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 하트

티아구 호드리게스 and other · Play
8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6(7)
0.5
5
Rate
4.6
Average Rating
(7)
Comment
More

포르투갈 출신의 세계적인 연출가이자 극작가, 배우, 티아구 호드리게스가 2022년 5월 〈소프루Sopro〉로 한국을 찾은 이후, 2024년 가을,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 〈바이 하트By Heart〉로 다시 한국 관객과 만났다. 문학적 상상력과 시적 언어를 바탕으로 동시대 연극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티아구 호드리게스는 세계적인 국제공연예술제인 아비뇽 페스티벌의 비프랑인 최초, 최연소 예술감독이기도 하다 . 〈바이 하트〉는 티아구 호드리게스의 할머니가 시력을 잃어가면서 손자에게 마지막으로 외울 책 한권을 부탁하면서 시작된 이야기이다. 평생 책을 사랑했던 할머니의 부탁을 듣자마자 그는 언젠가 이 이야기를 관객과 독자들에게 직접 들려줄 수 있을 것이라고 직감했다. 이렇듯 〈바이 하트〉는 책에 대한 사랑과 연극을 바라보는 태도에 대한 본질을 담고 있다. 티아구 호드리게스는 포루투갈에서 2013년 〈바이 하트〉 초연 이후 지금까지 13년 동안 전 세계에서 가슴 아픈 이 작품을 300회 이상 선보여 왔다.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등에 이어 2024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로 공연되었다. 그에게 이 이야기는 스스로 고민해 온 모든 질문을 모아놓은 산물이자 자신이 생각한 연극이란 무엇인가를 담아낸 작품이다. 그는 〈바이 하트〉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와 함께 많은 작가들의 일화와 그들의 문학을 통해 공동체적 경험을 창조하고, 연극과 책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제시한다. ‘마음으로 외우다’라는 뜻의 〈바이 하트〉는 우리의 안전한 은신처인 뇌와 마음에 담겨있는 기억이 전달되는 매개체로서, 극장이라는 공간과 문학이 지닌 힘을 경험하게 하는 작품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6(7)
0.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Description

2024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초청작 포르투갈 출신의 세계적인 연출가이자 극작가, 배우, 티아구 호드리게스가 2022년 5월 〈소프루Sopro〉로 한국을 찾은 이후, 2024년 가을,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 〈바이 하트By Heart〉로 다시 한국 관객과 만났다. 문학적 상상력과 시적 언어를 바탕으로 동시대 연극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티아구 호드리게스는 세계적인 국제공연예술제인 아비뇽 페스티벌의 비프랑인 최초, 최연소 예술감독이기도 하다 . 〈바이 하트〉는 티아구 호드리게스의 할머니가 시력을 잃어가면서 손자에게 마지막으로 외울 책 한권을 부탁하면서 시작된 이야기이다. 평생 책을 사랑했던 할머니의 부탁을 듣자마자 그는 언젠가 이 이야기를 관객과 독자들에게 직접 들려줄 수 있을 것이라고 직감했다. 이렇듯 〈바이 하트〉는 책에 대한 사랑과 연극을 바라보는 태도에 대한 본질을 담고 있다. 티아구 호드리게스는 포루투갈에서 2013년 〈바이 하트〉 초연 이후 지금까지 13년 동안 전 세계에서 가슴 아픈 이 작품을 300회 이상 선보여 왔다.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등에 이어 2024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로 공연되었다. 그에게 이 이야기는 스스로 고민해 온 모든 질문을 모아놓은 산물이자 자신이 생각한 연극이란 무엇인가를 담아낸 작품이다. 그는 〈바이 하트〉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와 함께 많은 작가들의 일화와 그들의 문학을 통해 공동체적 경험을 창조하고, 연극과 책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제시한다. ‘마음으로 외우다’라는 뜻의 〈바이 하트〉는 우리의 안전한 은신처인 뇌와 마음에 담겨있는 기억이 전달되는 매개체로서, 극장이라는 공간과 문학이 지닌 힘을 경험하게 하는 작품이다. 마음으로 ‘시’를 외우는 순간 영원히 죽지 않는 연극과 문학의 힘 〈바이 하트〉는 무대 위에 놓인 열 개의 빈 의자에 열 명의 관객을 초대하면서 시작된다. 공연에서 직접 배우로 출연하는 티아구 호드리게스는 열 명의 관객에게 세익스피어의 소네트30의 14행을 외울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모두가 소네트를 외워야만 비로소 공연이 막을 내린다고 설명한다. 호드리게스는 소네트의 구절을 가르치며 곧 실명하게 될 그의 할머니와 자신에게 연결된 작가들, 책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펼친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문학평론가 조지 스타이너, SF작가 레이 브래드버리, 시인 오시프 만델슈탐 등 다양한 이야기들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듯한 연결고리가 드러나기 시작하고, 티아구 호드리게스가 이들의 이야기를 선택한 미스터리가 서서히 풀린다. “1919년에 태어나신 할머니는 포르투갈 시골 마을의 여관 주인이자 요리사였습니다. 할머니가 93세 되던 해에 곧 시력을 잃게 될 거라는 진단을 받고, 손자인 제게 ‘마음으로 외워서 읽을 수 있는 책 한 권을 가져다 달라’고 부탁하셨습니다. 무슨 책을 드려야 할까요. 이 이야기는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수많은 텍스트의 미로를 지나 긴 이야기들의 끝에서, 독자들은 부당한 세상과 인간의 한계에 맞선 문학과 예술의 힘을 만나게 된다. 또한 그 상징과도 같은 셰익스피어 소네트 30번 14행을 마음으로 외우는 특별한 순간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티아구 호드리게스는 그의 또다른 작품 〈소프루〉에서 “기억하는 것은 곧 저항이자 삶”이라고 했듯이 “시를 마음으로 혼자 외우는 것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 같지만, 함께 외우는 것은 닥쳐오는 죽음, 불의한 세상에 함께 맞서는 저항의 행위가 된다”고 말한다. 알마의 희곡 시리즈 Graphic Dionysus ‘GD’는 Graphic Dionysus의 약자로, “아름다운 가상을 만들어내는 활자 극장”을 표상하는 알마의 새로운 희곡 시리즈입니다. 이를 통해 희곡이란 텍스트를 책이라는 무대 공간에서 연출해내고자 하며, GD 시리즈가 독자의 삶이란 무대 공간에서 각자의 ‘아름다운 가상’으로 구현되기를 기대합니다. “나는 대본을 쓴다. 연출가와 배우와 디자이너도 작품을 쓴다. 그리고 관객도 연극을 쓴다. 만약 200명의 관객이 있다면, 거기에는 200개의 연극이 있는 것이다.” _ 폴라 보겔(Paula Vogel)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