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너무 많은 눈빛, 말. 그런 것들을 온몸에 묻히고 집에 돌아올 때면 아무 목이나 끌어안고 울고 싶기도 했다. 의혹이 없어 곧은 눈빛, 아무것도 숨기지 않은 순순한 말, 단정하고 절박한 사람의 꼭 그런 문장, 포옹, 기꺼운 포옹. 그 모든 것이 아무 목이었던 날.” 아무 목이나 끌어안고 울고 싶을 때 스치는 한순간의 장면 앞에서도 깊은 슬픔에 빠지는 사람. 너무 자주 외롭다고 하면 외로운 줄 모를까 봐 가끔씩만 외롭다고 하는 사람. 천천히 씩씩해지고 급하게 다정해져서 자주, 쉽게 실망하는 사람. ‘작가’가 된 사람이 아니라 그저 쓰는 사람, 쓰려는 사람, 계속 쓰는 사람, 계속 쓰려는 사람. 한 글자 차이로 달라지는 점 때문에 오랜 시간 고민하고 싶은 사람. 실수하고 싶지 않아서 조심하는 사람. 지금보다 슬픔을 잘 고백하고 싶은 사람. 매일 즐겁고 또 매일 슬픈 사람. 그게 이상하지 않다고 믿는 사람의 이야기. 이야기에도 저마다의 자세가 있다고 믿는다. <1부> ‘한 번 헹군 마음’에서는 혼자 웅크리고 있는 자세의 이야기를, <2부> ‘호명의 시간’에서는 이쪽에서 그쪽으로 손을 뻗는 자세의 이야기를 실었다. <3부> ‘이쪽으로 건너올 수 있어요’에서는 건너올 다리가 없어도 그쪽에서 이쪽으로 건너오는 이들의 자세를 떠올리며 이야기를 모았다. 1~3부 본문 중간중간 편지글이 삽입되어 있으며, 마지막 <부록> ‘편지와 노래’에서는 함께 부르고 싶은 노래와, 이쪽에서 그쪽으로 부치는 편지, 그리고 언젠가 받았던 편지 두 통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