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어니스트 존스 탄생 130년 출간 60주년 기념 국내최초 번역 ! 근대문학,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햄릿'을 해석하다 ! “이 모든 해석들은 너무나도 빈약하다. …… 해석의 시도들로 보건대, 비극이 자아내는 효과에는 다른 기원이 있으니 그 기원을 발견해 내야 하는 것은 아닐까?” ― 지크문트 프로이트, ‘미켈란젤로의 모세 상’ 사제(師弟)의 새로운 ‘햄릿’ 해석 ‘햄릿과 오이디푸스’는 프로이트가 극찬한 어니스트 존스 박사의 ‘햄릿’에 대한 비평서로서 정신분석학의 세계적인 명저로 꼽힌다. 의학박사이자 정신분석학계의 손꼽히는 대가인 존스의 탄생 130년, 출간 60주년을 기념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번역되었다. 미국정신분석학회와 영국정신분석학회를 설립하고, 국제정신분석학회의 종신 회장을 지낸 존스의 이 책은 근대문학의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라고 불리는 ‘햄릿’의 프로이트적인 해석으로서는 최초이자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신분석학자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완고한 의사이면서 동시에 자신감으로 충만한 문학 비평가이기도 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소설과 시를 탐독한 ‘독서광’이었기에 훗날 정신분석의 적용 영역을 문학에까지 확장하는 데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특히 그는 자신의 ‘햄릿’ 해석에 누구보다도 자신감에 차 있어서, “정신분석학이 ‘햄릿’의 제재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연관 짓고 나서야 비로소 이 비극이 빚는 신비한 효과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프로이트는 제자인 어니스트 존스(Ernest Jones, 1879~1958)가 훗날 자신의 분석을 “완벽하고 참신하게 발전시켰다”고 극찬했다. 프로이트의 절친한 벗이자 제자인 어니스트 존스 박사는 ‘햄릿과 오이디푸스’에서 프로이트의 ‘햄릿’ 해석뿐 아니라, ‘햄릿’에 숨겨진 수수께끼를 명징하게 풀이함으로써 문학사의 난제를 해결했다. 햄릿은 왜 임무를 유예하는가? ― 기존의 ‘주관론’과 ‘객관론’ 셰익스피어의 비극 ‘햄릿’은 4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세계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왔고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여러 차례 낭독되고 상연되어 왔다. 셰익스피어는 ‘햄릿’에서 인생의 갈등에 관한 철학적 성찰을 유려한 문체와 함축적인 표현으로 잘 나타낸 것으로 특히 유명하다. 그런데 희곡 ‘햄릿’은 겉보기에는 명확하고 단순한 것 같지만 사실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대사와 장면으로 가득한 작품이다. 이 수수께끼 가운데 최대의 난제는 단연 햄릿의 고뇌가 도대체 무엇 때문이냐는 것이다. 주인공 햄릿은 극 내내 아버지의 원수인 숙부를 제거하는 임무를 끊임없이 유예한다. 이 갈등 상황을 야기한 원인에 대해 수많은 주장이 제기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어떤 비평가들은 햄릿이 기질적으로 생각을 너무 많이 해 행위하는 능력이 감퇴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주관론’) 또 어떤 이들은 햄릿이 복수를 하기에는 객관적인 상황이 너무나도 불리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객관론’) 클라이맥스를 맨 뒤에 배치하기 위해 행동을 유예시킨 것이라는 주장, 햄릿은 아예 고민하거나 망설인 적도 없는데 사람들이 오해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어니스트 존스는 ‘햄릿과 오이디푸스’에서 기존 해석들을 하나하나 논파하며 이 오래된 수수께끼를 정신분석학의 틀로써 명쾌하게 풀어낸다. 가장 중요한 해석인 ‘주관론’과 ‘객관론’을 살펴보자. 존스는 괴테로 대표되는 관점, 즉 햄릿이 본래 유약한 사람이라 행위하는 능력이 약하다는 의견을 지적한다. 괴테는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에서 등장인물의 입을 빌려 이렇게 적는다. “나로서는, 한 영혼이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무거운 의무적 행위를 셰익스피어가 표현하려 했다는 게 분명하다고 봅니다. ……그의 본성은 너무나도 순수하고 고귀하고 더없이 도덕적이지만, 영웅을 구성하는 대담함의 요소가 없기 때문에, 이 본성은 지탱하지도 버리지도 못할 짐에 깔려버립니다.” 그러나 존스는 햄릿의 행동이 언제나 단호했음을 상기시킨다. 폴로니어스를 죽이고, 해적들을 공격하며, 길든스턴과 로젠크란츠를 계획적으로 곤란에 빠뜨리고, 애인과 어머니를 격렬하게 비난할 뿐 아니라 레어티즈의 결투 신청을 주저없이 받아들이고, 겁없이 밤중에 유령을 혼자서 따라간다. 햄릿은 유약하거나 온건하지도 않고, 행동력이 부족한 사람도 아니다. 그는 용기로 충만했으며 더없이 단호한 청년이었다. “신경 곳곳에 폭약을 심어놓고 정신은 다이너마이트 같은 이 남자가 상념 많고 나태한 인간의 상징이 되다니, 아이러니한 운명의 변덕이 틀림없다.” ― 브란데스(덴마크의 비평가), 본문 54쪽 그렇다면 햄릿은 몇몇 비평가들의 지적처럼 객관적인 상황이 자신에게 불리했기 때문에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주저했을까? 이를테면 아버지가 암살당한 것을 입증하지도 못하고 숙부를 죽였다간 격렬한 비난에 휩싸였을 것이기 때문에 망설였다는 지적은 타당할까? 존스는 ‘햄릿’에 나타난 정황이 이 견해에 정면으로 반대라는 사실을 지적한다. 첫째, 햄릿은 백성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는 처지였다. 단적인 예로 국왕 클로디어스(햄릿의 숙부)는 햄릿이 신하 폴로니어스를 살해했어도 함부로 처벌하지 못한다. “엄한 법을 적용해선 안 됩니다. 그는 얼빠진 대중들의 사랑을 받으니 그들은 판단력보다는 눈으로 좋아해요.”(제4막 제3장) 둘째, 클로디어스는 인민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국왕이 아니었다. 앞서 말한 폴로니어스의 죽음으로 인해 그 아들 레어티즈는 국왕에게 아버지를 죽인 책임을 묻기 위해 봉기한다. 이때 레어티즈는 복수만을 생각할 뿐 권좌를 주장하지도 않았으며, 국왕이 폴로니어스를 죽였다는 것이 증거도 없는 오해였는데도 지지자들은 그의 집권을 주장한다. 존스는 하물며 햄릿이 이 외부 정황 때문에 복수의 임무를 지연했을 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단호하고 용감한 성격의 청년이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에서 복수를 지연하는 이유는 도대체 무엇일까? 존스에 따르면 이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해석은 이 임무만이 지니는 특성에 원인이 있다. 그러면 햄릿이 극에서 보여주는 심리적 갈등을 살펴보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어떤 때에 그는 그 일을 하기엔 너무 겁이 많은 척하다가, 다른 때엔 유령의 진실성을 의심하다가도, 또 다른 순간엔―아주 결정적인 기회가 생겼을 때―시기가 적절하지 못하니 왕이 악한 행동을 할 때 죽여야겠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변명의 내용은 그럴 듯해 보이지만 진정한 이유는 못된다. 예를 들어 햄릿은 스스로도 숙부가 부친의 죽음의 배후에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유령이 이를 확증하였다고 믿던 터였는데, 갑자기 유령이 거짓말을 했으리라고 보는 것은 근거 없는 핑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존스는 더욱이 햄릿이 그때그때 다른 변명을 한다는 것을 미심쩍어 한다. “누군가가 자기 행동에 대해 매 순간 다른 이유를 댄다면, 그가 의식적으로든 아니든 본래의 이유를 숨기려 한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그는 햄릿의 아전인수적인 핑계의 이면을 탐색한다. 존스는 햄릿이 겉으로는 임무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려는 의지를 보이지만 “임무를 완수하려는 충동과 그것을 꺼리는 특정한 반대 원인 간의 대립 때문”에 행동을 지연했으리라고 추측한다. 제3의 가능성 ― 임무의 속성과 상황의 특수성 고찰 햄릿의 임무는 무엇인가? 숙부 클로디어스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면 클로디어스가 저지른 잘못은 무엇인가? 존스는 이때 클로디어스가 지은 두 가지 죄에 대해 햄릿이 각기 다른 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주목한다. 숙부 클로디어스의 죄는 형제인 선왕을 살해한 것과 왕비와 근친상간을 한 것이다. 그런데 햄릿은 아버지의 피살보다도 어머니의 근친상간에 훨씬 더 분노한다. 햄릿이 어머니의 이른 재혼에 분노하는 것도 통상적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격렬하다. 존스는 클로디어스가 단순히 두 죄를 각각 범했다고 여기는 것과 두 죄의 상호 관계를 결합해서 생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