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고보와 이형의 신체들

이선윤 · History
180p
Where to buy
Rate
3.0
Average Rating
(1)
'사이 시리즈' 9권. 일본 현대 문학의 기수로 평가받는 소설가 아베 고보(1924~1993)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일본의 현대사적 문제들 속에서 인간도 다른 종의 생물도 아닌, 경계선상의 이형적 괴물들이 어떻게 태어나고 소비되는지를 살펴본다. 아베는 2차 대전 전후(戰後) 일본이 (전승국인 미국의 방조와 묵인 아래서) 전쟁 책임을 회피했고, 그에 따라 사회 모순이 심화되었다는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갖고서 작품 활동을 했다. 그는 자신의 작품들에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소재 및 설정을 도입함으로써 인간의 소외와 국가 및 사회의 폭력을 다루었다. 이때 괴물이라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터부시되는 것들과 대면할 수 있게 해주고, 또 현재의 모순에 대한 강렬한 부정을 내포함으로써 터부에 대한 비판을 제기할 수 있는 지점을 제공해 주는 존재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아베 작품들과 그 속에 출현하는 괴물들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배제의 원리와 그것을 통해 중층적으로 작동하는 권력의 구조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4 1장_ 이름 없는 괴물 X에 대하여 2장_ 유령의 증식 3장_ 메타몰포스와 전후 문학적 가능성의 지평 4장_ 전후 일본과 기형의 신체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더 읽어 볼 만한 책

Description

아베 고보라는 ‘괴물’의 눈에 비친 전후(戰後) 일본 사회! 지배적 인식의 구조를 흔들어 은폐된 권력의 실체를 고발한다! ‘피곤함에 지쳐 골목길을 터벅터벅 걸어오던 한 노동자가 발끝부터 녹아서 액체로 변화해, 낮은 곳으로 흘러 사라져 버린다. 다음 날부터 세상 곳곳에서는 인간의 액화가 속출하기 시작한다.’ 일본 전후(戰後)파 아방가르드 문학의 기수, 아베 고보(安部公房, 1924~1993)의 단편소설 「홍수」 속 한 장면이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실존주의 작가로 분류되던 아베 고보는, 1948년 출범한 아방가르드 예술운동 그룹 ‘세이키노카이’(世紀の會, 세기의 모임)의 주도 멤버로서 활약하게 되면서 작풍에도 큰 변화가 생기게 된다. 그는 ‘어머니로서의 신화’, ‘아버지로서의 실존’과의 단절을 선언하고, 이후 초현실적이고 SF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작품 활동을 전개하면서 일본 문학사의 독보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평론가 하나다 기요테루는 아방가르드 운동의 성격을 ‘괴물적’(Damonisch)이라는 말로써 표현했는데, 정체된 현실 인식을 뒤흔드는 낯선 괴물성을 문학적 장치로서 적극 활용한 아베 고보에게 더없이 어울리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아베 고보와 이형의 신체들』은 국내에는 주로 소설 『모래의 여자』의 저자, ‘일본의 카프카’라는 별명의 소유자로 알려진 아베 고보의 진면모를 흥미롭게 소개해 주고 있다. 특히 그의 초현실적·SF적 작품들 속에 출현하는 이형의 존재들에 주목하여, 이들에 의해 폭로되는 인간 소외와 국가 및 사회의 폭력 구조를 짚어 보이고 있다. 원래 일본에서 요괴로 대표되는 이형의 존재들은 약간의 낯선 느낌을 주면서도 오랫동안 민담 등의 민속 전통 속에서 순화되어 친숙해진 존재들이었다. 그러나 아베 고보가 창조한 이형의 존재들은 제국주의적 권력이나 전쟁 책임 방기, 계급 지배와 같은 역사적·현실적 폭력과 연관됨으로써 새로운 긴장감을 촉발한다. 제국주의 권력의 중층적 작동 속에서 출현한 유령(「제복」), 기성 권력의 소유자들을 휩쓰는 홍수가 되는 액체인간들(「홍수」), 인체실험을 당하고 혁명 조직 안에서까지 착취당하는 신체의 소유자(『기아동맹』) 등이 등장하는 아베 고보의 작품들에 대한 저자의 분석을 읽으며, 독자들은 아베 고보 문학의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만나게 될 것이다. 가설(假說)의 문학: 아베 고보의 전위 정신 아베 고보의 SF소설은 오늘날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미래의 세계를 예측해 그려 보이거나 하는 그런 SF소설과는 다르다. 그것은 아베가 SF라는 장르를 현실을 도려내는 ‘가설’의 도구로서 사용했기 때문이다. 아베 고보는 ‘가설’을 문학의 본질적 요소로 보고, 그것을 잘 구사한 작가로서 『프랑켄슈타인』의 메리 셸리, 『변신』의 카프카 등을 들기도 했다. 가설은 본래 과학 용어로서 현상이나 법칙을 발견하기 위해 설정하는 임시적인 설을 말한다. 이 ‘가설’을 문학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규범적 질서를 의문에 부치고 또 그 이면을 폭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괴뢰국가 만주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전후 일본의 허위성에 분노하며 공산당 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던(당 내부 모순 비판을 계기로 1962년 제명) 아베 고보는, “혁명의 예술은 예술의 혁명이어야 한다”는 마니페스토를 내걸고 자신의 전위 정신을 오롯이 표현해 주는 방법론으로서 ‘가설의 문학’을 제시했던 것이다. 따라서 가설의 문학에서는 과학적 상상력에 앞서 비판적 상상력이 중요하다. 이는 전후 일본 최초의 본격 SF 장편소설로 평가받는 『제4간빙기』(1958~1959)에서도 명료하게 드러나고 있다. 아베는 이 작품에서 기계에 의해 인간의 출산과 보육마저도 관리되는 미래를 그려 보임으로써,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본격화한 1950년대, 자본과 테크놀로지가 결합해 변화해 가는 지배의 양상을 반영하고자 했던 것이다. 전후 일본에 흘러넘치는 이형의 신체들 아베 고보는 제국주의적 권력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첨예한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특히 1954년에 발표한 희곡 「제복」에서 뚜렷이 발견된다. 식민지 조선을 무대로 하는 「제복」은 이유도 모른 채 죽어서 유령이 된 제복을 입은 순사 유령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다. 그리고 이 순사를 살해했다는 누명을 쓰고 죽은 조선인 청년 역시 유령이 되어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낮은 계층에 위치했지만 조선에 와 조선인들 위에 군림하며 상대적 권력자로 행세했던 순사의 존재는, 제복을 통해 권위가 부여되고 그것이 제국주의적 행동으로 발현되는 구조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그리고 유령이라는 소재는 이후 전후 일본으로 무대를 옮겨 더욱 증식하기 시작한다. 「유령은 여기에 있다」(1958)는 패전 후 귀환하지 못한 병사들의 유령을 이용해 장사를 벌이는 인간 군상을 그려 보임으로써 사자의 기억과 그로 인한 불안을 이용하는 권력의 실체를 풍자한다. 저자는 아베 고보가 고발한 ‘죽음을 이용하는 폭력’이 오늘날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도 상통한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영화 시나리오로 집필된 「함정」(1962)은 폐광 지역 노동조합의 내분을 배경으로 한 살인 사건과 유령의 증식을 보여 준다. 저자의 분석에 의하면 여기에는 한 층 더 깊은 역사적 배경이 존재하는데, 제국주의 일본의 패전 이후 시작된 GHQ(연합군 총사령부) 통치가 그것이다. 패전 이후 들끓은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공산당으로 대표되는 좌익의 약진은, 한국전쟁과 함께 대두된 냉전 구도 속에서 좌절을 겪게 된다. 아베는 우익단체들이 부활하고 제국주의 전범들의 복권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침몰하는 노동계급의 현실을 유령이라는 소재를 통해 그린 것이다. 단편 「시인의 생애」(1951)에는 물레를 잣다가 그 속으로 말려들어가 한 벌의 옷으로 변화하는 가난한 어머니가 등장한다. 그 옷은 날아가 눈 속에서 부당해고를 규탄하는 선전물을 돌리고 있던 아들에게 입혀지고, 그는 그 순간 자신이 시인이었음, 그것도 “단일성을 노래하고 강화시키는 샤먼이 아니라 해부도를 쥔 과학자로서의 시인”임을 각성한다. 「홍수」(1973)에서는 액화한 하층 계급의 신체가 홍수를 이루어 전쟁 책임 망각과 구체제의 복권으로 흐르는 일본을 휩쓴다. 이 작품 외에도 「S·카르마 씨의 범죄」(1951), 「수중도시」(1964) 등의 작품에서 강렬한 홍수의 이미지가 반복되는데, 저자는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생성력을 띠면서도 생명체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물의 폭력적 힘을 극대화시킨 형상”이자 ‘신적 폭력’의 상징인 홍수로부터, 아베 고보가 이러한 모티브를 반복함으로써 혼돈에 빠진 일본 사회의 재생에 대한 희망을 그렸음을 읽어낸다. 그리고 그 재생되는 일본은 말할 것도 없이 전쟁 책임을 직시하고 구시대의 유물들과 결연히 단절한 일본, ‘노동자의 심장’으로부터 재건되는 일본을 가리킨다. 아베 고보는 “혁명의 예술은 예술의 혁명이어야 한다”는 자신의 원칙을 작가로서 일생 동안 관철해 나갔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