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심리학 이야기

이부영 · Humanities
19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8(42)
0.5
4
5
Rate
3.8
Average Rating
(42)
Comment
More

저자는 이 책을 융이 말년에 제자들과 함께 일반 대중을 위해 그의 사상을 쉽게 풀어 쓴 <인간과 상징>처럼 분석심리학설의 기본 개념에 대해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에세이풍의 글들을 엮어서 만들었다.

Rating Graph
Avg 3.8(42)
0.5
4
5

Author/Translator

Comment

8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 알기 쉬운 분석심리학을 위하여 ■ 무의식에 대하여 무의식은 살아 있다 무의식은 창조의 샘이다 ‘무의식’은 깊고 넓다 무의식에 대한 오해와 의심 ■ 무의식에서 또 다른 자신을 본다 ■ 우리를 눈멀게 하는 것-투사投射현상 투사投射란 무엇인가? 투사는 무의식의 콤플렉스를 깨닫게 한다 ■ 콤플렉스Komplex, Complex의 심리학 콤플렉스란 무엇인가? 단어연상검사와 콤플렉스의 발견 연상검사를 통한 연구들 콤플렉스는 나쁜 것인가? ■ ‘나’(自我, Ich, Ego)란 무엇인가? ‘나’는 의식의 중심이다 ‘나’의 구조 ■ 페르조나Persona에 대하여 페르조나란 무엇인가? 페르조나의 발견 페르조나는 버려야 하나 페르조나Persona의 형성과 개성화 ■ 여러 종류의 사람들-심리학적 유형Psychological Type 외향형의 사람과 내향형의 사람 생각하는 사람과 느끼는 사람 감각형感覺型과 직관형直觀型 열등기능은 표현을 통해 발달될 수 있다 ■ 무의식으로의 탐험여행 ‘그림자’ 남성 속의 여성-여성 속의 남성 신화는 살아 있다-집단적 무의식의 원형原型, Archetypus과 원형상原型像, Archetypal Images ■ 개성화Individuation(자기실현, Selbstverwirklichung, Self actualization) ■ 꿈의 분석 꿈 해석의 두 가지 접근법 꿈에 관한 잘못된 생각들 꿈 해석에서 주의할 점 ■ 고통 속에 피는 꽃-정신병리현상과 창조성 정신병리현상 속에서 건강한 마음을 찾다 신경증에서 고통의 의미를? 표현정신병리와 창조성 ■ 융학파의 분석 요법 융학파 ‘분석’의 특징 분석가 수련기관 분석 수련의 철학-꿈의 해석 융학파에 2급 치료자가 있을 수 없는 이유 분석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들 조현병(정신분열증)의 정신치료 그 밖의 이야기들 ■ 전체가 되는 것 ■ 이야기를 마감하며

Description

<분석심리학 이야기>는 분석심리학을 알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제일 먼저 읽어볼 만한 입문서와 같은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융이 말년에 제자들과 함께 일반 대중을 위해 그의 사상을 쉽게 풀어 쓴 <인간과 상징>처럼 분석심리학설의 기본 개념에 대해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에세이풍의 글들을 엮어서 만들었다. 이 책은 그동안 저자 자신이 배우고 경험한 분석심리학의 정론을 담고자 한 노력의 산물로서, 무의식의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기는 갈등과 고민 그리고 그 근원을 통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Collections

7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