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는 음악을 듣는다

요로 다케시 and other · Essay
27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5(65)
Rate
3.5
Average Rating
(65)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벼랑 위의 포뇨> 등 스튜디오 지브리를 대표하는 무수한 명작의 음악감독으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현대 클래식 음악가 히사이시 조. 그는 작곡뿐만 아니라 지휘, 연주 등 다방면의 활동을 꾸준히 이어 오며 많은 이들에게 음악으로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특히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사유를 게을리하지 않는 노력은 그의 음악에 고스란히 담겨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대담집 《그래서 우리는 음악을 듣는다》 역시 그러한 고찰의 연장선 위에 있다. 히사이시 조는 이 책에서 뇌과학의 권위자이자 해부학자인 요로 다케시를 만나 지혜와 영감이 가득한 대화를 나눈다. ‘인간은 왜 음악을 만들고 예술과 감각은 사회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큰 주제 안에서 펼쳐지는 이들의 논의는 음악을 비롯한 예술, 과학, 철학, 사회학, 인문학, 곤충의 생태까지 폭넓게 아우르며 읽는 이에게 풍성한 지적 자극을 선사한다. 각자의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 두 거장이 주고받는 이야기는 유쾌하고 흥미롭게 읽히면서도 한편으로는 예리한 통찰력으로 폐부를 찔러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게 한다. 히사이시 조의 음악을 사랑하며 그의 음악적 사상을 엿보고 싶은 독자, 음악과 인간을 잇는 섬세하고도 감각적인 연결고리에 흥미를 느끼는 독자라면 꼭 한 번 읽어 볼 것을 권한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3.5(65)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0+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제1장 음악에 감동하는 인간 명곡은 뇌를 방해하지 않는다 뇌는 영상보다 음악을 먼저 느낀다 눈과 귀의 정보를 통합하는 인간의 뇌 뇌가 없는 곤충은 융통성도 없다 의식 위에 세운 사회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감각 감각이 둔해지는 현대 사회 눈과 귀의 또 다른 역할 촉각과 후각의 이중 구조 인간이 음악에 감동하기 쉬운 이유 멜로디, 시공간의 기억 장치 가장 논리적인 감각 청각의 힘 제2장 감수성이 움트는 감각의 토양 손길을 거부하는 현대 사회 현대보다 나은 과거의 기술 개성은 몸에서 비롯된다 냄새라는 감각과 무취 사회 미각의 기억 사회 체계에 따른 의식의 차이 언어의 구조에 따른 사고의 차이 문화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 동서양 음악의 구조적 차이 색깔이 없는 음악 환경이 달라지면 감성도 달라진다 예술에는 풍토가 묻어난다 음악을 가장 감동적으로 듣는 방법 제3장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 작곡의 핵심은 영감이 아니다 우연을 포착하는 능력 두 가지 작곡법 리듬만이 존재하는 음악 모차르트 효과의 진실 아기는 뱃속에서 무엇을 듣고 있을까 시간 속 구조물로서의 음악 경험으로 새겨지는 음악 인간의 정서를 자극하는 음악 문장의 리듬, 악보의 리듬 생물의 근본에는 리듬이 있다 제4장 인간의 의식과 말 현대 음악의 역사 현대는 의식 중심주의 말로써 전해지는 것 지향성과 감각 긴장감과 관점 몸의 원동력은 무의식이다 집중력의 마지막 끈 정보화와 정보 처리 사회에 가득 찬 저주의 말 새빨간 거짓말 사람들은 '확실한 허구'에 빠져든다 세상을 풍요롭게 만들어야 할 언어 제5장 공감과 창조 목소리와 대화 타인에게 맞춰 주는 능력 대화는 흉내 내기에서 시작된다 절대음감 함께 노래한다는 것의 의미 생존을 위해 리듬을 맞춘다 각기 다른 삶의 방식 타인에게 동조하는 뇌의 시스템 공감하는 뇌 시대와의 공명 우연의 연속 공감 속의 독창성 최적의 해답을 찾는 창작자 인물이 살아 숨 쉬는 이야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재미 제6장 모든 인간은 예술가다 한 사람의 일생은 작품과도 같다 변화를 이어 가는 삶 유쾌한 노인들 모두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사회 건강한 사람의 독단 스스로 생각하지 못하는 사람들 공동체에 바라는 것 도시와 시골의 조화 야생의 사고 마치며

Description

지브리가 사랑하는 현대 클래식 음악의 거장, 현대 사회의 속내를 해부하는 뇌과학 석학을 만나다 전 세계의 마음을 사로잡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은 환상적이고도 서정적인 스토리, 다채로운 영상미, 그리고 무엇보다도 감동과 몰입감을 극대화해주는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랑받는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지브리 음악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음악가 히사이시 조가 있다. 그는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벼랑 위의 포뇨> 등 지브리의 전성기를 빛낸 작품들의 음악감독을 맡았으며, 특히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OST로 쓰인 <인생의 회전목마>는 한국 대중들에게도 친숙한 곡이다. 히사이시 조는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외에도 여러 영화음악을 비롯한 작곡 활동을 이어 가는 한편 뛰어난 연주자이자 지휘자로서의 기량도 아낌없이 뽐내며 명실상부 현대 클래식 음악의 거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렇게 활발한 음악적 행보를 지속하며 늘 ‘좋은 음악’을 고민해 온 그가 이번에는 저명한 뇌과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요로 다케시를 만난다. 각자의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 두 대가가 나누는 이야기는 어떤 모습일까? 히사이시 조와 요로 다케시의 《그래서 우리는 음악을 듣는다》는 음악과 인간을 잇는 섬세하고 감각적인 연결고리를 조망한 대담집이다. 인간의 몸과 마음은 어떻게 음악을 듣는지, 좋은 음악의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어떤 감각이 필요한지 등 다양한 화제를 자유로이 넘나드는 두 저자의 이야기는 유쾌하게 술술 읽히면서도 독자에게 생각할 지점을 남긴다. 음악을 비롯한 예술, 과학, 철학, 사회학, 인문학, 곤충의 생태까지 방대한 분야의 지식을 씨실과 날실처럼 엮어 내며 이어지는 지적 대화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사고의 폭이 넓어진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히사이시 조의 팬들에게 이 책은 그가 지향하는 음악과 작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점들, 작업 과정의 내밀한 사유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두 사람의 대화가 마냥 가볍지만은 않은 주제를 담고 있음에도 편안하게 느껴지는 까닭은 그들의 이야기에서 서로에 대한 존중과 존경이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 히사이시 조는 뇌과학과 곤충 연구를 중심으로 한 해부학, 그리고 사회·문화적 비평에 있어서 요로 다케시의 전문 지식과 견해를 존중한다. 한편 요로 다케시 역시 히사이시 조가 음악 이론과 작곡법, 녹음 현장에 대해 논할 때 적극적인 경청으로 논의를 풍요롭게 한다. 같은 주제 안에서도 과학의 시선과 음악의 시선으로 서로 다른 경험과 의견을 공유하는 대화의 장에서 두 저자의 시너지는 톡톡히 빛을 발한다. 히사이시 씨의 조리 있는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마치 좋은 음악을 듣는 기분입니다. 히사이시 씨와 대화하며 음악과 언어가 깊은 차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_ 요로 다케시 언젠가 제가 요로 씨의 나이가 되었을 때, 이 책의 내용을 저의 것으로 체화해 말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물론 반드시 현역 작곡가로 활동하면서 말이지요. _ 히사이시 조 감각으로 확장되는 세계 잃어버린 삶의 리듬을 되찾아야 하는 이유 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함께 살아가는 데 있어서 언어는 꼭 필요한 요소지만, 세상에는 언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다양한 형태의 예술은 바로 그 빈 부분을 채우고 표현하기 위해 존재한다. 이 책에서 요로 다케시는 ‘오늘날 사람들의 나쁜 버릇은 무엇이든 언어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의 말처럼 현대 사회는 언어로 대표되는 인간 의식의 영향력이 비대해져 상대적으로 몸의 감각이 경시되는 경향을 보인다. 인간의 의식으로 차곡차곡 쌓아 올린 고층 빌딩 사이에서 생명력이 박동하는 자연의 감각은 설 자리를 잃어 간다. 두 저자는 그러한 의식 중심주의의 풍조를 경계하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감각을 깨우는 일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그래서 우리는 음악을 듣는다》는 음악을 큰 주제로 삼고 있지만 감각에 대한 논의의 범주를 청각에만 제한하지 않고 시각, 후각, 미각, 촉각 등 오감을 모두 언급하며 몸의 여러 감각을 통해 우리의 세계를 내·외부로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의식의 틀에 갇힘으로써 발생하는 현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잊고 있었던 몸의 감각을 다시금 되살리자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히사이시 조는 본문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에도 나오는 이야기인데, 인간은 원래 민감한 반응이 가능했던 것으로 추측되고, 그 감각을 얼마나 간직한 채 살아가느냐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지금 감각은 명백히 쇠퇴의 길에 들어섰지요. 우리의 안테나가 무뎌졌어요. 거기서 비롯되는 문제가 여기저기서 드러나고 있고요. 역시 야생의 사고로 돌아가서 원래 인간이 가지고 있던 것을 일깨우는 생활 방식을 고려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_ 본문 중에서, 히사이시 조 감각을 되찾는 일은 ‘살아 있음을 온전히 느낀다’라는 측면에서 삶에 대한 태도와도 관련이 깊다. 《그래서 우리는 음악을 듣는다》는 노년에 접어든 두 저자가 독자에게 보내는 응원 섞인 조언이자 인간의 삶에 대한 찬미이기도 하다. 생의 감각을 날카롭게 벼려 살아가는 의미를 온몸으로 느끼는 인생은 아름답다. 궁극적으로는 그것이 우리가 예술을 사랑하는 이유이자 음악을 듣는 이유가 아닐까. 히사이시 조, 요로 다케시 두 사람이 긴 세월 각자의 분야에 매진하며 쌓은 지혜가 고스란히 담긴 이 대담집은 예술과 음악을, 무엇보다도 삶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더없이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Collections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