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의 관찰들

니클라스 루만 · Social Science
216p
Where to buy
Rate
4.5
Average Rating
(1)
문학동네 인문 라이브러리 21권. 20세기 가장 중요한 사회 이론가 중 한 명인 니클라스 루만이 학문적 원숙기에 펴낸 대표 저서이다. 사회 스스로 행하는 자기기술自己記述이 완벽할 것이라 생각했던 시대는 ‘포스트모던’의 출현 이후 끝나버렸고, 이제 사회의 자기기술은 매번 다르고 우연적이다. 루만은 이 책에서 사회에 대한 구속력 있는 어떠한 재현도 없다는 것을 기꺼이 인정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회에 대한 성찰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근대 안에는 근대 바깥의 무엇이 있는가? 근대를 넘어서는 무엇이 어떻게 근대 안에서 가능한가? 이 책은 어떠한 외부 관찰자도, 어떠한 메타서사도 없이 전개되는, 세련되고 독창적인 결과물이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서문 5 1 근대사회의 근대적인 것 9 2 유럽적 합리성 35 3 근대사회의 고유가치로서의 우연성 63 4 미래의 기술 87 5 무지의 생태학 101 주 153 해설 근대사회의 자기관찰: 191 근대 안에서 근대 밖을 관찰하고 재기술하기

Description

근대 안에는 근대 바깥의 무엇이 있는가, 근대를 넘어서는 무엇이 어떻게 근대 안에서 가능한가? ‘현대의 헤겔’ 루만, 체계이론을 통해 근대사회를 재기술再記述하다 사회학적 양가죽을 쓰고서 철학자로 등장하는 사회학자. _ 위르겐 하버마스 루만은 우리시대의 헤겔이다. _페터 슬로터다이크 니클라스 루만의 이론과 『근대의 관찰들』의 위치 독일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의 1992년작 『근대의 관찰들』이 문학동네 인문라이브러리 스물한번째 권으로 출간되었다. 루만이 국내에 소개되며 이름을 알린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그가 전개하는 체계이론의 난해함으로 인해 아직도 낯설게 느끼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루만의 정교한 이론이 가지는 폭넓은 영향력과 전방위적 응용의 가치에 대해서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다. 루만은 “사회에는 주소가 없다”고 말한다. 즉 어떠한 사회도 자기 자신의 고유한 작동들로 자기 자신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어떤 사회학자의 이론적인 구성물로도, 특히 루만의 이론처럼 우리 시대가 도달한 가장 정교하고 복잡한 이론적 구성물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으로 사회에 도달할 수 없다. 이는 이론의 유용함, 또는 반대로 무용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사회가 ‘해소 불가능한 불확정성’의 상태를 극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루만은 사회에 대한 구속력 있는 어떠한 재현도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사회에 대한 성찰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사회 속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과 관계의 양상 역시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사회학자들은 이 복잡성의 의미를 간파하기 위해 점점 더 복잡한 이론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복잡한 이론을 통해서만 복잡한 사회를 깊고 예리하게 관찰하고 기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루만은 체계이론의 정립을 통해 어려운 문제들의 높은 허들을 뛰어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학자로서, 또한 철학자로서 독보적인 위치에 우뚝 섰다. 한 대담에서 그는 40세에서 55세까지가 한 인간의 작업적인 생산성이 최고조에 달한다고 말했지만, 오히려 그 자신이 55세가 되는 1982년부터 체계이론은 더욱 비상한다. 루만은 1984년에 출간된 『사회적 체계들』 이전까지 자신의 작업은 없는 것이라 보아도 좋고 이 책 이후가 일련의 작업들의 출발점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근대의 관찰들』이 출간된 1992년은 그의 이론이 루만 자신의 기준에 따라 본궤도에 오른 이후, 더 높은 비상이 안정화된 시점이다. 당시 루만은 이론적인 추상성의 강도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었고, 그렇게 구체적인 현상을 깊게 관찰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따라서 『근대의 관찰들』은 더 높게도, 더 낮게도, 더 빠르게도, 더 천천히 비행하면서도 더 추상적이면서 동시에 더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관찰자가 자기 자신을 관찰하는 근대를 관찰하는 이차 관찰의 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근대사회의 복잡성과 우연성을 분석하다 근대사회는 정점도 중심도 없는,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라는 진화적인 성취에 도달했다. 정치나 경제가 한 사회 전체를 대표할 수 없으며, 정치의 기능이 교육이나 학문, 종교의 기능에 대해 우위를 갖지 않는다. 오히려 근대사회는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체계들만큼 복수의 중심을 갖는 사회이고, 복수의 정점들을 갖는 사회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사회에는 중심과 주변의 경계 간의 다양한 낙차가 다양한 높낮이의 리듬과 강도로 현실을 구성한다. 이는 체계와 환경 간의 차이를 통해 사회의 작동으로 현재화된다는 점에서, 체계이론은 작동적인 차이를 이론화하는 차이이론이다. 그리고 이런 작동상의 차이를 통해서 체계이론은 근대사회의 복잡성과 우연성을 ‘깊고 예리하게’ 분석하려는 사회학이론이다. 『근대의 관찰들』은 복잡한 근대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과는 ‘다른 종류의 인식’을 획득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자기지시적 체계이론의 일반적인 층위뿐만 아니라 근대사회의 기능적 질서의 구조적인 풍부함과 그 다양한 의미론을 다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여기서 이론화되는 다양한 사회학적 쟁점들은 존재론적인 차이가 아니라, 작동상의 차이를 통해서 근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의 자기생산 구조를 이론적으로 관찰하고 이론적으로 기술하는 사회학의 한 진경으로 펼쳐진다. 루만은 이 책에서 근대사회, 합리성, 우연성, 시간, 인식 그리고 무지라는 주제 아래 신학, 철학, 언어학, 역사학, 정치학, 법학, 경제학, 생태학, 교육학, 행정학, 조직학, 경영학, 심리학, 인류학, 인지과학, 생물학, 사이버네틱스 등의 학문적인 성과들을 사회학으로 재이론화하고 있다. 즉, 사회학을 통해 근대사회의 ‘자기 주제화’가 구조적인 복잡성과의 연관 속에서 이론화되고 정식화된다. 그래서 『근대의 관찰들』은 체계이론을 통해서 근대사회를 ‘재기술’하는 사회학적인 시도로 볼 수 있다. 책 제목이 근대의 ‘관찰’이라는 단수가 아니라, 근대의 ‘관찰들’로 복수인 이유다. 체계이론을 통해 근대사회를 재기술하다 사회와 세계는 다르다. 이런 점에서 사회적 체계는 의미를 생산하고 양적인 복잡성을 질적인 복잡성으로 전환하며, 구조화된 우연성을 증폭시키는 메커니즘이다. 사회적 체계를 통해서 상황을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고, 현실을 다양하게 관찰하며, 더 많은 이름으로 기술할 수 있는 사회의 능력이 증가할 때, 체계이론은 이를 ‘문명화 과정’이라고 본다. 이는 우연하고 복잡한 행위 연관의 자유가 증가하는 것이기도 해서, 우연성을 해방하고 복잡성을 구축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사회는 작동하고, 그러기 위해서 자기 스스로를 관찰한다. 루만에 따르면, 비판 역시 자기관찰이고 그렇게 자기기술을 통해 동일성을 구성한다. 사회를 비판한다고 해서 사회 바깥에 또다른 사회를 구축할 수는 없다. 비판을, 부정을 자기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비판적인 자기기술, 자기부정을 포함하는 ‘재기술’에 있는 것이다. 근대사회는 너무도 복잡하기 때문에, 사회가 사회를 관찰하는 자기관찰이 복잡성 과잉에 무화되지 않으려면, 사회는 자기를 단순화하는 의미론적인 장치, 즉 동일성이 필요하고 이를 스스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서 근대사회는 자의적인 방향으로 전개하는 대신, “지적으로 고유한 역동성”을 구성한다. 루만의 어떤 저작에서도 인명색인을 찾을 수 없는 것은, 근대사회의 여러 현상들과 관계들, 사회적 행위와 체험의 지속적인 구조를 사회학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이 다른 이론가나 철학자, 사회학자가 무슨 말을 어떻게 했는지, 얼마나 오해하고 오인하는지, 얼마나 자유주의적인지, 진보적인 이론과 보수적인 이론을 구별하는 스펙트럼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식별하고 판정하는 것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인식의 획득은 가치에 대한 신앙고백에 있지 않고, 현실을 구성하는 사건들 간의 인과성들을 비교하고 기능적으로 산출하는 사회적 체계의 작동에 있다. 정작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사회가 자신을 관찰하면서, 자신을 어떻게, 또 무엇으로 주제화하는가 하는 점이다. 『근대의 관찰들』은 체계이론을 통해 사회가 자기 자신에 대한 새로운 주제를 산출하면서, 행위와 체험의 새로운 사건화 가능성을 의미로 현재화하고 현실화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사람들은 가르치기 위해서가 아니라 관찰되기 위해서 출판한다” 이 책이 출간되기 직전에 빌레펠트대학에서 진행한 강의를 엮은 『체계이론 입문』에서 루만은 앞서 언급한 근대사회의 “지적으로 고유한 역동성”이야말로 “오늘날 이른바 포스트모던 상황에서 펼쳐지는 것 가운데 가장 환상적이고, 매력적인 것”에 속한다고 이야기하며, “이러한 토대 위에서 일반 체계이론에 관한 구상을 더 발전시켜보고자 한다”고 말한다. 이 발언은 『근대의 관찰들』에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