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여행 속에 인간의 삶을 응축하는 휴머니즘 작가 해이수 첫 장편소설! 우리가 만난 생, 우리가 맺는 인연 흩날리는 눈꽃과 같은 지나온 길과 지나갈 길이 겹쳐지고 엇갈리는 히말라야 저곳의 동경과 이곳의 비애를 간직한 혹한의 눈보라 속에서 만난 순도 높은 생의 한 순간 ▶ 내용 소개 여행을 통해 얻은 영감을 작품에 투영하는 작가, 해이수 해이수가 첫 번째 장편소설을 펴냈다. 2000년 『현대문학』중편으로 등단해 제8회 심훈문학상(2004년)과 제16회 한무숙 문학상(2010년) 등을 수상한 해이수는 여행 및 관광지인 호주와 이주 대상국인 호주의 양면성을 보여준 『캥거루가 있는 사막』과 현실의 비루하고 냉혹한 일상성 공존을 히말라야의 설산과 아프리카 케냐의 열대 초원으로 상징한 『젤리피쉬』 등의 단편소설집을 선보이며 여행을 통해 얻은 영감을 소설에 녹이는 작가로 알려졌다. 실제로 네팔, 몽골, 중국, 케냐 등지를 여행했고, 호주 시드니에서 유학과 여행을 겸하며 5년을 살기도 한 해이수는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여행은 평소 쓰지 않는 근육을 새로 쓰는 것처럼 새로운 감각을 경험하게 해준다.”라고 밝힌 바 있다. 여행을 자신의 문학성을 터트린 계기로 삼으며 매 작품마다 치열하게 휴머니즘이라는 주제의식을 담기 위해 집필을 멈추지 않았던 해이수의 첫 장편소설을 지금 만난다. 사랑을 기억하는 공간, 히말라야에서 눈송이로 묘사된 인연 수연과 결혼해 평범한 생활을 하고 있던 완은 뜻밖에 소식을 듣는다. 유학 시절에 만났던 사랑, 유밍이 교통사고로 세상을 떴다는 것. 완은 그대로 있을 수 없었다. 완은 사랑을 잊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억하고자 떠난다. 완이 여행을 시작하며 유밍과의 찬란하면서도 뜨거웠던 사랑이 상기되고 히말라야라는 ‘공간’은 새롭게 다가온다. 완의 발걸음이 닿는 공간은 단순히 관광지가 아니다. 그곳은 사랑이 깃들어 있는 공간이자 수많은 인연을 만나는 우주다. 완에게 중요한 의미를 주었던 공간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했을 때, 현실은 또 다른 산으로 다가왔다. 이곳의 히말라야에 유밍이 있었다면, 현실의 산에서는 수연이 기다리고 있다. 완은 이곳의 히말라야에서 내려가고자 한다. 지나왔던 길을 처음부터 되짚어갈 시간이었다. 완은 멀리 겹을 이룬 설산과 푸르게 밝아오는 하늘과 눈 덮인 들판을 바라보았다. 마치 20일간의 깊은 꿈에서 깨어난 듯 눈앞의 공기는 맑고 시렸다. 자신을 품어준 숭고한 산, 자신을 다독여 한계를 인정하게 만든 이곳의 마지막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눈을 감았다. 쿰부 히말라야에서 맞이한 눈보라 속의 수억만 송이의 눈꽃은 자신의 삶을 이룬 수많은 인연과 대비된다. 작품 속 주인공 완 역시 자신을 한 점의 눈송이에 불과하다고 표현하며 기억을, 사랑을, 유밍을 그곳에 둔다. 그는 추억한 유밍이나 여행을 통해 만났던 인연이 그렇듯 자신 역시 한 점의 눈송이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서로 부딪치며 파동을 일으키고 솟구치고 때로는 일렁이며 뒤섞이고 회오리치는 눈꽃. 우리의 생과 우리가 맺은 인연 역시 흩날리는 눈꽃이 아닐까. 작가 해이수가 추구한 휴머니즘을 눈꽃으로 표현한 작품 『눈의 경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