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의 해부

노스럽 프라이 · Humanities
70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9(23)
0.5
4
5
Rate
3.9
Average Rating
(23)
Comment
More

영어권 최고의 문학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비평가 노스럽 프라이가 문예비평의 범위·이론·원리, 그리고 기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 우리가 자연에 대해 알기 위해 물리학을 배워야 하는 것처럼 문학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비평'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비평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객관화시킨다. 즉 문학비평이 '좋다 싫다' 혹은 '옳다 그르다'의 가치판단 차원이 아닌, 문학에서 독립된 고유한 사고체계인 동시에 지식체계라는 것. 책은 이같은 '문학비평의 과학화'를 4편의 에세이를 통해 깊이 있게 담아낸다. 먼저 첫 번째 에세이 '역사비평 -양식의 이론'에서 저자는 주인공의 행위능력에 따라 문학양식을 5가지(신화, 로맨스, 상위모방, 하위모방, 아이러니)로 구분하고, 이들 양식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중점적으로 밝힌다. 두 번째 에세이 '윤리비평 -상징의 이론'은 프라이의 '원형적 상징'에 대해 다룬 것으로 그의 신화비평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부분이다. 세 번째 에세이인 '원형비평 -신화의 이론'은 이 책의 가장 중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데 여기서 저자는 문학작품의 공통원리로 '신화'와 융의 '집단 무의식' 개념을 내세운다. 신화를 계승, 변화시키고 풍성하게 하는 것을 문학이라고 본 프라이는 희극, 비극, 로맨스 등 각 장르의 다양한 작품 속에서 신화적 원형들을 추출해낸다. 그리고 마지막 에세이 '수사비평-장르의 이론'은 시, 산문, 희곡 등의 이야기을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을 장르별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82년에 출간된 <비평의 해부>를 새롭게 고쳐 펴낸 개역판으로 옮긴이는 꼼꼼한 주와 함께 책 전체의 요약문을 실었다.

Rating Graph
Avg 3.9(23)
0.5
4
5

Author/Translator

Comment

3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 문학이 되어버린 비평 / 임철규 - 머리말과 감사의 말 도전적 서론 첫번째 에세이 역사비평 - 양식의 이론 1. 서사양식 : 서론 2. 비극적 서사양식 3. 희극적 서사양식 5. 주제적 양식 두번째 에세이 : 윤리비평 -상징의 이론 1. 서론 2. 축자적 양상와 기술적 양상 : 모티프로서의 상징과 기호로서의 상징 3. 형식적 양상 : 이미지로서의 상징 4. 신화적 양상 : 원형으로서의 상징 5. 신비적 양상 : 단자로서의 상징 세번째 에세이 : 원형비평 -신화의 이론 1. 서론 2. 원형적 의미의 이론(1) : 묵시적 이미지 3. 원형직 의미의 이론(2) : 악마적 이미지 4. 원형적 의미의 이론(3) : 유비적 이미지 5. 뮈토스의 이론 : 서론 6. 봄의 뮈토스 : 희극 7. 여름의 뮈토스 : 로맨스 8. 가을의 뮈토스 : 비극 9. 겨울의 뮈토스 : 아이러니와 풍자 네번째 에세이 : 수사비평 -장르의 이론 1. 서론 2. 계기의 리듬 : 예포스 3. 지속의 리듬 : 산문 4. 데코럼의 리듬 : 극 5. 연상의 리듬 : 서정시 6. 극의 형식 7. 주제 문학의 형식(서정시와 에포스) 8. 지속적 형식(산문픽션) 9. 백과전서적 형식 10. 비문학적 산문의 수사학 잠정적 결론 - 용어해설 - 노스럽 프라이 연보 - 찾아보기

Collections

11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