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권 시대가 만든 운명 개정판 머리말 / 머리말 주요 등장인물 다산 정약용의 가계 서문: 엇갈리는 운명 제1장 인연의 사람들 운명의 해, 임오년 / 눈썹이 세 개인 아이 / 아버지와 장인 / 이익과 희대의 천재 이가환 / 세계 최초의 자청 영세자 이승훈 / 자생적 천주교 조직의 지도자 이벽 제2장 정조와 천주교 정조와의 첫 만남 / 사도세자와 얽히는 인연 / 최초의 천주교 사태, 을사추조사건 / 정약용과 친구들의 악연 / 부모의 신주를 불태운 진산사건 / 이기경, 적으로 돌아서다 제3장 사도세자! 사도세자! 사도세자의 유산 / 정조의 선택 / 사도세자의 도읍, 화성 / 금등지사의 비밀 제4장 벼슬길에서 암행어사 정약용 / 주문모, 잠입하다 / 옥책문 / 천세, 천세, 천천세 / 금원의 잔치 제5장 지방관으로 노론의 대공세 / 성호 이익 추모 학술대회 / 이존창을 체포하다 / 당초 서학에 물든 자취는 아이의 장난과 같았는데 / 곡산부사에 임용하다 / 끝없는 사건들 2권 이들이 꿈꾼 세상 제6장 구시대로 회귀하다 귀경 / 정조, 의문사하다 / 정조어찰첩 / 정조 즉위 당일, 정조를 배신하다 / 여유당을 지은 뜻 / 대박해의 문 제7장 하늘에 속한 사람 정약종 모든 양반이 배교할지라도 / 『주교요지』의 세계 / 유교의 비판에 대한 대응 논리 / 정학으로 알았지 사학으로 알지 않았다 제8장 어둠의 시대 전멸하는 남인들 / 계속되는 비극들 / 죽음의 땅, 국청에서 / 귀양지 장기에서 / 황사영 백서사건 제9장 유배지에서 거듭되는 이별 / 유배지에서 시킨 자녀 교육 / 시대를 아파하는 것이 아니면 시가 아니다 / 제10장 주역의 세계로 나아가다 상례를 연구한 이유 / 제3차 예송논쟁의 조짐 / 『주역』의 세계로 / 성인들이 『주역』을 쓴 이유 / 하늘의 도움으로 얻은 문자들, 『주역사전』 / 왕필은 죽어서 돼지 치는 종놈이 되었다 / 『주역』은 점치는 책이 아니다 제11장 생태학자 정약전 『송정사의』에 담긴 뜻 / 정약용과 정약전의 학문세계 / 유배지 형제의 사랑과 슬픔 제12장 만남과 헤어짐 혜장선사 / 정약전의 죽음 / 돌아가는 것도 운명이고 돌아가지 못하는 것도 운명이다 제13장 고향에 돌아와 「자찬 묘지명」을 쓴 이유 / 농사짓는 사람이 땅을 가져야 / 인간에게는 스스로 결정한 권리가 있다 / 묘지명을 지은 뜻 / 태워버려도 괜찮다 『여유당전서』 및 정약전?정약종 저서 해제 다산 정약용의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