기했으니 변명의 여지가 없다.” 어느 누가 저리 확신을 가지고 사랑을 논할 수 있을까. 지난 20년간 세상의 아픔을 어루만지며 진정한 사랑과 이해를 이야기해온 작가 노희경의 말이라면 많은 이들이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까. 저 치기어린 문장이 가진 깊은 내면을 짐작할 수 있을 테니까. 2008년, 사랑하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 모두에게 뜨거운 반향을 일으켰던 노희경의 첫 에세이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가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 곁을 찾아왔다. 그동안 세상은 변했고, 사랑의 모습도 변했다. 하지만 사람을 사람답게, 세상을 세상답게 만드는 건 결국 ‘사랑’뿐이라는 사실은 여전하다. 때문에 사랑과 위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장, 한 문장 적어내린 그녀의 에세이는 그때도, 지금도 여전히 아름답다. 상처 받은 당신에게, 그리움 많은 당신에게, 미련 잦은 그대에게 보내는 참으로 뜨거운 위로! “더 사랑했다 한들 한 계절 두 계절이고, 일찍 변했다 한들 평생에 견주면 찰나일 뿐이다. 모두 과정이었다. 그러므로 다 괜찮다.” 개정판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는 노희경 작가의 내밀한 개인 고백으로 가득 차 있다. 세상을 원망하고 증오하는 데에 쏟은 시간조차 더하지도 않았고 덜어내지도 않았다. 버림받은 기억을 붙들고 상대를 집요하게 괴롭히고자 했던 치기 어린 사랑도 꺼내놓았다. ‘노’씨 성을 가진 게 죽을 만큼 싫을 정도로 미워했던 아버지, 돌아가신 뒤에 가슴에 한으로 남은 어머니, 가슴에서 차마 이별하지 못하는 자신의 드라마와 잊지 못하는 장면을 간직한 영화 이야기까지…. 하지만 그 모든 이야기들은 결국 사랑과 위로로 귀결된다. 그리고 그러한 귀결은 그녀의 작품 속으로 오롯이 파고 들어간다. 사람을, 사랑을, 미움을, 원망을, 그리고 다시 사람을 떠올리며 만든 그녀의 작품 속 인물들은 그래서 참 아프지만 씩씩하다. 도네이션, NGO 활동 등 ‘사랑’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작가! “어느 날 말로만 글로만 입으로만 사랑하고, 이해하고, 아름답다고 소리치는 나를 아프게 발견했다. 이제는 좀 행동해보지, 타일러본다.” 한때는 세상아 무너져라, 나도 죽고 너도 죽자, 악을 쓰던 그녀였다. 하지만 글을 쓰며 거친 마음의 굴레에서 조금씩 벗어났다. 때로는 가슴 한쪽이 아련해서 누구라도 원망하지 않고는 살 수 없는 게 보통의 삶이라는 걸 깨달았다. 그 시간들 속에서 가슴에 박힌 두 단어가 바로 개정판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를 관통하고 있는 ‘사랑과 위로’다. 그녀가 단지 입으로만 사랑과 위로를 이야기했다면 그녀의 글이, 작품이 가진 내면은 필시 좁고 얕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행동했다. 국제 개발 및 구호 NGO 단체에서 배고픈 사람, 아픈 사람, 여리디 여린 아이들을 위해 발로 뛰었다. 어쩌면 사랑과 위로보다 밥이, 약이, 교육이 더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저자 인세 중 일부 역시 그들을 위해 사용된다. 그녀의 도네이션에 동참하기 위해 출판사 수익의 일부도 기부된다. 10개의 새로운 에세이, 10개의 친필 메시지, 그리고 그녀가 20년간 발표해온 작품 속 명대사 수록! “어른이 된다는 건 상처 받았다는 입장에서 상처 주었다는 입장으로 가는 것.” 개정판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는 새롭게 옷만 바꾼 것이 아니다. 내용도 이전보다 더욱 알차게 채워졌다. 새롭게 수록된 10개의 에세이는 그녀가 얼마나 치열하게 세상을 살아내는지, 얼마나 고민하며 작품을 써내는지를 다시 한 번 절절하게 보여준다. 그녀가 말하는 사랑이 비단 이성간의 사랑뿐 아니라 부모 자식 간의 사랑, 친구와의 사랑, 동료와의 사랑, 작품과 작가와의 사랑, 그 모든 것이라는 걸 강조라도 하려는 듯이. 그녀의 친필 메시지와 지난 20년간 발표해온 작품들에서 뽑아낸 그녀의 명대사들은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속삭인다. 사랑하라, 그리고 이해하라. 청춘이 아프지 않다는 건 새빨간 거짓말이지만, 살아보니 그런 게 인생이더라. 그녀의 바람처럼 이 책이 독자들에게 친구의 응원처럼, 혹은 어머니의 가슴처럼 당신에게 행복을 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