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제 1장 유전자의 발견과 생명체 1.1. 유전자의 발견 / 1.2. 유전자와 생명체의 진화 1.3. 전통적인 육종방법 / 1.3.1 분리육종법 / 1.3.2 교배육종 1.3.3 돌연변이육종 / 1.3.4 잡종강세육종 / 1.4. 육종과 생명공학 제 2장 유전자 변형기술의 발전 2.1. 유전자 변형기술의 발전 역사 / 2.2. 유전자 변형기술 2.2.1 미생물 유전자 변형기술 / 2.2.2 동물 유전자 변형기술 2.2.3 식물 유전자 변형기술 / 2.3. 유전자 변형기술의 이용 2.3.1 GM의약품 생산 / 2.3.2 GM미생물을 이용한 효소 생산 / 2.3.3 GM식물 생산 제 3장 유전자변형(GM) 작물의 개발 현황 3.1. GM작물의 역사 / 3.2. GM작물의 개발 현황 3.2.1 과숙억제 토마토 FLAVR SAVRⓡ / 3.2.2 제초제 내성 GM콩 3.2.3 해충저항성 Bt면화 / 3.2.4 바이러스 저항성 GM작물 / 3.2.5 황금 쌀(Golden rice) 3.2.6 기타 영양강화 GM작물 / 3.3. GM작물의 개발 과정 / 3.3.1 시험연구단계 3.3.2 상업용 GM작물 개발 단계 / 3.3.3 상업화 승인 단계 / 3.3.4 상업화 단계 3.4. 상업용 GM작물 개발 동향 / 3.5. 우리나라 GM작물 개발 현황 3.5.1 GM작물 개발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려 사항 제 4장 GM작물의 환경 위해성 평가 4.1. 국제적인 GM작물 환경위해성 평가기준/ 4.2. 우리나라 GM작물 환경위해성 평가기준 4.2.1 GM작물의 유독물질 생성여부 평가 / 4.2.2 GM작물의 잡초화 가능성 여부 평가 4.2.3 GM작물의 주변 생물 및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평가 4.2.4 GM작물을 도입하고자하는 환경에 대한 평가 제 5장 GM작물의 안전성 평가 5.1. 국제적인 GM작물 안전성 평가기준 / 5.2. 우리나라 GM작물 안전성 평가기준 5.2.1 GM작물의 분자생물학적 평가 / 5.2.2 GM작물의 독성 평가 5.2.3 GM작물의 알레르기성 평가 / 5.2.4 GM작물의 성분분석 및 동물사양 실험 5.3. 국내 GM작물 승인 현황 제 6장 GM작물의 재배 및 교역 현황 6.1. 세계의 GM작물 재배 현황 / 6.1.1 국가병 GM작물 재배 현황 6.1.2 작물별 재배면적 / 6.2. GM작물 교역 현황 / 6.2.1 세계 총 곡물 교역량 6.6.2 GM옥수수 교역량 / 6.2.3 GM콩 교역량 6.2.4 국제 곡물가격 변화와 non-GM곡물 프리미엄 6,3. 우리나라의 GM 작물 수입 및 사용 현황 / 6.3.1 GM작물 수입 현황 6.3.2 옥수수의 용도별 수입현황 / 6.3.3 콩의 용도별 수입 현황 / 6.4. GM식품의 표시 현황 제 7장 GMO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 7.1. GMO의 유해성에 관한 보도와 실제 상황 / 7.1.1 영국 푸스타이 사건 7.1.2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 7.1.3 Bt옥수수의 제왕나비 사건 / 7.1.4 러시아 에르마코바 사건 7.1.5 인도 Bt면화 사건 / 7.1.6 프랑스 세라리니 사건 7.1.7 GM작물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사건들 / 7.2. 영국의 환경운동가 마크 라이너스의 공개 사과 7.3. GM식품 수용도(acceptability)의 변화 제 8장 GMO의 미래 8.1. 글로벌 기후변화와 식량생산 / 8.2. 식량안보를 위한 생명공학의 기여 8.3. 차세대 GMO 개발 현황 / 8.3.1 미래 개발될 GM작물 8.4. GMO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필요성 제 9장 우리나라 식량안보를 위한 GMO 정책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