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전쟁이 터졌다. 전선으로 함께 가자!"
- 파란 심장을 가졌던 그들, 그리고 삶과 죽음 사이의 전투를 기억하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따스한 인정이 넘치던 한반도는 차갑게 식어버린 파란 심장만이 존재할 뿐이다. 누구도 다른 생각할 것 없이, 무언가에 홀린 듯했다. 내가 상대를 쓰러뜨리지 않으면 내가 쓰러지는 전투에서 과거의 형제와 민족을 고려할 시간도 없었다. 6?25 발발부터 다부동전투, 1?4 후퇴, 그리고 반격에 이르기까지 한국전쟁의 주요 전투를 생생하게 증언해 화제를 모은 백선엽 장군의 <나를 쏴라> , 그 후속권 <나를 쏴라2>가 출간됐다.
"내가 앞장서겠다. 내가 두려움에 밀려 후퇴하면 너희가 나를 쏴라."
- 승자와 패자가 존재하는 전쟁, 그것을 좌우하는 별들과 전쟁 기술을 기억하다
<나를 쏴라2>는 1?4 후퇴와 반격, 그리고 휴전협정의 막전막후 등 한국전쟁의 중후반기를 백선엽 장군의 증언으로 풀어낸다. 아울러 한국전쟁 전후, 극심했던 좌우익의 대립 속에서 벌어졌던 빨치산 토벌 작전, 여순반란사건과 제주4.3사건 등 근현대사의 역사적 현장을 오가며 남북분단과 동족상잔의 비극의 원인과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한국전쟁 당시 대령 신분이었던 백 장군은 전쟁이 끝날 무렵 3성 장군이 된다. 이 기간 동안 백 장군은 국지적
인 전투에서 전쟁의 승패를 가를 대규모 전투를 몸소 진두지휘했다. 또한 휴전협상 테이블에 한국대표로 참석해
한국전쟁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누구보다도 생생하게 체험했다. 그런 그가 한국전쟁의 통해 배운 가장 큰
교훈은 무엇일까?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은 '평화'와 '화해'의 소중함이었다.
"살생은 끊임없는 보복을 불러온다.
한쪽이라도 먼저 원초적인 보복과 살육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 동족상잔의 아픔, 이데올로기의 비국이 부른 전쟁 터에서 평화를 노래한다.
중공군의 대규모 공세를 온몸으로 막아내고, 빨치산 토벌을 위해 지리산을 헤매던 저자와 한국군은 이데올로기가 부른 전쟁터에서 이유없이 죽어가야 했던 수많은 생명들을 목격한다. 이들의 죽음은 60년이 지난지금도 한국전쟁이 국가에, 국토에, 가정에, 개인에 남긴 흉터가 아픈 기억과 함께 남아있다.
어린 자식을 등에 업고, 손에 끌며 고향을 등졌던 어머니, 언제 다시 볼지 모르는 남편을 포탄이 넘나드는 곳으로 보냈던 부인, 아무것도 모르고 펜 잡을 손으로 총을 들었던 학도병, 매캐한 담배연기를 마시며 내려오는 적군을 맞이했던 군인. 이 모든 이의 마음속은 모두 같았을 것이다.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는 인간의 모습이 드러나기 마련이니깐. '왜 전쟁을 해야 할까. 나는 이곳에서 살아 돌아갈 수 있을까. 전쟁은 끝날 수 있을까.' 인민군, 중공군도 아닌 끝이 없는 암흑 속을 걸어가는 것 같은 공포와 두려움이 이들을 정복했을 것이다. 각기 다른 곳에서 두려움에 맞섰던 선대의 숭고한 희생, 그 상처 많은 사람들의 전쟁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전쟁은 우리 스스로를 어떻게 지킬 것 이며, 내 앞에 나타난 적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를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것은 앞으로 닥칠지 모를 유형과 무형의 싸움에서 어떻게 임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소중한 기록이다.
전쟁은 참혹함을 남기지만, 그를 기억하는 사 람에게는 많은 교훈을 남긴다.
6?25를 내 기억이 닿는 한 모두 적으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