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과 철학 강의

김용옥
299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9(36)
0.5
4
5
Rate
3.9
Average Rating
(36)
Comment
More

도올이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된'논술세대를 위한 철학교실'을 강의하는 동안에 쓴 글들을 엮었다. 제1권은 '논술' 편으로, 현대사론을 중심으로 논술과 폭력의 주제를 조망하면서 논술이 과연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논술과 철학의 제문제, 그리고 논술답안작성에 필요한 문장론이 학생들의 글을 교정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펼쳐진다. 제2권은 '철학강의' 편으로, 철학사의 제문제를 우리 일상적 체험의 실례를 통해 서술한다. 중고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철학강의에서 주요개념을 파악하여 논술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9(36)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1권 1 논술과 폭력 - 현대사론 논술이란 무엇인가 폭력의 거부 일본의 만행 무장투쟁의 진실 대종교 공산주의 중국의 공산혁명과 조선의 독립운동 민족해방구 일제강점하의 공산주의 어필 요소 계급투쟁과 민족해방 복벽운동 동북항일연군 인도주의와 교조주의 독립의 의미 친일과 항일 국공내전 동족상잔의 죄악 남침 부김을 묻지마라! 건국준비위원회 인민위원회 미군정의 무지 6.25전쟁은 8.15해방에서 이미 시작 동아시아 30년전쟁 마오의 행운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군, 광복군 김일성이라는 역사적 인물 소련의 현명한 정책 김일성의 행보 박헌영의 착오 전쟁준비와 조선의용군 스탈린과의 회담, 마오와의 회담 전쟁의 개시, 그리고 정전 세 가지 착오 6.2 전쟁은 조선역사의 퇴보 호 치민 항일투쟁의 모든 가치를 무화 이승만은 6.25가 살려놓았다 이데올로기의 허구성 폭력의 세기와 논술의 세기 프롤레타리아 독재 북한사회와 남한사회 박정희씨에 무기언도 박정희의 생애 박상희의 죽음 국방 경비대 조직 속의 남로당원 스탈린: 남조선 군대에 우리 사람 침투현황은? 4.3 제주민중항쟁 서북청년단의 만행 여수.순천 항명사건 박정희의 체포 백선엽 육본 정보국장 6.25가 박정희를 살렸다 그레고리 핸더슨 보고서 5.16 쿠데타에 대한 김일성의 시각 황태성사건 근현대사 속의 박정희 숙군과 정군 4.19와 5.16 끊임없는 신념의 배반 전두환과 박정희 피바다 금남로 산 자들아! 모여서 함께 나가자! 인간의 기본적 권리 폭력과 논술 논술세대의 논술의식 2 논술과 철학의 제문제 조선왕조의 논술시험 언어와 사고 일상언어 개념의 족보들 한국말 외투 속에 감추어진 서양말 내가 곧 희랍인? 개념의 족보학과 철학 뮈토스와 로고스 자연에 관한 탐구 실제로 있는 것 파르메니데스 - 플라톤의 존재혁명 존재론 리어왕 논술과 철학 사고력과 철학 철학의 습득방법 철학사 철학은 왜 어려울까? 첫째, 개념의 상용성과 삶의 상용성 둘째, 철학과 시대정신 셋째, 존재론의 폭력 넷째, 철학과 현대사 다섯째, 불통번역 존 록크의 경우 록크의 관용론 인식론의 추발 왜 하필 「인간오성론」인가? 옌 후우의 경우 옌 후우의 번역문장론 옌 후우의 폐해 우리나라 고상한 지성의 전형 철학을 쉽게 하는 방법 1. 알수 있는 것만 정확히 알아도 된다 중국철학 인도철학 한국철학 일본철학 2. 철학자의 권위를 인정치 말라! 3. 종교적 신앙은 사유의 단절 청소년의 종교교육 도그마 종교적 습벽의 확대 종교전쟁 서양철학사를 묶고 있는 종교의 사슬 스피노자 쇼펜하우어 존재론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럿셀의 기술이론 직접지식과 기술지식 오캄의 면도날 4. 핵심적 개념만 집중적으로 이해하라 5. 좋은 선생님께 물어라 3 논술문장론 말과 글 글에서 빠지는 것 구어와 문어 버내큘라 논술은 글이다 이해가능성 1. 글의 대상층 기준 2. 글씨 잘 쓰기 3. 의미의 면적이 좁은 단어 선택 4. 머릿속에서 먼저 대강을 구성 5. 명사적 구성법보다는 동사적 구성 6. 우리말의 주어에 관한 바른 이해 주제-설명 7. 문장연결기법 8. 중언부언의 오류 9. 대구법의 다양한 양식활용 10. 비유의 동원 소피스트 유세객 11. 일개국어화자 대상의 원칙 12. 기호의 일관성 13. 국어순화주의의 한계 먹거리라는 말은 넌센스 14. 평소의 문장훈련 방법 15. 교정의 중요성 에필로그 우리 역사와 실존의 회고 플레타르키아의 좌절 역사는 진보하지 않는다 논술을 통한 조국의 희망 참고 인용서 목록 2권 1 철학으로 가는 길 도올이란 내 호의 의미 지더렸던 어린 시절의 추억 나의 최초의 철학적 체험과 신발의 신비 내 발가락의 생김새와 구조 그리고 보편성 신발을 바로 신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신발과 발의 차이 내 발에 과연 오른쪽과 왼쪽이 있을까? 나의 발의 절대성과 신발의 상대성, 그리고 당위성의 문제 나는 왜 신발을 바르게 신어야 하는가? 대칭의 의미 우리 발 대칭의 구조적 특성 신발의 구조는 우리 발의 고유구조에서 파생되었다 구조와 장기의 길 장기에 내재하는 스트럭춰 장기의 구조의 보편성도 시공을 초월하는 것이 아니다 철학과 역사의 차이 나는 왜 맹추였나? 어른들은 나에게 그 구조적 상관관계를 가르쳐주지 않았다 날카로운 반박 2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과연 정의 가능한가? 철학에 대한 모든 정의는 정의자에 관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