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슈얼리티 강의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 Social Science
37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36)
0.5
4
5
Rate
3.5
Average Rating
(36)
Comment
More
[운영] <시네마 천국> 재개봉 개봉전_보드배너[운영] <시네마 천국> 재개봉 개봉전_보드배너

섹슈얼리티를 화두로 삼아 지속적인 연구작업을 하거나 현장에서 일해온 신진 여성학자들이 우리사회의 성문화를 진단, 분석한 책이다. 저자들은 삶에서 마주치는 주제들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고 나의 섹슈얼리티를 구성하는 데 실제로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기획하였다고 한다. 「한국 페미니즘 성 연구의 현황과 전망」,「영화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성과 육체」,「낙태보고서」등 10편의 글이 실려있다. 이 책은 성에 관한 이론 정립을 돕는 이론서가 아니다. 성에 관한 책이나 정보는 무수히 많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화현상을 이해하고 어떻게 이를 변화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찾기 작업은 아직도 미흡하다. 1999년 출간된 <섹슈얼리티 강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구성된다는 전제 아래 젠더 관점에서 여성의 억압과 피해를 강조했다면, 2006년 출간된 두 번째 책에서는 여성들 내부 안에서 결혼 여부, 계끕, 세대, 인종, 민족, 국가 등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섹슈얼리티를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5(36)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1. 한국 페미니즘 성연구의 현황과 전망 1990년대 한국 성문화와 페미니즘의 현황/ 사회적, 역사적 구성물인 성/ 페미니즘과 사회 구성론의 만남과 긴장의 발생/ 성별, 섹슈얼리티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성담론 분석/ 성별, 섹슈얼리티의 통합 : 새로운 페미니즘 성연구의 분석틀 2. 섹슈얼리티를 통해 본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 주체의 성격 문제 제기/ 섹슈얼리티, 자아-기술, 근대성/ 전통, 근대, 탈근대에 나타난 여성의 자기 이해/ 섹슈얼리티, 젠더, 여성 주체 3. 영화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성과 육체 `영화`와 `성`이라는 두 가지 문제틀과 그 관계/ 멜로 드라마 : `희생자`로서 여성의 위치/ 공포 영화 : `괴물화` 되는 여성성/ 에로 영화의 성적 상상력과 여성 섹슈얼리티/ 영화에 나타난 여성의 성과 육체에 대한 오해와 왜곡/ 여성의 육체와 성적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시선/ 영화와 여성의 다른 방식의 만남을 기대하며 4. 일상 생할 속의 포르노그라피 정치학 포르노 반대 또는 찬성을 넘어/ 포르노에 대한 여성주의적 시각/ 포르노에서 포르노 문화로/ 포르노 해체하기-생각하고 말하기 5. 여성의 다이어트 경험을 통해 본 몸의 정치학 외모의 양극화를 통한 성차의 사회 문화적 형성/ `여성적` 외모의 역사적 변화/ 여성성과 이모 관리의정치 ㄱㄴ제학-- `다이어트를 권하는 사회`/ `아름다움의 신화`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상의 정치학 6. 우리는 왜 성매매를 반대해야 하는가 무엇이 문제인가/ 성매매에 대한 기본 과점 갖기/ 성매매의 특징과 문제/ 성매매 반대의 정치학/ 성매매에 대한 가치와 규범 만들기 7. 낙태 보고서-연애에 나타난 권력 지형도 연애중에 낙태하게 되는 `과정` 읽기/ 혼전 성관계의 각본-피임과 성관계 결ㅈㅇ은 누가 하는가/ 원치 않은 임신/ 낙태 수술 경험/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8. 한국 레스비언의 성과 삶 문제 제기/ 한국의 레스비언 등단하기/ 레스비언 경험 드러내기와 읽기/ 레스비언과 여성주의 대화하기 9. 성폭력 의미 구성과 여성의 차이 들어가는 말/ 여성 단체 정치학의 효과와 의미/ 새로운 정치학의 구성 : 여성 단체 거듭나기/ 새로운 여성의 저항과 생존 10. 남성의 섹슈얼리티와 성폭력 성폭력은 억제할 수 없는 성욕의 문제인가/ 남성 섹슈얼리티와 성폭력의 관게에 대한 관점 잡기/ 성폭력 가해자들의 성문화와 성각본/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