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주의 미학과 예술작품의 존재론

416p
Where to buy
Rate
3.5
Average Rating
(3)
여성의 심미적 경험과 예술적 실천을 해명할 미적 기초 개념을 제시하고자 만든 책. 2006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선정한 우수 논문을 수정, 보완하여 만들었다. 이 책의 중심에는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예술작품의 존재에 대한 탐구가 있다. 또한 개별 작품의 의미와 가치가 어떻게 평가될 수 있을 것인지를 살핀다. 책은 기존의 전통 미학에 뿌리를 박고 있는 성차별적 관점에 대해 비판에서 시작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자는 전체 패러다임의 변경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음 장에서 저자는 하나의 사물이 예술작품이 되는 과정을 살핀다. 그리고 예술작품이란 형식적 구조만이 아닌 그것을 산출한 맥락과 관점도 작품의 내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논의한다. 저자는 예술의 실행이 밟아 나가는 세밀한 경로와 그 물리적 귀결물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그리고 작품의 심미적 정체성을 논의한다. 끝으로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한국 현대 여성미술을 중심으로 작품의 성별 정체성 문제를 살펴본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글 Ⅰ 여성주의 미학은 왜 필요한가? 1. 심미적인 것과 예술적인 것 2. 심미적 주체와 여자들 3. 여성주의와 예술작품의 존재론 Ⅱ 하나의 사물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1. 고립주의와 맥락주의 2. 역사적 맥락주의 분석 2-1. 의도적 역사주의 2-2. 스타일 역사주의 3. 과거 의존성 대 회고성 4. 서사적 맥락주의 4-1. 정체성 확인의 서사 4-2. 서사의 양태-반복, 확장, 거부 4-3. 서사의 객관성과 실천적 추론 5. 여성예술에 대한 정체성 확인의 서사 Ⅲ 개별 작품의 심미적 내용은 어떻게 확인되는가? 1. 심미적 수반론 비판 2. 심미적 속성의 실재론 비판 3. 실행성과 귀속성 3-1. 행위로서의 예술-발견적 과정과 물리적 귀결물 3-2. 해석자와 귀속성 3-3. 실행성과 개별화 조건 4. 심미적 경험-확장된 내부 Ⅳ 여성예술과 여성주의 미학 1. 구조주의과 작품의 성별 정체성 2. 여류 예술, 여성적 예술, 여성주의 예술 3. 여성주의와 심미적 액티비즘 나오는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그림목록

Description

“여성주의 미학은 가부장제적 예술과 현실을 종식시키는 심미적 전략이자 행동이다.” 예술의 역사에서 여성은 거의 대부분 대상의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예술작품에 대한 여성 주체의 심미적 경험은 존재하지 않았는가? 만일 존재했다면, 그것이 미학과 예술사 안에서 진지하게 다뤄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들의 심미적 경험은 남성들의 심미적 경험과 다른가? 동일한 작품에 대한 심미적 경험에서 성별이 만들어내는 차이는 무엇인가? 2006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선정한 우수 논문을 수정ㆍ보완하여 만든 『여성주의 미학과 예술작품의 존재론』은 이런 문제들을 제기하며 여성의 심미적 경험과 예술적 실천을 해명할 긍정적인 심미적 기초 개념과 이론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그 중심에 ‘예술작품의 존재론’을 두고 성차별적 불균형과 그로 인한 억압이 지속되고 있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예술작품은 과연 어떤 존재이며, 개별 작품의 의미와 가치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을 것인지를 탐구한다. Ⅰ장: 전통 미학의 이론적 결함은 단지 미학과 예술사 안에 여성들을 첨가하고 섞음으로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여성과 여성주의자들 스스로 전통 미학의 뿌리에 자리 잡고 있는 성차별적 관점을 비판하고 전체 패러다임의 변경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Ⅱ장: 하나의 사물이 어떻게 예술작품이 되는지, ‘예술로서의 정체성 확인’의 문제를 다루면서 예술작품이란 작품의 지각적 표면, 형식적 구조만이 아니라 그것을 산출한 맥락과 관점을 작품의 내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논의한다. Ⅲ장: 예술의 실행은 예술적 목표의 설정, 목표를 성취할 방법, 실제 체현 과정 등 복합적이고 세밀한 경로를 밟아 하나의 물리적 귀결물에 도달한다. 예술작품의 심미적 정체성을 논의한다. Ⅳ장: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한국 현대 여성미술을 중심으로 하나의 작품이 특정 성별에 연루된 것으로 확인하는 작품의 성별 정체성 문제를 다룬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