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웨이브 영화

이효인
360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1980년 뉴웨이브의 전조로 출발한 <바람불어 좋은 날>에서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1994) 혹은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창설까지 이어진 뉴웨이브는 기존 한국영화 구체제와 새로운 시도와의 상호 영향과 협력, 경쟁과 투쟁의 결과물이었다. '영상시대'와 '뉴웨이브 프리퀄' 그리고 '뉴웨이브' 사이에 공통된 미학이 있는 것이 아니다. 수용과 극복의 형태로 이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영상시대'는 자기 반성과 비판 그리고 문제의식을 서투르게 드러냈다. '뉴웨이브 프리퀄'에서는 그 문제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수렴되면서 완성된 미적 형태로 귀결되었다. '뉴웨이브'는 그것을 더 현실적이거나 더 영화적으로 성숙시키는 과정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영화의 특징들은 바로 이러한 '뉴웨이브'를 토양으로 하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서문 : 한국 뉴웨이브 개설 제 1부 1장 뉴웨이브의 맥락 1. 뉴웨이브 2. 『코리안 뉴웨이브 : 1980~1995』 3. ‘영상시대’와 뉴웨이브를 잇는 미적 ‘사건성’ 4. 뉴웨이브, 비판적 리얼리즘 5. 뉴웨이브, 코리안 컨벤션의 탈피 6. 뉴웨이브의 변모 2장 뉴웨이브 프리퀄 1. 임권택, 고정된 이념적 중립 2. 임권택, 민족지 예술영화 ethnographic art film 3. 임권택, 주체 미학 4. 이장호, ‘영상시대’에서 뉴웨이브까지 5. 이장호, 프로토내러티브의 불연속 전이성 6. 이장호, 민중주의와 기독교 7. 배창호, 관습과 클리세clich?의 현대화 8. 배창호, 적절한 도착 3장 한국 뉴웨이브 영화 1. 박광수, 낯선 충무로 영화 2. 박광수, 생소한 상황과 모티프 3. 박광수, 낯선 미장센과 전형성 4. 정지영, 새로운 상징계 주변에서 5. 정지영, 역사의 소환 6. 이명세, 꿈의 공장 7. 이명세, 길 위에서 길을 찾다 8. 장선우, 시대의 감각 9. 장선우, ‘열려진 영화’의 내면 10. 장선우, 뉴웨이브 시작과 끝 제 2부 1장 영상시대 1. 영화운동과 선언 2. 영상시대의 여러 측면 3. 상반된 내부 평가 4. 영상시대 작품 일람 5. 영상시대의 자극과 하길종 영화 6. 영상시대의 실험과 자기모순 : 탈, 성적 망상 7. 영상시대와 호스티스 영화 8. 거친 리얼리티와 문화적 맥락 2장 독립영화 운동의 전개과정 1. 뉴웨이브 시기 독립영화운동과 세대 구분 2. 독립영화의 두 경향 3. 뉴웨이브와 독립영화의 혼종성 4. 뉴웨이브 운동과 독립영화계의 합종연횡 5. 영화계 통일전선 활동 6. 헤게모니 경쟁과 부산국제영화제 7. 독립영화의 성숙과 한계 8. 독립영화 2세대의 마지막 풍경 3장 독립영화의 미학 1. 미학 연구의 범주 2. 영화번역서, 『열린영화』와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3. 『영화언어』와 『민족영화』 4. 비평기획-작가정책 5. 리얼리즘 비평과 신형식주의 비평 6. 독립영화 비평의 마지막 풍경 부기 <바보들의 행진>의 탈구심적 미학 부록 미주 찾아보기

Description

한국 뉴웨이브 영화 : 하길종과 ‘영상시대’부터 뉴웨이브와 장선우까지_1975~1995 1980년 뉴웨이브의 전조로 출발한 <바람불어 좋은 날>에서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1994) 혹은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창설까지 이어진 뉴웨이브는 기존 한국영화 구체제와 새로운 시도와의 상호 영향과 협력, 경쟁과 투쟁의 결과물이었다. ‘영상시대’와 ‘뉴웨이브 프리퀄’ 그리고 ‘뉴웨이브’ 사이에 공통된 미학이 있는 것이 아니다. 수용과 극복의 형태로 이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영상시대’는 자기 반성과 비판 그리고 문제의식을 서투르게 드러냈다. ‘뉴웨이브 프리퀄’에서는 그 문제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수렴되면서 완성된 미적 형태로 귀결되었다. ‘뉴웨이브’는 그것을 더 현실적이거나 더 영화적으로 성숙시키는 과정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영화의 특징들은 바로 이러한 ‘뉴웨이브’를 토양으로 하고 있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