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할까

롤프 메르클레
21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7(15)
0.5
4.5
5
Rate
3.7
Average Rating
(15)
Comment
More

7만 부 판매 · 출간 7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 (양장 한정판) 독일 아마존 베스트셀러! 《감정사용설명서》, 《당신은 생각보다 믿을만하다》 등으로 국내에도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독일의 유명 심리상담가 롤프 메르클레는 이 책에서 매우 특별한 형태의 자신감, 우리가 흔히 ‘자존감’이라고 부르는 감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완벽하지 않고 실수투성이에 약점이 있는 우리가 지금 이 모습 그대로도 충분히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감 넘치는 사람으로 거듭나는 법과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스스로 행복해지는 법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7(15)
0.5
4.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 당신은 완벽하진 않지만 사랑받을 만한 사람 PART 1 당신은 있는 그대로 사랑받을 만한 존재 1장 | 당신 스스로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가 2장 | 자존감이 낮아지면 당신에게 생기는 일 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이 느끼는 감정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은 이렇게 행동한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의 몸에 일어나는 변화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이 일을 어떻게 대하는가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의 인간관계가 빠지는 함정들 3장 | 당신의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것들 부모가 정한 규칙이 당신을 옭아매고 있다 우리의 행동을 인격과 동일시하는 착각 부모의 기대와 다른 삶에 대한 소망 부모의 애정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공포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열등감은 비교 속에서 태어난다 칭찬을 아끼거나 꾸지람이 잦은 경우 실패와 좌절이 자신감을 위축시킨다 감정 표현을 지나치게 억눌렀을 때 별 뜻 없이 던진 말이 평생의 상처가 된다 부모도 불완전한 인간일 뿐 부모와 맺는 평화협정 PART 2 스스로를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 4장 | 자기 존중에서 자기 사랑으로 스스로를 존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될 필요 없다 스스로를 받아들이고 좋아한다는 것 스스로를 가장 좋은 친구로 대하라 스스로를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 5장 | 내면의 비판자, 친구인가 적인가 어린 시절 내면의 비판자는 친구이자 보호자 내면의 비판자는 왜 당신을 꾸짖는가 내면의 비판자가 하는 말을 믿지 말라 6장 | 자존감 향상은 어떤 기적을 가져왔나 자기 비하를 멈추다-크리스토프의 이야기 내면의 비판자가 아닌 친구를 만나라-시모네의 이야기 나 스스로에 이르는 여행-에리카의 이야기 PART 3 나 자신과 진정으로 화해하는 법 7장 | 내면의 비판자를 길들이는 26가지 연습 나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중단시키라(연습 1-3) 내면의 비판자를 존중하되, 무시하라(연습 4-8) 자신의 부정적인 면과 화해하고 장점 발견하라(연습 9-19) 매일매일 스스로를 기분 좋게 만들어주라(연습 20-26) 스스로에게 좋은 교사이자 친구가 되어주라 8장 | 자신의 몸과 화해하라 거울을 보는 시선을 바꿔라 당신의 몸과 화해하라 나가며 | ‘나’라는 가장 좋은 친구를 만나러 가는 길 역자후기 | 나를 받아들이기 위한 주문, “생긴 대로 살자”

Description

“당신은 완벽하진 않지만 사랑받을 만한 사람!” 넌 이상해! 넌 그런 거 못 할걸! 너 진짜 머리 나쁘다! 제대로 하는 게 뭐 있니? 누가 너 같은 인간을 좋아하겠어? 휴, 너 정말 못생겼다! 내면의 목소리가 자꾸만 당신을 비난하고, 비판하고, 가로막고, 끌어내리는가? 당신은 못난 사람이고, 부족한 사람이라고 말을 하는가? 예민하고 쉽게 상처받고 주눅 드는가? 남의 눈치를 보고 속마음을 털어놓지 못하는가? 자신감이 부족하고 다른 사람과 비교될까 봐 두려운가? 누구도 완벽한 사람은 없다. 남에게 인정받기 위한 가짜 ‘나’를 벗어던지고 진실된 ‘나’를 대면하라. 《감정사용설명서》, 《당신은 생각보다 믿을만하다》 등으로 국내에도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독일의 유명 심리상담가 롤프 메르클레는 이 책에서 매우 특별한 형태의 자신감, 우리가 흔히 ‘자존감’이라고 부르는 감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완벽하지 않고 실수투성이에 약점이 있는 우리가 지금 이 모습 그대로도 충분히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감 넘치는 사람으로 거듭나는 법과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스스로 행복해지는 법을 말하고 있다. 10개국 120만 독자의 마음을 치유한 베스트셀러《감정사용설명서》의 저자가 알려주는 쉽게 상처받고 주눅 드는 사람들을 위한 자존감 높이는 법! 7만 부 판매 · 출간 7주년 기념 양장 에디션! 마음대로 되지 않는 감정과 낮은 자존감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치유해 온 스테디셀러,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할까》가 양장 한정판 스페셜 에디션으로 찾아왔다. 2014년 출간 이래 7년 동안 심리실용 분야에서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실용적인 해법을 제시해 온 터라 한정판 출간이 더욱 반갑게 느껴진다. 고급스러운 양장 제책과 본문 디자인 리뉴얼로 한껏 고급스러워진 이번 에디션은 7만 부 판매와 출간 7주년을 기념하는 한정판이다. 또한 이번 에디션은 낮은 자존감 때문에 고민하고 괴로워하는 청소년들과 삶에 절망하고 힘들어하는 모든 사람에게 선물하기에 좋은 책이 될 것이다. “나를 좋아하는 것은 나와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이다.” 독일의 유명 심리상담가 롤프 메르클레는 이 책에서 매우 특별한 형태의 자신감, 우리가 흔히 ‘자존감’이라고 부르는 감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자존감과 열등감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과도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에게서 다른 사람보다 부족한 면을 발견하더라도 그 때문에 자신을 깎아내리거나 자책하지 않는다. 반대로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진짜 모습을 남들 앞에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하며 남의 시선을 의식하며 전전긍긍하고, 끊임없이 자신의 부족함을 찾아내며 줄곧 열등감에 시달린다. 이러한 자존감, 즉 자기존중감(Self-esteem)은 자신이 지닌 객관적인 조건들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에 달려 있다. 자존감이란 다른 사람에게서 인정받는 것으로 길러지는 것이 아니며,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에서 출발한다. 다른 사람, 혹은 자신이 되어야 할 이상형의 모습과 자신을 비교하는 동안 쌓이는 것은 자신에 대한 불신뿐이며, 우리가 우리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없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자기 자신을 비난하는 내면의 목소리를 잠재우고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라는 소중한 친구를 재발견하게 될 것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나를 바꿀 필요는 없다. 나는 있는 그대로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다.” 존 허셀은 “자존이야말로 모든 미덕의 초석이다.”라고 말했다. 자존감, 즉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에 언제부턴가 사회 전체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모는 내 아이의 자존감을 높일 방법을 고민하고, 청소년이 자살 충동을 느끼는 요인에서 ‘낮은 자존감’은 가정불화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천 동부교육지원청은 2014년부터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을 위한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을 새롭게 신설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열등감 극복 훈련과 자기 표현 훈련 등을 실시했으며, 충남 남부평생학습관에서는 ‘부모역할훈련(PET) 프로그램’을 설치해 “자존감이 낮은 부모는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키울 수 없다.”라는 모토 아래 부모 자신의 변화와 자녀의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을 교육하고 있다. 왜 지금, 우리 사회에서 ‘자존감’이 화두로 떠오른 것일까? 저자 롤프 메르클레는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할까》에서 유년에 맺은 부모와의 관계에 주목했다. 우리의 어린 시절, 아이를 보호하려고 시작된 부모의 잔소리와 꾸짖음은 그대로 내면화되어 우리 자신을 꾸짖는 내면의 비판자가 되었으며, 이 내면의 비판자가 우리를 향해 끊임없는 자기 검열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내면의 비판자는 “그런 행동을 하면 안 돼!”, “그런 말을 해선 안 돼!”, “그건 나쁜 짓이야!” 하며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감시한다. 이는 우리가 어린 시절 부모에게서 듣던 목소리 그대로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느끼는지, 다른 사람의 시선에 기준을 두어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게 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나 행동을 낮게 평가하고, 강점보다 약점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을 남보다 열등한 존재로 생각하게 만든다. 저자는 우리가 내면의 비판자로부터 자유로워지고 행복해지려면 스스로 자신을 책임져야 한다고 말한다. 즉, 우리가 지금 문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의 책임을 부모나 과거에 전가하는 것을 그만두고, 자신을 용서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 부모가 그렇게 되기를 원했던 상을 자신의 이상형으로 여기고, 그 상에 근접하지 못하면 불쾌감을 느낀다. 이상형과 현재 상태가 다를수록 불쾌감은 커지고, 자존감이 낮아져 자신을 열등하게 느끼게 된다. 그러나 저자는 우리가 더 나은 사람이 되려고, 자신을 바꿀 필요는 없으며, 우리는 있는 그대로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고 말한다. 그리고 자존감을 높여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는 것이 행복하고 충만한 삶으로 가는 첫 번째 조건임을 설파하고 있다. 저자는 이를 위해 책 속에서 26가지의 연습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따라가다 보면 남에게 인정받기 위한 가짜 ‘나’가 아닌 진실된 ‘나’와 대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나 자신을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 이 책을 먼저 읽은 독자들의 찬사! “아주 친절하게, 쉽게 풀어 쓴 책. 내면의 비판자에게 굴복하지 않고 자신에게 가장 좋은 친구가 되겠다고 다짐하게 해 준 고마운 책이다. 심리학책의 어렵고 골치 아픈 용어나 복잡한 설명에 넌덜머리 난 독자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이*스 님 “‘자존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책!” -*사랑 님 “진실된 나를 찾아 자존감을 회복하게 해 주는 책”- kepco*** 님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책! 꼭 내 속을 들여다보고 책을 쓴 것 같다.” -ba**s 님 “구체적인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어서 좋아요”-yy**bang 님 “자존감이 낮은 사람이 보면 좋을 거 같아요!”-uk**eon395 님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