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지리학의 시선

전종한 · Humanities
46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8(9)
0.5
3.5
5
Rate
3.8
Average Rating
(9)
Comment
More

인문지리학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전해주는 책. 1부에서는 지리학의 기본 개념들과 사고방식, 주요 쟁점들을 살피고, 2부에서는 다양한 장소와 경관을 지리학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3부에서는 자본주의가 운행하는 근대적 공간에 대한 지리학적 설명을 다룬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8(9)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부 지리적 상상력의 확장 1장 개념에 담겨있는 지리학의 사고방식 1.지리학에 대한 선입견과 정설 2.경계가 흐려지는 지리학의 영토 3.희미해진 영토에서의 지리학의 모습 찾기: 지리학의 개념들 2장 쟁점을 통해 읽어보는 지리학사 1.고대와 중세의 지리학 전통 2.지리상 발견 이후 지리 지식의 체계화와 근대 지리학의 전개 3.현대 지리학의 쟁점과 경향 3장 지리적 사상의 표현: 고지도에서 GIS 까지 1.지리적 사상의 표현: 객관성의 저편 2.고지도를 읽어보자 3.근대 지도에 담긴 정보 4.새로운 개념의 지도: 수치 지도와 GIS 2부 장소와 경관의 이해 4장 자연환경과 인문성: 이원론을 넘어서 1.인간 삶터로서의 자연환경 2.생태론을 넘어 풍토론으로 3.자연환경을 보는 두 가지 시선 5장 풍수 사상의 두 전통 1.터 잡기 예술인가, 지식 체계인가 2.누가 풍수를 들여왔고, 어떻게 사용했는가 3.잃어버린 전통을 찾아서 6장 촌락 지역의 해석 1.촌락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2.촌락의 입지와 형태 3.촌락의 공간 구성과 경관 4.한국 촌락의 근간: 종족촌락 7장 한국도시의 원형 '읍성' 1.성광의 나라 '조선' 2.읍성 안의 경관과 장소 3.읍성은 언제, 어떻게 사라져갔는가 8장 장소와 경관을 새롭게 읽기 1.'다름'을 찬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 2.경관/장소의 해체적 읽기를 위하여 3.경관과 장소의 마케팅: 그 재현의 의미와 한계 3부 근대적 공간의 설명 9장 산업 활동과 지역의 형성 1.산업의 입지와 지역 2.공업의 입지와 지역 변화 3.서비스업의 입지: 상업의 경우 10장 도시의 탄생과 진화 1.도시란 무엇인가 2.도시의 발달 3.한국의 도시 발달 11장 도시의 안과 밖 1.도시규모의 분포 2.중심지 이론: 도시와 도시의 '관계' 3.도시 내부의 구조와 동학 12장 지역 불균등과 공간적 정의 1.공간적 정의의 문제 2.지역 불균등 발전에 관한 이론 3.한국에서의 지역 불균등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