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장. 사람들은 왜 꾸물거릴까? 꾸물거림이란 무엇일까? 나는 언제 꾸물거릴까? 나는 왜 꾸물거릴까? 자기 이해로부터 출발하는 변화의 여정 꾸물거림의 발단이 되는 다섯 가지 개인 특성 2장. “내일부터 시작해도 될 것 같은데?” : 비현실적 낙관주의 낙관성 때문이다 남 일은 객관적으로, 내 일은 주관적으로 왠지 모르게 괜찮을 것 같을 때 실천이 어려운 이유, ‘아마도’와 ‘어쩌면’ 꾸물거림의 대차대조표: 얻은 것과 잃는 것 ‘나’를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은 ‘나’ 자신뿐이다 변화를 위한 첫걸음: 속단하지 않기 상담자의 오답노트: ‘현실적인 낙관주의자’가 되자 3장. “또 미루는 나, 다시 태어나는 게 답인가?” : 자기 비난 경향성 대체 나는 왜 이 모양일까? 채찍질이라도 해야 더 잘할 수 있어 손쉬운 도피는 더 큰 문제를 불러온다 자기 비난-죄책감-꾸물거림의 삼각관계 자기 비난의 기원 부모의 헌신과 자녀의 죄책감 해야 하는 것 vs. 하고 싶은 것 정말로 내가 원하던 것일까? 죄책감이 주는 신호 나도 나를 믿고 싶다 4장. “급한 건 알겠는데 지금은 할 기분이 아니라고!” : 현실에 대한 저항성 미뤄봐야 정신 승리에 불과하다 뜨거운 인지와 냉철한 내면의 감독관 그럼 어떻게 되면 좋겠어? 반항적인 꾸물거림의 이득과 손실 자율적으로 목표 추구하기 풍선의 바람 빼기 나는 슬플 때 글을 써 5장. “진심으로 했는데 엉망이면 어떡하지?” : 완벽주의 성향 나의 완벽한 토요일 무결함이라는 환상 완벽주의의 두 얼굴 잘 못 해내면 어떡하지? 완벽주의를 버려야 꾸물거림이 해결될까? 하나라도 놓치고 싶지 않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는 없다 잘해야 한다 vs. 잘하고 싶다. 6장. “재밌으면 나도 안 미뤘지!” : 자극 추구 성향 심장이 두근거리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야 작심삼일의 이유 자극의 다양한 형태들 레벨 업은 ‘S’자 곡선을 따른다 시도와 포기를 반복하는 이유 언젠가는 누구도 잔소리하지 않는다 다 같은 재미가 아니다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