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과 권력

엘리아스 카네티 · Humanities/Social Science
66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0(30)
Rate
4.0
Average Rating
(30)
20세기 대표적인 르네상스 지성 엘리아스 카네티가 분석한 “군중”의 물리학, “권력”의 정신분석학. 지난 2010년 8월 5일 국회도서관에서 국회의원실 최다 대출도서 10위를 발표했다. 과 <정의란 무엇인가> 같은 최근에 발행된 베스트셀러 도서의 뒤를 이어 1960년에 처음 출간된 엘리아스 카네티의 <군중과 권력>이 종합 대출 순위 5위에 올랐다. 출간된 지 10년 가까이 되는 책, 국내에는 1980년대 초반에 출간되어 30년 정도가 지난 책, 독일에서 처음 출간된 지 50년이 지난 책이 최근의 베스트셀러와 함께 국회의원실 최다 대출도서에 오른 것이다. 그들은 왜 아직까지도 이 책을 주목하고 있는 것일까? 바다출판사는 독자들의 연이은 개정판 출간 요청이 있었을 뿐 아니라 지금의 시점에서 다시금 엘리아스 카네티의 주장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새롭게 개정판을 출간한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4.0(30)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이 글을 읽는 독자에게 ... 5 군중 ... 17 무리 ... 123 무리와 종교 ... 171 군중과 역사 ... 223 권력의 내장 ... 269 살아남는 자 ... 301 권력의 요소 ... 379 명령 ... 405 변신 ... 447 권력의 양상 ... 513 지배와 편집증 ... 545 에필로그 ... 613 원주 ... 623 참고문헌 ... 633 작가연보 ... 643 옮긴이의 말 ... 646

Description

문학, 종교, 인류학, 심리학, 생물학을 넘나들며 밝혀낸 ‘군중’과 ‘권력’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관한 성찰 198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이자 20세기 최고의 르네상스적 지성 중 한 사람인 엘리아스 카네티Elias Canetti가 35년간의 치밀한 조사와 분석 끝에 발표한 불후의 고전 《군중과 권력》 개정판이 출간됐다. 1960년에 독일에서 처음 출간된 이 책은 국내에는 엘리아스 카네티가 1981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직후 1982년 반성완의 번역으로 한길사에서 처음 출간되었고, 1992년 강두식, 박병덕 공역으로 학원사에서 출간되었다. 바다출판사는 저자 엘리아스 카네티 측과 정식으로 저작권 계약을 맺고 강두식, 박병덕 번역의 학원사판을 개정하여 2002년에 양장본 《군중과 권력》을 출간했다. 이후 2007년부터 절판되었다가 연이은 독자들의 개정판 출간 요청이 있었을 뿐 아니라 21세기의 한국에서 다시금 엘리아스 카네티의 주장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개정판을 출간한다. 출간과 동시에 “군중의 본질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함으로써 인간사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의 토대를 마련한 책”(아놀드 토인비),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를 재조명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해주는 책”(아이리스 머독) 등의 격찬을 받은 《군중과 권력》은 단숨에 유럽 사상계의 고전으로 자리 잡으며, 카네티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렸다. 노벨상을 타는 데 이 작품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군중과 권력》은 제목처럼 이원적인 구조를 띠고 있다. 전반부가 군중의 다양한 형태를 분석하고 그 역학을 규명하는 부분이라면, 후반부는 그런 군중이 어떻게 권력에 길들여지고 복종하는가를 밝히는 부분이다. 카네티가 군중으로 간주하는 것에는 폭동이나 혁명의 순간에 드러나는 파괴적인 전형적 군중에서부터 극장이나 경기장의 정체된 군중, 종교적 군중으로 대표되는 느린 군중 등 다양하다. 심지어 죽은 자, 악마, 천사와 같은 보이지 않는 군중, 미래의 후손이나 정자로까지 끝없이 확대된다. 모든 위대한 고전들이 그렇듯이, 《군중과 권력》은 어떤 한 분야로 분류하기 어려운 책이다. 군중심리학 책으로도, 정치학 책으로도, 인류학 책으로도 읽힐 수 있다. 또는 훌륭한 문학서로 읽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살아남음과 죽음, 인간에 대한 그의 필생의 성찰이 녹아 있는 이 책은 그가 문학적 전범典範으로 여겼던 스탕달의 바람처럼, 100년 후에도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질 것이다. 21세기 소셜 네트워크 시대에도 군중은 존재한다. 군중은 누구이며, 누가 군중이 되는가? 권력은 군중을 조직하는가, 군중의 적인가? 군중과 권력을 둘러싼 보편적 ‘인간 조건la condition humaine’을 파악하고자 했던 카네티의 문제의식과 그가 제시한 분석의 틀은 오늘날에도 귀 기울일 만한 가치가 있다. 특히 2002년의 월드컵부터 故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까지 군중의 결집 양태와 도구는 바뀌었지만, 그 기본을 이루는 무리짓기의 속성은 여전히 이 책의 틀 안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때로는 군중을 조직하고, 때로는 군중을 두려워하며, 때로는 군중을 제압하려는 “권력의 속성” 역시 엘리아스 카네티가 이 책을 기획했던 1920년대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군중과 권력》은 ‘인간 조건’에 대한 탐구로서 20세기 가장 독창적인 지적 결정체이다. 그리고 21세기 소셜 네트워크의 시대에도 이 책에 담긴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다. 정보화로 인해 군중 현상의 양태만 바뀌었을 뿐, 무리짓기의 속성과 죽음을 통한 권력의 위협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류를 압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군중이란 무엇인가, 권력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군중은 카네티 인생의 진정한 최대 관심사였다. 1910년 핼리 혜성 출현에 따른 종말론적 패닉 현상, 1911년 타이타닉 호 침몰 소식을 듣고 거리로 뛰쳐나와 비통해 하던 인파의 물결,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빈 시민들이 보여준 적개심과 광기, 전후 독일의 인플레이션에 따른 극심한 궁핍과 혼란, 그리고 히틀러, 나치즘, 유태인 학살……. 역사상 그가 살았던 20세기 전반만큼 군중 현상이 폭발했던 시기도 없었다. 군중이란 무엇인가, 군중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군중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이 그를 사로잡았다. 1924년 스무 살의 카네티는 평생을 군중 연구에 바치기로 결심한다. 그는 군중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 나가던 중, 연구의 한계를 깨닫게 된다. 즉 군중 연구가 권력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철저한 연구에 의해서 보충될 필요가 있음을 절감한 것이다. “군중과 권력은 서로 극히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둘 중 어느 한편이 결핍되면 나머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이렇게 연구가 확대됨에 따라, 그에 소비되는 시간 역시 현저하게 길어질 수밖에 없었다.” 나치즘의 발호는 그에게 군중과 권력에 대한 가장 무시무시한 예제를 제공해주었다. 그는 가까이에서 사태의 본질을 관찰하기 위해 나치스의 진군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에 가능한 한 오래 머물려 했다. 그러나 유태인에 대한 박해가 점점 거세지자 영국으로 망명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후 그는 줄곧 ‘군중’과 ‘권력’에 매달렸다. 《군중과 권력》은 이처럼 카네티가 35년에 걸쳐 치열하게 연구한 필생의 기록이다. 스포츠 관중에서 정치집회까지, 부시먼족에서 메카 순례까지, 원숭이의 손가락 훈련에서 알코올중독자의 환각까지 카네티는 온갖 군중현상과 권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그는 원시부족의 신화에서부터 세계종교들의 원전, 동서고금 권력자들의 전기, 심지어 정신질환자의 병례에 이르기까지 문학, 종교, 인류학, 심리학, 생물학의 영역을 넘나들며 ‘군중의 물리학’ ‘권력의 정신분석학’을 완성했다. 고독한 ‘열정의 정신’이 쌓아 올린 불후의 명작 《군중과 권력》에 대한 평자들의 일치된 결론은 이것이 ‘파시즘에 대한 한 보고서’라는 것이다. 실제로 히틀러의 광기와 역사상 유례없는 유태인 학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카네티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였다. 어떻게 예술과 철학과 자연을 사랑하는 독일인들이 그처럼 포악한 권력자의 명령에 복종해 그런 끔찍한 만행을 저지를 수 있었을까, 하는 물음은 카네티뿐 아니라 20세기 지식인들의 공통된 문제의식이었다(이에 대한 카네티의 유명한 해석은 〈군중과 역사〉 장의 ‘독일과 베르사유’ ‘인플레이션과 군중’ 항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카네티의 이론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한정하는 감이 없지 않다. 그는 나치스 이전에 20세기 전반기 유럽을 뒤흔든 여러 군중체험에서 연구의 모티브를 얻었으며, 연구를 진행해 나가면서 인류사 전체, 문명사 전체로 군중과 권력의 장을 확장시켰다. 따라서 그의 연구는 보편적인 인간 조건의 탐구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럴 때에만 그가 인간 역사에 대해 보이는 어느 정도 체념적이고 비관적인 인식이 올바로 이해될 수 있다. 글쓰기의 방식에 있어서, 카네티의 서술은 비체계적이다. 관조적이고 현상학적이다. 어떤 가정이나 전제도 없이 단순한 관찰이나 정의에서 불현듯 시작한다. 손동작이나 앉거나 서는 자세, 먹는 행위, 불, 바다, 숲 등등 우리가 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구체적인 사실에서 출발한다. 그의 문장은 하나하나가 단절된 직관의 섬이다. 그것들이 점차 누적되면서 어느 순간 커다랗고 낯선 통찰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어떠한 기성의 사상체계나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독자적인 관찰과 직관만으로 그 누구도 이야기할 수 없었던 인간의 진실을 파헤치는 카네티의 통찰은 두렵기까지 하다.

Collections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