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너, 우리

뤼스 이리가라이 · Social Science
14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8)
0.5
3.5
5
Rate
3.5
Average Rating
(8)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이 책의 저자 뤼스 이리가라이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가장 명쾌한 소재를 제공한다. 언어.권력.여성. 성(gender) 그리고 가부장적 신화에 대한 이 일련의 짧은 에세이들은 현대사회에서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있다. 성과 문법의 불공평해보이는 규칙들을 가진 언어는 세계에 관한 남근 중심의 가설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예를 들어 '선사시대'라는 말이 그러한데, 이것은 단지 가부장 체제로 구성되는 시간의 범위 밖에 있기 때문이다. 계보, 교환의 법칙, 상징적 경제, 이 모든 것이 남녀의 차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용어로 작용한다. <나>는 <너>와 똑같지 않고, 남녀는 단순히 거울에 비친 대등한 존재들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이 차이의 인식이 이리가라이가 우리 문화, 우리 세계에서 꿈꾸는 변화의 핵심이다. 여성의 어머니로서의 경험, 나이, 美라는 제도, 사회에서 에이즈를 다루는 태도, 사랑의 문화적 개념, 사회 변화가 어떻게 언어 변화에 의존하고 있는지, 그리고 왜 어머니만 딸을 교육할 수 있는지, 여성들이 왜 자신의 주체성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깊이 숙고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제자리를 찾을 때 비로소 여성은 여성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그들의 욕구와 욕망, 권리와 의무가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는 문화적 수단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구분된 여성으로서의 '나'가 존재할 때 비로소 어떤 여성이든 또 다른 '너'에 동참하여, 복수의 '우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5(8)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1. 개인적인 기록 2. 여성 족보의 무시 3. 종교적 신화와 세속적 신화 4. 여성의 담화와 남성의 담화 5. 모성의 질서에 관하여 6. 차이의 문화 7. 여성으로서의 글쓰기 8. 나는 에이즈에 걸리지 않을 것이다 9. 성과 언어의 성 10. 생명의 권리 11. 왜 성별화된 권리를 정의하는가? 12. 남성보다 더 많은 여성 13. 당신의 건강이란 무엇인가, 누구의 것인가? 14. 우리들의 미를 어떻게 창조해야 하는가? 15. 몇 살이십니까? 16. 언어의 대가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