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소녀를 만나다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 Novel
19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0(25)
Rate
3.0
Average Rating
(25)
1915년에 태어난 작가 황순원의 탄생 100주기를 기념해,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주최한 <소나기> 이어쓰기 행사의 결실을 모아 펴낸 책이다. 6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그 감동을 고스란히 잇는 아홉 편의 작품은 독자들을 <소나기>의 풋풋하고도 가슴 저리는 첫사랑, 그 후의 세계로 안내한다. 전상국, 박덕규, 김형경, 이혜경, 서하진, 노희준, 구병모, 손보미, 조수경. 1963년에 등단한 전상국을 시작으로 2013년 등단한 조수경까지, 데뷔 연차로 무려 50년의 세월을 아우르는 작가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은 이 책을 읽는 즐거움 중의 하나다. 이 작가들의 공통점은 황순원에게 직접 문학을 배운 제자들과 그 제자들에게서 문학을 익힌 제자들이라는 것이다. 작가 황순원은 이렇듯 작품으로만이 아니라 거대한 스승으로도 우리 문학의 중심에 여전히 살아 있다. 또한 아홉 편의 작품은 이 책에서 아홉 명의 그림작가를 만나 더욱 특별해졌다. 아홉 편의 속편은 <소나기>의 분위기를 그대로 잇고 있고, 각각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서정적인 이미지를 아홉 명의 그림작가가 아름다운 그림으로 형상화했다. ‘황순원’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현재 문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9인의 작가와 서정성 짙은 그림으로 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9인의 그림작가의 콜라보는 독자들에게 행복한 독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0(25)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소나기 ----- 황순원 헤살 ----- 구병모 글, 이규태 그림 축복 ----- 손보미 글, 김금복 그림 가을하다 ----- 전상국 글, 한경은 그림 다시 소나기 ----- 서하진 글, 나수은 그림 농담 ----- 김형경 글, 쥬드프라이데이 그림 지워지지 않는 그 황토물 ----- 이혜경 글, 함명곤 그림 잊을 수 없는 ----- 노희준 글, 오유진 그림 귀향 ----- 조수경 글, 이지혜 그림 사람의 별 ----- 박덕규 글, 변영근 그림 해설 ----- 김종회 황순원 연보

Description

“글쎄 죽기 전에 이런 말을 했다지 않어? 자기가 죽거든 자기 입던 옷을 꼭 그대루 입혀서 묻어달라구……” 「소나기」 그 후, 끝나지 않은 이야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단편소설 「소나기」 원작의 감동을 잇는 9인 9색, 아홉 편의 수작들! 지난 2015년은 1915년에 태어난 작가 황순원의 탄생 100주기였다. 이를 기념해 그해 봄부터 작가를 기리는 다양한 전시와 공연이 줄을 이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던 행사가 바로 황순원 오마주 「소나기」 이어쓰기 사업이다. 양평에 위치한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주최한 행사로, 작가 황순원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 작가 5인의 「소나기」 속편을 『대산문화』(대산문화재단)에 싣는 것으로 시작해, 황순원이 23년 6개월 동안 재직했던 경희대학교 출신 젊은 작가 4인도 「소나기」 속편을 소나기마을 소식지 『소나기마을』에 발표하였다. 6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그 감동을 고스란히 잇는 아홉 편의 작품은 독자들을 「소나기」의 풋풋하고도 가슴 저리는 첫사랑, 그 후의 세계로 안내했다. 그리고 이 뜻깊은 결실을 모아 황순원문학촌 촌장이자 문학평론가 김종회의 책임편집으로 『소년, 소녀를 만나다―황순원의 「소나기」 이어쓰기』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한 작가의 문학적 삶과 작품의 의미를 기리기 위해 건립하는 문학관은 대개 해당 작가의 고향에 지어진다. 나고 자란 고향이라는 공간이 바로 그 작가의 문학적 토대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터다. 그러나 고향이 평안남도 대동군인 황순원은 대표적인 실향민 작가로, 그것이 불가능했다. 그렇다면 그의 문학관이 양평에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만한 일이다. 소나기마을이라는 명칭이 말해주는바, 「소나기」의 장소적 배경이 된 곳이 바로 양평이기 때문이다. 시 104편, 단편 104편, 중편 1편, 장편 7편에 이르는 많은 작품을 세상에 내놓은 작가에게, 이 짧은 한 편의 이야기가 가지는 의미를 단편적으로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굳이 이런 이유를 더듬어가지 않더라도 독자들은 이미 마음속으로 느끼고 있을 것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바래지 않고 오히려 더욱 또렷하게 마음을 움직이는 그 이야기의 힘을 말이다.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소나기」는 OtvN 「비밀독서단 2」 25회(2016. 5. 3.)에서 ‘다시 읽고 싶은 교과서 문학 TOP 100’의 1위에 올랐다. 시청자 투표로 선정되기도 했거니와 이를 본 많은 이들은 크게 공감했을 것이다. “여간 잔망스럽지가 않어”라는 문장에 밑줄을 긋고 ‘잔망스럽다’의 의미를 새기던 기억. 그것이 “얄밉도록 맹랑한 데가 있다”라는 뜻이라는 걸 학창 시절을 지나온 사람 중에 모르는 이는 별로 없을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잔망스럽다’ 풀이 아래 예문으로 「소나기」의 구절이 인용된 것은 너무나 당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소년, 소녀를 만나다』는 이 여간 잔망스럽지 않은 소녀를 찾아가는 여정이자 그런 소녀를 마음에 품은 소년의 성장담이다. 어쩌면 소나기를 사랑하는 우리 모두도 진흙물 묻은 분홍 스웨터 하나씩 품고 살고 있을지 모른다. 소녀가 무덤까지 가지고 간 지워지지 않는 스웨터의 얼룩처럼 우리의 가슴속에 남아 지워지지 않는 이야기의 여운은 이렇게 또 다른 이야기로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난다, 전상국, 박덕규, 김형경, 이혜경, 서하진, 노희준, 구병모, 손보미, 조수경. 1963년에 등단한 전상국을 시작으로 2013년 등단한 조수경까지, 데뷔 연차로 무려 50년의 세월을 아우르는 작가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은 이 책을 읽는 즐거움 중의 하나다. 이 작가들의 공통점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황순원에게 직접 문학을 배운 제자들과 그 제자들에게서 문학을 익힌 제자들이라는 것. 작가 황순원은 이렇듯 작품으로만이 아니라 거대한 스승으로도 우리 문학의 중심에 여전히 살아 있다. 또한 아홉 편의 작품은 이 책에서 아홉 명의 그림작가를 만나 더욱 특별해졌다. 「소나기」는 ‘황순원 문학의 백미’ ‘국민 단편소설’ ‘순수한 사랑의 원형’ 등 수많은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추가하자면 ‘한 폭의 수채화처럼 아름다운 서정성’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아홉 편의 속편은 이러한 「소나기」 분위기를 그대로 잇고 있고, 각각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서정적인 이미지를 아홉 명의 그림작가가 아름다운 그림으로 형상화했다. ‘황순원’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현재 문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9인의 작가와 서정성 짙은 그림으로 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9인의 그림작가의 콜라보는 독자들에게 이 여름, 행복한 독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그때’의 소년이 ‘지금’의 소녀와 다시 만나는 ‘영원한’ 이야기의 기적! 소년은 개울가 징검다리에서 윤초시네 증손녀 딸을 만난다. 팔과 목덜미가 마냥 흰, 이 서울에서 온 소녀는 비켜달라는 말도 못하고 머뭇거리는 소년에게 “이 바보”라고 외치며 조약돌을 던진다. 소년은 조약돌을 집어 주머니에 넣고, 다음 날부터 개울가에서 보이지 않는 소녀를 생각하며 조약돌을 주무르는 버릇이 생긴다. 소녀가 없는 징검다리에서 소녀를 따라하다가 들켜 창피를 당하고 난 뒤 토요일, 소년은 먼저 말을 걸어온 소녀와 뜻밖의 하루를 보내게 된다. 논 사잇길에서 허수아비를 흔들어보기도 하고, 설익은 무를 뽑아 먹기도 하고, 산에 올라 꺾은 꽃으로 꽃묶음을 만들기도 하고, 꽃을 꺾으려다 미끄러진 소녀의 무릎에 난 상처에 약을 발라주기도 하고, 송아지 등에 올라타기도 한다. 그러고서 산을 내려오는 길,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는 바람에 원두막으로, 수숫단 속으로 나란히 비를 피해 들어간다. 그렇게 소나기가 그치고, 소년은 소녀를 등에 업고 불어난 도랑을 건넌다. 그날 이후 한동안 소년은 소녀를 보지 못한다. 어느 날 개울가에 나온 소녀는 그동안 앓았다며 그날 진흙물이 든 스웨터를 보여주고는 곧 이사를 가게 되었다고 전한다. 그날 밤 소년은 소녀에게 맛보이기 위해 근동에서 제일가는 덕쇠 할아버지네 호두를 몰래 딴다. 그러나 결국 그것을 줄 겨를도 없이, 소년은 소녀의 죽음에 대해 말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대화를 듣는다. “자기가 죽거든 자기 입던 옷을 꼭 그대루 입혀서 묻어달라구” 했다던 소녀의 유언을. 그리고 시간을 거슬러 첫사랑의 무지개가 다시 내린다! ‘소녀의 죽음’을 기점으로 거기서 가까운 시간대를 운용하는 작품의 순서로 아홉 개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구병모의 「헤살」, 손보미의 「축복」, 전상국의 「가을하다」, 서하진의 「다시 소나기」, 김형경의 「농담」, 이혜경의 「지워지지 않는 그 황토물」, 노희준의 「잊을 수 없는」, 조수경의 「귀향」, 박덕규의 「사람의 별」이 그것. 이렇듯 하나의 작품에서 파생된 아홉 개의 이야기가 저마다 다른 빛으로 반짝인다. 독자의 마음속에서 “여간 잔망스럽지 않”은 소녀가 사라지지 않듯, 아홉 개의 작품 속 소년 혹은 우리가 알지 못했던 또 다른 소녀도 그때의 기억을 잊지 못한 채 살아간다. 소년이 나이가 들어 청년이 되고 노인이 되는 동안에도 마음속 소녀는 항상 그 모습으로 지금 여기에 있다. 그래서 소녀를 만나러 가는 그들은 항상 그때 그 소년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이리라. 그렇게, 그때의 소년이 지금의 소녀를 만나 끝나지 않는 이야기의 기적이 이루어진다. 황순원의 「소나기」가 가진 힘, 동심의 순수한 힘이 있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한편 이번 『소년, 소녀를 만나다』에는 색다른 선물이 함께 간다. 별책으로 구성된 부록이 그것이다. 이 별책에는 ‘2015 「소나기」 이어쓰기 공모전’에서 고등부 대상과 일반부 대상을 수상한 작품 두 편이 실려 있다. 그 감각과 완성도가 기존 작가들 못지않은 수작이다. 일반부 대상을 수상한 고은비의 「어떤 소나기」는 성실한 가장으로 살아가는 소년의 아내의 시선으로 씌어진 어느 저녁의 이야기고, 고등부 대상을 수상한 황효림의 「여우비」는 청년이 된 소년이 과거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개울가에 앉아 소년을 기다리는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