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지리적 상상력의 확장
1장 개념에 담겨있는 지리학의 사고방식
1.지리학에 대한 선입견과 정설
2.경계가 흐려지는 지리학의 영토
3.희미해진 영토에서의 지리학의 모습 찾기: 지리학의 개념들
2장 쟁점을 통해 읽어보는 지리학사
1.고대와 중세의 지리학 전통
2.지리상 발견 이후 지리 지식의 체계화와 근대 지리학의 전개
3.현대 지리학의 쟁점과 경향
3장 지리적 사상의 표현: 고지도에서 GIS 까지
1.지리적 사상의 표현: 객관성의 저편
2.고지도를 읽어보자
3.근대 지도에 담긴 정보
4.새로운 개념의 지도: 수치 지도와 GIS
2부 장소와 경관의 이해
4장 자연환경과 인문성: 이원론을 넘어서
1.인간 삶터로서의 자연환경
2.생태론을 넘어 풍토론으로
3.자연환경을 보는 두 가지 시선
5장 풍수 사상의 두 전통
1.터 잡기 예술인가, 지식 체계인가
2.누가 풍수를 들여왔고, 어떻게 사용했는가
3.잃어버린 전통을 찾아서
6장 촌락 지역의 해석
1.촌락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2.촌락의 입지와 형태
3.촌락의 공간 구성과 경관
4.한국 촌락의 근간: 종족촌락
7장 한국도시의 원형 '읍성'
1.성광의 나라 '조선'
2.읍성 안의 경관과 장소
3.읍성은 언제, 어떻게 사라져갔는가
8장 장소와 경관을 새롭게 읽기
1.'다름'을 찬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
2.경관/장소의 해체적 읽기를 위하여
3.경관과 장소의 마케팅: 그 재현의 의미와 한계
3부 근대적 공간의 설명
9장 산업 활동과 지역의 형성
1.산업의 입지와 지역
2.공업의 입지와 지역 변화
3.서비스업의 입지: 상업의 경우
10장 도시의 탄생과 진화
1.도시란 무엇인가
2.도시의 발달
3.한국의 도시 발달
11장 도시의 안과 밖
1.도시규모의 분포
2.중심지 이론: 도시와 도시의 '관계'
3.도시 내부의 구조와 동학
12장 지역 불균등과 공간적 정의
1.공간적 정의의 문제
2.지역 불균등 발전에 관한 이론
3.한국에서의 지역 불균등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