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지금, 여기’ 단편영화(제)에 대한 여덟 질문 이현승, 안시환 한국 단편영화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얼굴을 바꾸어 왔는가: 단편영화제를 중심으로 본 2000년대 한국 단편영화의 궤적 송경원 -2000~2010년, 단편영화의 대중적 확장기 -2010~2020년, 양적 팽창과 질적 하락의 시기 -2020년 이후, 가능성으로서의 단편영화와 단편영화제 한국 단편영화는 한국 영화의 우주를 이루는 별자리였다 문학산 -단편영화의 주소는 어디인가 -규정불가능성과 불균질성의 맛 -단편영화제가 발견한 작품과 작가라는 별자리 ‘영화’에서 ‘단편’으로 장병원 -단편영화의 위기? 축제의 위기 -축제 모델의 재설정 -‘단편’이라는 형식으로의 전환 -관객의 발굴에서 단편의 발굴로 오늘날, 단편영화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오진우 -최근에 본 풍경 -숏폼은 단편영화의 구원이 될 수 있을까? -단편영화란 무엇인가? -비평도 단편영화가 될 수 있을까? 주인 없는 영화: ‘연출’이라는 오욕의 기술에 관하여 김병규 -‘주인 없는 현장’ -연출이라는 기술 -픽션의 규약 -도둑질의 창조성 우리에게는 ‘단편 예술영화’가 필요하다: 단편영화의 미학적 다양성과 예술적 성취에 대하여 박영석 -단편영화는 장편 상업영화로 향하는 문지방인가? -작가주의적 지향과 리얼리티에의 천착 -단편 예술영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2000년대 단편영화에서 여성 서사의 계보 김소희 -2000년대 단편영화의 여성 서사 계보 그리기와 그것의 곤란함 -생성들 주름들 -어떤 연대기 -발화하는 모자이크 -감정의 페이드아웃 쇼트필름메이커스: 단편영화 주 생산지인 대학 영화과와 학생들의 변화 최익환 -영화과 학생 -한국영화아카데미 장편과정 -소비자 변화 -영화과의 현실과 숙제 -영화 내적 변화-예술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