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서문 : 한국 뉴웨이브 개설
제 1부
1장 뉴웨이브의 맥락
1. 뉴웨이브
2. 『코리안 뉴웨이브 : 1980~1995』
3. ‘영상시대’와 뉴웨이브를 잇는 미적 ‘사건성’
4. 뉴웨이브, 비판적 리얼리즘
5. 뉴웨이브, 코리안 컨벤션의 탈피
6. 뉴웨이브의 변모
2장 뉴웨이브 프리퀄
1. 임권택, 고정된 이념적 중립
2. 임권택, 민족지 예술영화 ethnographic art film
3. 임권택, 주체 미학
4. 이장호, ‘영상시대’에서 뉴웨이브까지
5. 이장호, 프로토내러티브의 불연속 전이성
6. 이장호, 민중주의와 기독교
7. 배창호, 관습과 클리세clich?의 현대화
8. 배창호, 적절한 도착
3장 한국 뉴웨이브 영화
1. 박광수, 낯선 충무로 영화
2. 박광수, 생소한 상황과 모티프
3. 박광수, 낯선 미장센과 전형성
4. 정지영, 새로운 상징계 주변에서
5. 정지영, 역사의 소환
6. 이명세, 꿈의 공장
7. 이명세, 길 위에서 길을 찾다
8. 장선우, 시대의 감각
9. 장선우, ‘열려진 영화’의 내면
10. 장선우, 뉴웨이브 시작과 끝
제 2부
1장 영상시대
1. 영화운동과 선언
2. 영상시대의 여러 측면
3. 상반된 내부 평가
4. 영상시대 작품 일람
5. 영상시대의 자극과 하길종 영화
6. 영상시대의 실험과 자기모순 : 탈, 성적 망상
7. 영상시대와 호스티스 영화
8. 거친 리얼리티와 문화적 맥락
2장 독립영화 운동의 전개과정
1. 뉴웨이브 시기 독립영화운동과 세대 구분
2. 독립영화의 두 경향
3. 뉴웨이브와 독립영화의 혼종성
4. 뉴웨이브 운동과 독립영화계의 합종연횡
5. 영화계 통일전선 활동
6. 헤게모니 경쟁과 부산국제영화제
7. 독립영화의 성숙과 한계
8. 독립영화 2세대의 마지막 풍경
3장 독립영화의 미학
1. 미학 연구의 범주
2. 영화번역서, 『열린영화』와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3. 『영화언어』와 『민족영화』
4. 비평기획-작가정책
5. 리얼리즘 비평과 신형식주의 비평
6. 독립영화 비평의 마지막 풍경
부기
<바보들의 행진>의 탈구심적 미학
부록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