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코니

장 주네 · Play
272p
Where to buy
content
Rate
4.3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장 주네는 현대 연극사상 가장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절도 등 각종 경범죄로 수감되어 수형 생활 중에 시집 ≪사형수≫를 출간하며 등단했다. 프랑스 지성계는 천재 시인의 등장에 환호했고 사르트르는 ≪성 주네≫를 써서 주네를 성인 반열에 올려놓기까지 했다. 하지만 평생 아웃사이더로 살아온 주네에게 세간의 이런 관심은 독이 됐다. 주네는 절필을 선언하고 오랫동안 침묵한다. 주네가 5년 만에 침묵을 깨고 발표한 첫 작품이 바로 <발코니>다. 이전까지 주로 자신이 속한 범죄 세계, 수형 생활, 동성애자로서 경험과 같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작품에 담아내는 데 주력했던 주네는 이 작품 이후 본격적으로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표명하기 시작했다. 피스카토르, 피터 브룩 등 당대 최고의 연출가들이 <발코니> 무대화에 뛰어들었고, 이를 계기로 주네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가 된다. 초역이다.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어떻게 <발코니>를 공연할 것인가 나오는 사람들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끝

Description

주네가 5년 절필 끝에 발표한 첫 희곡 프랑스 지성을 대표하던 사르트르가 ≪성 주네≫를 출간하자 부랑자 생활에 절도를 일삼다 수감되기를 반복하던 주네에게 대중의 관심이 쏠린다. 이에 부담을 느낀 주네는 절필을 선언했다. <발코니>는 주네가 절필을 선언한 지 5년 만에 침묵을 깨고 발표한 첫 희곡이었다. <발코니> 이후 주네는 확연히 달라진 창작 세계를 보여 준다. 이전까지는 주로 자전적인 요소를 소재 삼아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는 데 주력했던 주네가 <발코니>이후 작품에서 분명한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표명하기 시작한 것이다. 주네에게 세계적 명성을 안겨 준 작품 사창가에서 벌어지는 음란한 역할극, 그 바깥에서 고조되어 가는 혁명의 분위기, 혼란 속에서 가상과 현실 세계가 뒤섞이면서 사창가의 주인이자 지하 세계의 여왕으로 군림하던 이르마는 현실 세계의 여왕을 대신하게 된다. 주네는 이 작품에서 서구사회를 돈과 육체가 맞교환되는 장소, 속임수와 환상이 지배하는 장소로 보고 호화스런 사창가에 비유했다. 프랑스 검열 당국이 이 문제작의 공연을 허락할 리 없었다. 초연은 이듬해에야 영국에서 피터 자데크의 연출로 이루어진다. 주네는 <하녀들>에서 만족스러운 연출력을 보여 줬던 피터 자데크의 공연에 기대를 걸었지만 초연 당일 공연을 중단시키기 위해 무대 위로 뛰어 올라가는 소동을 벌였다. 연출 방향에 동의할 수 없었던 것이다. 프랑스 본국에서의 초연은 현대연극사상 가장 위대한 연출가로 평가되는 피터 브룩이 맡았다. 그와 동시에 런던, 베를린, 빈과 밀라노 등 전 유럽에서 <발코니>가 공연되었고, 각지에서 공연되자마자 문제작으로 떠올랐다. 유례가 없던 일이었다. 더욱이 피스카토르, 로제 블랭, 조르지오 스트렐러, 리처드 셰크너 등 당대 최고의 연출가들이 <발코니> 무대화에 도전했다. <발코니>는 주네의 인지도를 전 세계적으로 드높여 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발코니>에 대한 주네의 각별한 애정 <발코니>는 명연출가들의 손끝에서 세련된 무대로 형상화되었지만, 주네가 이들 공연에 늘 만족했던 것은 아니다. 특히 피터 브룩의 파리 초연은 주네에게 큰 실망을 안겨 주었다. 결국 주네는 ‘어떻게 <발코니>를 공연해야 하나’라는 글을 써서 자신의 불만을 공개적이고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1962년 이후로는 책을 출판할 때 이 글을 아예 서문으로 싣도록 했다. 게다가 주네는 1956년 작품을 발표한 이래 10년에 걸쳐 개작과 수정을 거듭한다. 1962년 수정본을 출간하면서 이를 “결정본”이라고 못 박았지만 1968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전집을 출간하면서 주네는 또 한 번 <발코니>를 수정했다. 주네는 거의 강박에 가까울 정도로 쉼 없이 작품을 고치고 수정했다.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려는 이런 각고의 노력은 <발코니>에 대한 주네의 애정이 얼마나 각별했는지를 보여 준다. 국내 초역으로 출간한다.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