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세부목차 저자서문 역자서문 1장 핵심개념 핵심개념: 개요 정부와 거버넌스 정치 권력 국가, 권위 그리고 정통성 이데올로기 비교정치 정치체제 분류하기 2장 국가 국가: 개요 국가란 무엇인가? 국가체제의 부상 국가의 팽창 국가의 다양성 민족과 민족주의 국가에 대한 도전 3장 민주주의 통치 민주주의 통치: 개요 직접민주주의 대의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 민주주의와 근대화 민주주의의 물결 민주화 4장 권위주의 통치 권위주의 통치: 개요 혼합체제 정권 권위주의 정권 권위주의 정권의 형태 부패의 정치적 영향 5장 이론적 접근법 이론적 접근법: 개요 비교정치학의 변화 양상 제도주의 접근법 행태주의 접근법 구조주의 접근법 합리적 선택 접근법 해석주의 접근법 6장 정부와 정치 비교 정부와 정치 비교: 개요 비교연구방법 사례연구방법 질적 방법 양적 방법 비교에 대한 도전 역사적 방법 7장 헌법과 법원 헌법과 법원: 개요 헌법의 특성 헌법의 지속성 법원의 역할 사법적극주의 사법부의 독립과 충원 법체계 권위주의 국가의 법 8장 입법부 입법부: 개요 기능 구조 의원 권위주의 국가의 입법부 9장 행정부 행정부: 개요 대통령제 행정부 의회제 행정부 준대통령제 행정부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행정부 10장 관료제 관료제: 개요 진화 조직 충원 신공공관리 전자정부 권위주의 국가의 관료제 11장 하위국가정부 하위국가정부: 개요 다층 거버넌스 단일체제 연방체제 단일체제와 연방체제의 비교 지방정부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하위국가정부 12장 정치문화 정치문화: 개요 시민문화 정치적 신뢰와 사회자본 엘리트 정치문화 탈물질주의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 권위주의 국가의 정치문화 13장 정치참여 정치참여: 개요 누가 왜 참여하는가? 여론 여성과 정치참여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참여 14장 정치커뮤니케이션 정치커뮤니케이션: 개요 미디어의 발달 미디어의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최근 동향 언론매체 비교 권위주의 국가의 미디어 15장 정당 정당: 개요 기원과 역할 정당체제 정당의 조직 당원 정당의 자금 권위주의 국가의 정당 16장 선거 선거: 개요 의회선거 대통령선거 선거운동 국민투표, 발의, 소환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선거 17장 유권자 유권자: 개요 정당일체감 유권자는 어떻게 선택하는가 투표참여 권위주의 국가의 유권자 18장 이익집단 이익집단: 개요 이익집단의 유형 이익집단의 역학관계 영향력의 통로 영향력의 요소 사회운동 권위주의 국가의 이익집단 19장 공공정책 공공정책: 개요 정책과정의 모델들 정책의 순환 정책의 확산과 수렴 귄위주의 국가에서의 공공정책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