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오브 PRISMOf 07호: 그녀

프리즘오브 프레스
16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6(52)
0.5
3
5
Rate
3.6
Average Rating
(52)
Comment
More

매 호 한 영화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담는 격월 영화잡지이다. Prism과 Of의 합성어로, 영화에 대한 프리즘과 영화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프리즘을 담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화를 여러 각도에서 재조명하여 관객의 영화적 경험을 확장시키며 소장가치 있는 매거진을 지향한다. 이번 호에서는 '그녀' 속 색감과 연출, 사만다와 테오도르의 사랑, 인공지능의 발전 등을 다양한 시선으로 살펴본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6(52)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LIGHT] 020 Her Self Test 022 Movie Info 026 Storyline & Tips 028 Trivia [PRISM] 032 편지를 쓰기 시작하며 034 테오가 샘을 만났을 때 036 그녀의 고백 038 The Moon Song 040 가장 보통의 존재 042 한 조각의 기억을 안고 046 편지를 부치며 054 욕망하는 몸과 몸을 향한 욕망 056 상상과 감각, 스파이크 존즈의 세계 058 Table Talk 064 OS 사용자 게시판 [SPECTRUM] 074 Survey for Her 076 개발자 10인의 시선 080 Intv. 랑데뷰 개발자 김 영 086 Intv. 심리상담사 이환순 092 His Closet 094 빈틈 속 달의 노래 096 <그녀>의 컬러 팔레트: 칸딘스키 색채학 100 그녀는 떠나고 우리는 남았다 104 그녀와 호모사피엔스의 심오한 동거 108 The Planet 116 사만다가 인도하는 세계: SF 속 인공지능 120 태초에 감각이 있었다 124 Crossword Puzzle [PRISM-PIECE] 126 Profile 128 Interview & Prism-piece [SPECIAL FEATURE : Relationship] 136 Editorial: Relationship 140 매체 히스토리, 편지에서 클릭까지 142 AI 어디까지 왔나 144 관계에 대한 열 가지 질문 146 다자연애를 하면 덜 외롭나요? 148 혼자서도 괜찮아요 ?

Description

프리즘오브는 매 호 한 영화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담는 격월 영화잡지입니다. Prism과 Of의 합성어로, 영화에 대한 프리즘과 영화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프리즘을 담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영화를 여러 각도에서 재조명하여 관객의 영화적 경험을 확장시키며 소장가치 있는 매거진을 지향합니다. 프리즘오브 7호《그녀》 영화 《그녀》는 SF 멜로라는 조금 낯선 장르와 그 속에 담긴 따뜻하고 통찰력 있는 서사, 또 평범한 듯 평범하지 않은 화면들로 2013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인공지능 OS와 인간의 사랑이라는 독특한 소재는 우리에게 사랑과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프리즘오브 7호에서는《그녀》속 색감과 연출, 사만다와 테오도르의 사랑, 인공지능의 발전 등을 다양한 시선으로 살펴봅니다. [출판사 서평] 발행인의 말 저는 고등학교 때 처음으로《존 말코비치 되기》를 봤습니다. 영화를 좋아하는 친구와 모니터 앞에 앉아 이게 그렇게 유명한 영화라며 함께 보고서는 도대체 우리가 뭘 본 거냐고 혼란스러워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작품이 찰리 카우프만 각본이었다는 것도, 찰리 카우프만이 어떤 사람인지도 훨씬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스파이크 존즈라는 이름을 알게 된 건 그리고 나서도 더 한참 뒤였습니다. 그때의 저는 영화란 모름지기 처음부터 끝까지 봐야 한다고 생각해서 엔딩 크레딧까지 다 보는 것을 관례처럼 여겼는데,《존 말코비치 되기》는 마지막 장면이 끝나고 검은 화면이 뜨자마자 껐습니다. 그런데 가끔 그런 영화들이 있잖아요. 티백처럼 하루가 지나고, 일주일이 지나도 그 맛이 느껴지는 영화들. 《존 말코비치 되기》는 그런 영화였습니다. 하굣길에, 주말 아침에, 극장에 갈 때 불쑥 생각이 나곤 했습니다. 스파이크 존즈가 14년 뒤에 연출한 《그녀》 역시 그런 영화입니다. 개봉과 동시에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를 만큼의 강렬한 영화는 아닐 수 있지만, 아마 한 번 보면 쉽게 잊히지 않는 작품일 것입니다. 누구라도 붙잡고 이야기하고 싶은 날 휴대폰 액정만 들여다봐야 할 때. 모처럼 일찍 퇴근해 서성이다 결국 집에 돌아와 불 꺼진 방에 들어섰을 때.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기 망설여질 때, 그 사람과 헤어진 이유를 깨달았을 때. 그렇게 여러 번 일상에서 《그녀》를 마주치다 보면 문득 '내 영화'가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영화들은 여러 번 꺼내 먹게 됩니다. 이번 호를 만들면서 유독 지금 우리가 발붙이고 있는 이곳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녀》를 처음 봤을 때 테오도르와 사만다의 '화려한' SF적 사랑이 보였던 것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마지막에 남은 테오도르와 에이미의 뒷모습에 집중하게 되더군요. 테오도르의 공허함에서, 사만다의 사랑에서, 캐서린의 원망에서, 에이미의 말 없는 위로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봅니다. 프리즘오브를 시작한 뒤 오래도록 하고 싶었던 영화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일곱 번째 프리즘오브도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발행인 유진선 2017. 10

Collections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