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박태균 and 12 others · Social Science
504p
Where to buy
content
Rate
4.3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한미관계에 대한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집필한 책이다. 한반도 분단과 전쟁 과정에서 나타난 한미관계, 한미동맹의 체결과정, 정치, 경제, 안보 차원에서 한국과 미국의 국가이익에 우선한 대외관계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 차원, 국제질서 차원에서 한미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또한 오늘날 이슈가 되고 있는 북핵, 주한미군 문제, FTA 문제, 사드 배치 문제 등 한미관계의 역사, 현재, 미래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포괄적인 서적이다. 한미관계는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한미관계에 대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공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간략목차 서문 1부 한미관계의 태동과 발전 1장 현대 한미관계의 기원: 분단, 전쟁과 한미동맹 / 김계동 2장 한국전쟁 이후 한미관계의 변천 / 박태균 2부 국제체제에서의 한미관계 3장 한국의 대미국외교정책 / 이상현 4장 미국의 대한반도 국가이익과 정책 / 서정건 5장 동북아 질서와 한미관계 / 김준형 6장 중국의 위상제고와 한미관계 / 차창훈 7장 대북정책과 한미공조 / 최진욱 8장 변화하는 동아시아 안보환경과 한미일관계 / 신욱희 3부 한미관계의 분야별 쟁점과 이슈 9장 한미 FTA와 통상문제 / 채 욱 10장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 전봉근 11장 한미동맹 구조, 체계, 역할분담의 문제 / 최 강 12장 한미정보체계 비교와 정보협력 / 석재왕 13장 한국과 미국의 상호인식 / 차두현 14장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그리고 한미동맹의 미래 / 김계동 세부목차 서문 1부 한미관계의 태동과 발전 1장 현대 한미관계의 기원: 분단, 전쟁과 한미동맹 1. 한반도 분단: 미국의 동북아 거점 확보 1) 한반도 독립·분단과 미국의 개입: 신탁통치안과 38선 분할 제의 2) 미국의 점령정책: 남한지역의 미국화 3) 미국의 한반도 분단정부 수립 주도 2. 한국전쟁: 미국의 개입과 세력구축 1) 한국전쟁에 대한 미국의 인식과 참전 과정 2) 미국의 한국전 개입 결과: 억지 성공, 확장 실패 3. 한국전 휴전과 한미동맹 수립: 한반도 세력균형의 모색 1) 휴전협상의 갈등과 이승만의 저항 2)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합의의사록 체결 2장 한국전쟁 이후 한미관계의 변천 1. 이승만 정부 시기 한미 간의 갈등 1)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뉴룩정책 2) 뉴룩 하에서의 대한정책과 이승만 정부와의 갈등 2. 1960년대 미국의 대한정책 변화와 한미관계 1) 1960년대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 2) 1960년대 미국의 대한정책 변화 3) 1960년대 한미 간의 갈등 3. 1970년대 데탕트와 한미관계 1) 닉슨 행정부의 데탕트정책 2) 미국의 대한정책 3) 1970년대 한미 간의 갈등 2부 국제체제에서의 한미관계 3장 한국의 대미국외교정책 1. 한국의 대미외교: 과거와 현재 1) 한미관계 65년의 평가 2) 대미외교의 특징 2. 대미외교의 발전방향 1) 한미동맹을 둘러싼 환경 변화 2)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정책 변화와 대미외교 3) 동맹현안 및 정책적 고려 사항 3. 대미외교 과제와 전망 4장 미국의 대한반도 국가이익과 정책 1. 대외전쟁과 미국정치: 역사적 개요 2. 한국전쟁과 미국정치: 역사적 사례 1) 한국전쟁과 미국 의회대통령 관계 변화 2) 한국전쟁과 미국 군비 재증강(NSC68) 3) 한국전쟁과 미국 대통령선거 및 정당정치 3. 트럼프 시대 미국정치와 북한 비핵화 이슈 1) 트럼프 시대 미국정치의 변화와 지속 2) 북한 비핵화를 다루는 미국정치 현실 3) 미국 의회의 역할과 한반도 이슈 전망 4. 한반도 이슈의 미국문제화(Americanization): 현실과 전망 5장 동북아 질서와 한미관계 1.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동북아 질서 2. 냉전해체 이후 미국의 안보패러다임의 변화 과정과 대동북아전략 3. 미국의 대동북아전략과 한미동맹 4. 한미 양국의 신정부 출범과 한미관계 5. 한미관계와 동북아 및 한반도 평화체제 공존 6장 중국의 위상제고와 한미관계 1. 양자택일이 아닌 한미관계와 한중관계 2. 한미관계 및 한중관계의 역사적 연원 1) 한미관계와 한미상호방위조약 2) 한중수교와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 3. 한미관계와 한중관계 비교 1) 정치 및 안보 분야 2) 경제적 상호의존성 3) 한미관계와 한중관계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의식 4. 한반도 냉전구조의 전환 1) 한반도 냉전구조와 북중관계 2) 북중관계의 불안정성과 북한의 엔드게임 3) 중국의 위상제고와 한반도 5. 한미관계와 한중관계의 사이에서 1) 미국과 중국의 협력 혹은 경쟁? 2) 한국의 전략적 선택 6. 남북관계 개선으로 시작해서 7장 대북정책과 한미공조 1. 한미공조의 기원과 냉전의 유산 1) 한미공조의 기원 2) 냉전의 유산 2. 유일초강대국 미국과 북한체제의 불확실성(1989~2009년) 1) 남북공존의 모색(1989~1993년) 2) 북핵위기의 고조와 대북 포용 3) 9·11테러와 제2차 북핵위기 4) 특징 3. 미중 패권경쟁과 급변하는 동북아 질서(2009~2018년) 1) 중국의 부상과 한국의 피봇(Pivot) 논란 2)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정책과 한반도 운전자론 3) 특징 4. 쟁점과 평가 1) 쟁점 2) 평가 8장 변화하는 동아시아 안보환경과 한미일관계 1. 부상하는 중국과 경쟁구도의 등장 2. 샌프란시스코체제 3. 미국의 역할 대 중국의 부상 4. 한국의 샌프란시스코체제 전환 모색 5. 마음의 평화, 용기, 그리고 지혜 3부 한미관계의 분야별 쟁점과 이슈 9장 한미 FTA와 통상문제 1. 미국 통상제도 및 정책의 변화 1) 미국통상정책의 시대별 변화 2)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 2. 한미 통상관계의 변화와

Description

1882년 수교 이후 136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한미관계는 수많은 사건과 환경변화를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보여 왔다. 시대, 정치지도자들의 신념과 외교적 상황, 국가이익, 주변국 상황 등 여러 가지 이슈들로 한미관계는 굴곡의 역사를 보여 왔다. 세계에서 미국과 가장 가까운 국가로 여겨지는 영국, 일본, 이스라엘, 한국. 그 중에서 한미관계는 우호관계를 유지하기도 하면서도 때로는 충돌을 일으키기도 한다. 한미관계에 대한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집필한 이 책은 한반도 분단과 전쟁 과정에서 나타난 한미관계, 한미동맹의 체결과정, 정치, 경제, 안보 차원에서 한국과 미국의 국가이익에 우선한 대외관계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 차원, 국제질서 차원에서 한미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오늘날 이슈가 되고 있는 북핵, 주한미군 문제, FTA 문제, 사드 배치 문제 등 한미관계의 역사, 현재, 미래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포괄적인 서적이다. 한미관계는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한미관계에 대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공할 것이다. 이 책의 특징 · 한미동맹의 과거와 현재를 포괄적으로 소개 · 한미관계의 새로운 이슈들에 대하여 진보, 보수, 중도 학자들의 다양한 의견 공유 · 한국과 미국의 복잡한 역학 관계를 전문적이고 쉽게 설명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