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복 같은 소리

Social Science
30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9(7)
Rate
3.9
Average Rating
(7)
2172만 명 중 815만 명. 전체 임금노동자 중 비정규노동자의 숫자다. 매일 출근해 생계를 꾸리는 ‘평범한’ 사람들 세 명 중 한 명 이상은 ‘기간제’, ‘계약직’, ‘촉탁직’, ‘파트타이머’, ‘사내하청’, ‘외주용역’, ‘프리랜서’ 등으로 일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일터에서, 같은 일을 하고도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이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매일 자신의 다름을 느낄까? 어떤 마음으로 업무를 대하고, 동료들과는 무슨 이야기를 나눌까? 출근길과 퇴근길에는 어떤 생각을 하며, 잠들기 전에는 어떤 미래를 그릴까? 이 책은 우리가 매일 어디선가 마주쳐왔던 비정규노동자들이 털어놓는 일의 기쁨과 슬픔에 관한 기록이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Rating Graph
Avg3.9(7)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5 가로수길 · 13 가습기 공장 · 20 고용센터 · 26 공사장 · 33 교무실 · 39 교실 · 45 급식실 · 51 대리운전 회사 · 58 대학교 · 63 대학원 · 68 도로 · 73 마트 · 80 맨홀 · 89 물류센터 · 95 방송국 · 101 병실 · 107 복합상가 · 113 비행기 · 118 빵 공장 · 125 빵집 · 133 사무실 · 140 식당 · 146 신선물류센터 · 153 어린이집 · 161 요양원 · 167 우체국 · 173 인공지능 개발사 · 180 자동차 대리점 · 189 자동차 제조사 · 196 잡지사 · 201 조선소 · 209 종합병원 · 217 주민센터 · 225 주차장 · 231 카페 · 241 콜센터 · 250 퀵서비스 회사 · 259 텔레마케팅 회사 · 265 통신회사 · 271 편의점 · 275 폰케이스 공장 · 283 학교 도서관 · 288 학습지 회사 · 294 휴대폰 부품공장 · 299

Description

“우리 시대 전태일들의 육필 일기를 읽으며 가슴이 떨렸다” ★ 하종강, 조문영, 김하경 강력 추천! ★ 카페, 식당, 마트, 학교, 병원 … 모든 곳에 있었으나 보이지 않았던 이들의 거침없고 생생한 노동일기 2172만 명 중 815만 명. 전체 임금노동자 중 비정규직 노동자의 숫자다(2022년 8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기준). 매일 출근해 생계를 꾸리는 ‘평범한’ 사람들 세 명 중 한 명 이상은 ‘기간제’, ‘계약직’, ‘촉탁직’, ‘파트타이머’, ‘사내하청’, ‘외주용역’, ‘프리랜서’ 등으로 일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일터에서, 같은 일을 하고도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이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매일 자신의 다름을 느끼고 있을까? 어떤 마음으로 업무를 대하고, 동료들과는 무슨 이야기를 나눌까? 출근길과 퇴근길에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잠들기 전에는 어떤 미래를 그릴까? 이 책은 우리가 매일 어디선가 마주쳐왔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털어놓는 일의 기쁨과 슬픔에 관한 기록이다. 이 책에는 한국비정규노동센터가 2011년부터 해마다 모아온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박하고 통렬한 글들이 일터별로 담겨 있다. 주차도우미, 퀵서비스 기사, 방송작가, 맨홀점검원, 공장과 식당의 노동자, 돌봄교사, 요양보호사, 편의점 아르바이트, 콜센터 상담원 등 직종과 경력이 다른 노동자 마흔네 명이 들려주는 적나라한 이야기들 속에서, 우리에게 익숙했던 일상의 장소들은 어느새 낯선 공간들로 바뀌어간다. 딱딱한 통계나 제도 논의에 담기지 않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작업현장과 일상, 감정과 관계를 날것 그대로 전하는 이 내밀한 기록들은 ‘목소리 잃은’ 노동에 관한 미시사이자, 우리가 외면해온 한국 사회의 진짜 얼굴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나는 전생에 뭔 짓을 해서 하루 내내 남의 밥을 해주나 생각한다” ‘일복 터진’ 그들이 직접 써내려간 비정규노동의 기록 ‘일복이 많다’는 건 자랑일까 푸념일까? 누군가에게 이 말을 들으면 웃어야 할까 울어야 할까? 이전에는 분명 노동의 고단함이 담긴 반어적 표현이었는지 몰라도, 오늘날의 분위기는 조금 달라진 듯하다. 각자도생이 생존법칙이 된, 백 세까지 일하는 백세시대의 한국 사회에서 이 표현은 점점 ‘일’이 있는 것만으로도 ‘복’으로 여겨야 한다는 뜻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그렇다면 ‘일복’ 많기로는 비할 데가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이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이 책은 다양한 현장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자신의 일과 생활, 관계에 대해 가감 없이 써내려간 기록이다. 그들이 서 있는 장소는 모두 다르지만, 일하고 좌절하는 방식은 비슷하다. 카페나 식당에서 일하다 화상을 입어도 연고조차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치료비를 청구하면 적반하장으로 화를 내는 사장들의 모습은 놀라울 만큼 똑같다. 잘못한 것이 없어도, 영문을 몰라도 ‘회사를 대신해’ 사과하도록 요구받는 주차장과 콜센터의 노동자들도 마찬가지다. 패스트푸드점과 편의점, 카페의 단시간 노동은 전일제 이상으로 강도 높은 노동과 불규칙적인 근무 시간을 요구하지만 해고는 너무 쉽다. 그나마 합리적인 근무 환경일 것이라고 기대되는 공공기관이나 스타트업 기업 등에서도 월급과 수당, 비품 사용에서까지 미묘한 차별이 이어진다. 그리고 개인 사업자, 즉 ‘사장님’이라는 이름 아래 착취와 책임을 뒤집어쓰며 배달 노동자들까지, 생계를 위해 뛰어든 현장에서 매일 부당함을 깨닫는 이들은 “몸보다 마음에 시퍼런 멍”이 든다. 차별을 경험할 때마다 웅크리고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에는 혼자 혹은 동료들과 문제제기를 하거나 노동조합에 가입해 함께 저항하는 이들의 이야기도 들어 있다. 그 과정에서 숱한 밤을 지새우며 “갖가지 상상을 하다 보니 내가 두려움에 차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가 하면, “내 요구가 정당한 것이 맞나 하는 회의까지 들 정도”로 스스로 검열하며 고민의 나날을 보내기도 한다. 어쩔 수 없이 침묵을 택하거나 회사를 그만두면서도 “나의 퇴직금과 연금은 이미 퇴직한 용감하고 씩씩한 언니야 덕분이었다”며 다른 노동자들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비추기도 한다. 차마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기억까지도 꾹꾹 눌러 담아 세상에 내놓은 이들의 기록은 그 자체로 노동자의 각성과 성장에 관한 이야기다. “이 거지 같은 노동법은 도대체 누구를 위한 노동법일까” 가장 적나라한 낱개들로 그려낸 21세기 대한민국 불평등 지도 이제 비정규노동이 문제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일하다가 죽거나, 같은 일을 하고, 아니 더 많이 일하고도 차별과 착취에 시달리거나, 하는 일도 없이 사람 장사로 돈만 떼어가는 중간착취업체들에 관한 이야기는 더 이상 ‘뉴스’가 되지 못할 정도로 널려 있다. 이 문제는 오늘날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불평등 문제의 핵심 의제로서 다른 사회 문제들과도 긴밀히 얽혀 있다. 그래서 해마다 정부기관과 연구자들, 언론들이 통계수치와 인터뷰, 기사 등의 형태로 문제를 제기하며, 제도 개선도 진지하게 모색한다.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은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문제가 고착화되면서 어느새 이러한 연구 결과가 연례행사처럼 당연해지고, 정작 당사자의 목소리는 ‘필터’를 거쳐서만 전달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비정규노동의 문제는 이제 자극적인 사건이나 동정을 불러일으키는 서사가 없으면 외면되는 지경에 이른 것은 아닐까? 책 속에 등장하는 이야기들은 우리가 이미 겪었던 노동이거나 앞으로 겪게 될 노동의 모습이기도 하다. 편의점이나 카페, 패스트푸드점, 백화점 주차장 등에서 일하는 청년, 근로장학생으로 일하는 대학생과 조교 업무를 병행하는 대학원생, 출산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뒤 학교의 교무실과 도서실, 급식실, 콜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노동자의 모습이다. 장시간 노동으로 특근 등의 수당을 받아야 월급이 유지되는 조선소와 자동차 제조사 노동자들에게서는 고질적인 저임금 노동의 현실이 겹쳐진다. 코로나 등의 상황에서 퀵서비스와 대리운전, 플랫폼 배달을 시작한 노동자들, 은퇴 이후에도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따고 공공근로 등을 찾아 쉼 없이 일하는 중장년 노동자들의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던” 비정규노동을 시작한 이후, “경쟁심이 긴장감을 만들고 이러한 긴장감이 모순적인 현장 상황을 참게 해 갖은 권리를 박탈당하는 악순환의 굴레”로 이어진다는 점을 간파한다. 비정규직이 “본인의 선택”이라거나 “공부를 열심히 안 해서” 된 것이라는 세간의 이야기에 대한 생각도 털어놓는다. 서너 명의 노동자가 수백 명의 식사를 책임지는 학교 급식소는 노동환경이 너무 열악해 늘 인력부족에 시달린다는 사실, 조선소 등 일부 제조업의 높은 임금은 사실상 일상적인 잔업으로 유지되며 그조차 경기변동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는 사실, 애초 보험도 수당도 보장받지 못하는 배달기사 등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파업’은 엄밀히 말해 ‘그냥 노동하지 않는 것’일 뿐이라는 지적은 생생하고 통렬하다. 정규직이 은퇴한 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채움으로써 점차 비정규직의 비율을 늘려나가는 교묘한 방식이 횡행하는 현실, 최첨단 스타트업 기업 또한 사실상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21세기 인형 눈알 붙이기” 노동으로 지탱되는 상황 등도 노동자들이 직접 목소리를 내지 않으면 결코 알 수 없을 이야기들이다. 따라서 이들의 글을 한데 모아 읽는 것은 지금껏 한국 사회를 소리 없이 떠받치고 있는 사람들을, 우리가 외면해온 한국 사회의 진짜 얼굴을 마주하는 일이기도 하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