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7 서문 상상하던 내가 만들어지다 27 제 1장 전공자는 아니지만 배우의 꿈을 가지고 있는 그대들에게 29 배우를 하기에 제 나이가 너무 차버린 건 아닐까요? 33 부모님께서 배우의 길을 반대 하세요 38 제 주변에는 이 분야에 관련된 인맥이 없는데 혼자서 도전이 가능할까요? 42 꼭 잘생기고 예뻐야 배우를 할 수 있는 건가요? 46 주변에서 하던 일이나 잘하라고 뜯어 말리는데 도전 자체가 불가능한 걸까요? 50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데 연기 공부를 위해 그만두어야 할까요? 55 직장인들이 연기를 공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60 배우로 활동하려면 반드시 연극영화과 등의 연기 관련 학과 출신이어야 하나요? 연기와 관련된 학과가 아닌 타 학과에 재학 중이라면 자퇴를 하고 연기 관련 학과에 재입학하는 것이 나을까요? 66 연기를 독학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72 연기를 배우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그리고 연기를 얼마나 배워야‘직업배우’로서의 활동이 가능할까요? 연기활동을 준비할 때에‘극단’에 입단하여 시작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극단에 들어가는 것부터 해야 하는 건가요? 77 배우가 되고 싶어 하는 간절한 사람보다 아이돌에게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지는 것 같은데 그들과 경쟁할 수 있을까요? 연극영화과 출신 혹은 배우 기획사 소속 연습생 등 오랜 시간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수만 명인데, 이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80 배우라는 직업은 타 직업에 비해‘운’과 같은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없는 요소들이 큰 것 같은데, 극복 가능할까요? 84 기획사와 프리랜서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나요? 배우로 활동하려면 반드시 기획사에 소속되어야만 하는 건가요? 경력도 없고 나이는 많은데, 기획사에 소속되고 싶다는 바람은 무리일까요? 기획사 지원이 확정되었을 경우, 훈련비용과 관리비용을 일정 금액 지불해야 되나요? 89 오디션은 어떻게 보게 되는 것이며, 어떠한 것을 알아두고 준비를 해야 하나요? 92 프로필 사진을 어떻게 찍어야 하는 건가요? 프로필 사진만 있으면 방송활동이 되는 건가요? 95 해외에서의 활동을 꿈꾸려면 얼마만큼의 실력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나요? 98 배우의 수익은 어떻게 창출되는 것이며, 출연료는 어떻게 되나요? 101 신인, 무명 배우들의 생계 유지법은 어떻게 되나요? 수입이 없는 기간에는 어떻게 먹고 사나요? 104 스폰서가 만연하다는 연예계에 대한 편견과 보도가 많은데, 스폰서 없이 자신의 능력으로 경쟁이 가능한가요? 107 어떤 조건의 친구들이 배우의 자격을 갖나요? 113 제 2장 연극영화과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을 앞두고 있는 그대들에게 115 연극영화과에 재학 중인데 학교 내의 워크숍이 현장에서 정말로 도움이 될까요? 119 연극영화과 안에서 배우는 연기보다 입시를 준비하며 배웠던 연기학원 내의 연기 수업이 더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뭐가 문제일까요? 123 저희 학과 내에서는 외부 활동이 금지되어 있어요. 어린 나이일수록 활동이 유리하다는데 휴학을 해서라도 외부에서의 활동을 중요시해야 하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학 교생활을 충실히 해서 졸업을 먼저 해야 할까요? 127 학교생활을 열심히 해 학교 내에서 탑의 자리를 놓치지 않던 선배들의 근황을 살펴보면, 졸업 후 하는 일이 동일계열이 아닌 전혀 다른 일을 하고 있어요. 저는 그 선배들보다도 뛰어나지 않은데 저도 진로를 바꿔야 하는 건 아닐까요? 131 외부에서의 경력이나 경험은 없지만 연극영화과의 졸업을 앞둔 졸업생입니다. 직업 배우로 나아가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 할까요? 137 연극을 전공한 학생입니다. 대학로에서 진행하는 작품의 오디션에 저의 프로필을 제출하면 오디션을 참가해보라는 연락이라도 오는데, 방송 계열에서는 왜 연락이 오지 않는 걸까요? 142 연극을 전공했는데 드라마나 영화 오디션에 가면“연극하셨어요?”라며 연기가 너무 강하다고 합니다. 활동을 하기 위해서 학원이나 레슨을 다시 받아야 할까요? 146 명성이 있는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는데 왜 바깥에 나오니 저를 인정해주지 않을까요? 151 세상은 요즘‘스펙’에 열을 올립니다. 그런데 연기전공자들이 쌓을 수 있는 스펙이라 하면‘출연 경력’인데 출연 말고도 실질적으로 이 길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쌓을 수 있는 진짜 도움되는 스펙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155 연기를 계속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다른 전공들을 가진 인문·이과 계열의 제 주변 또래 친구들을 보면 취업이 시작되었어요. 이 자체만으로도 불안합니다. 저의 생계도 유지하면서 꿈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연기전공자들이 ‘배우’라는 직업을 유지하면서 할 수 있는 연계되는 직업은 없을까요? 161 제 3장 연극영화과의 지원을 고민하고 있는 그대들에게 163 배우가 되려면 꼭 연극영화과에 입학해야 하나요? 169 연극영화과가 어느 대학에 있나요? 171 연극영화과에서 유명한 학교들과 각 학교의 출신 배우들을 소개해주세요 174 연극영화과에 지원하려는데 특기자도, 예고 출신도 아닌데 괜찮을까요? 177 연극영화과에 입학하면 무엇을 배우나요? 180 연극영화과에 입학하면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알려 주세요 184 연극영화과를 지원하려면 언제부터 준비해야 하나요? 188 연극영화과 입시 준비는 독학으로는 불가능할까요? 191 연극영화과 실기는 왜 연기뿐 아니라 특기도 평가하는 거죠? 194 연극영화과는 실기 반영 비율이 높다는데 그럼 성적 반영을 거의 안한다는 뜻인가요? 198 연기를 잘 못해도 외모가 출중하면 연극영화과에 입학한다는 데 이 말이 사실인가요? 201 연극영화과로 명성이 있는 학교에 입학하지 못하면 배우로서 성공할 수 없는 건가요? 205 연극영화과는 왜 현역보다 재도전 학생들이 더 많은 거죠? 208 연극영화과에 합격할 수 있는 노하우가 따로 있을까요? 211 연극영화과의 취업률은 어떻게 되나요? 214 연극영화과를 졸업하면 그 타이틀만으로도 기획사나 오디션에 유리한가요? 216 연극영화과가 비전이 있다고 보시나요? 219 참고문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