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 9 Ⅰ. 알랭 바디우 수학적 존재론과 종교적 경험 23 집합론의 (신-)논리 28 주관적 경험으로서 바울의 보편주의 35 마르키온 또는 바울? 45 Ⅱ. 조르조 아감벤 바울에게서의 유대교적 메시아주의 55 바디우에 대한 아감벤의 비판 61 귀스타브 기욤에 따른 메시아적 시간 66 바울과 <호모 사케르> 75 고통의 아이콘으로서 ‘무젤만’ 79 법률과 판결에 반대하는 바울과 더불어 86 도래하는 공동체, 하나의 인형극? 96 Ⅲ. 슬라보예 지젝 그리스도교의 전투적 태도에 대한 변론을 위하여 103 아감벤에 대한 지젝의 비판: 보편적인 것과 잔여 108 아브라함-이삭과 신앙의 역설 116 주체의 파국적 잠재력 122 반-종교로서의 그리스도교 127 Ⅳ. 에릭 샌트너 유대교적 메시아주의와 정신분석적 담론 135 상징적 질서의 침입으로서의 계시 137 카프카, 바울 그리고 법률의 과잉 148 결론적 고찰 · 165 미주 · 171 옮긴이 후기 ·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