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 9
서장 _ 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 15
제1부 《노자》, 칼의 노래
1장 노자와 《노자》
-‘전설’을 해체하고 ‘인간’을 보다 / 31
1. 누구의, 누구를 위한 《노자》인가 / 31
2. 하나이면서 여럿인 《노자》, ‘노자열전’ / 34
3. 성인과 제왕, 그리고 범인 -《노자》 속의 인간들 / 55
4. 호모 임페리알리스의 《노자》 / 63
2장 《노자》의 두 전통
-통치술에서 철학의 지혜를 찾다 / 67
1. 하상공과 왕필, 두 밀레니엄 두 가지 해석 / 67
2. 논리와 해석 방법의 차이 -훈고와 의리 / 70
3. 우주와 인간, 기와 도 / 82
4. 우주론에서 심성론으로 / 91
3장 조선 사회의 《노자》와 지식인
-조선의 유학자, 이단을 읽으며 자유를 꿈꾸다 / 95
1. 《순언》, 그 ‘침묵’의 역사 / 95
2. 유가 전통과 이단 / 101
3. 이단에 대한 모순된 태도 / 107
4. 사문난적 혹은 영혼의 전쟁 / 115
5. 정통 유가 지식인의 내면 풍경 / 122
6. 정통과 이단, 유교적 사유의 안과 밖 / 127
제2부 《장자》, 춤추는 방패
4장 《장자》, 이단과 전통
-사이비 속에 감추어진 삶의 진실을 찾다 / 137
1. 해석의 갈등, 20세기의 《장자》 / 137
2. 장자의 두 얼굴, 《사기》의 장자와 《장자》의 장자 / 143
3. 역사 속의 《장자》 / 155
4. 유학 안에서 《장자》 읽기, 사이비와 진유 / 166
5. 진유가 된 사이비 장자, 이단에서 전통으로 / 175
5장 《장자》, 해석의 갈등
-유가와 도가 사이에서 ‘삶의 길’을 묻다 / 179
1. 《장자》를 말하기의 어려움 / 179
2. 《장자》에서 ‘정신’의 개념 / 184
3. ‘정신’의 길 -《장자》, 《관자》, 《회남자》 / 189
4. ‘마음’의 길 -《순자》와 유가 / 195
5. 《장자》의 무정한 자아 -신비주의 순수 의식인가, 정신양생론인가 / 202
6장 《장자》의 ‘유遊’
-노니는 삶, 일상으로 내려오다 / 211
1. ‘놀이’와 ‘노님遊’ / 211
2. ‘놀다’, 놀이, ‘장난作亂’ / 216
3. ‘유’와 정신 / 222
4. 심유心遊 -천유天遊 그리고 세유世遊 / 229
5. 정신과 유희 -삶의 복원 / 236
제3부 노장, 삶의 모순과 철학의 위안
7장 유가와 도가의 행위 이론
-‘무위자연’으로 정치를 논하다 / 245
1. 20세기의 철학사 서술을 넘어 / 245
2. 성인과 ‘무위’의 이상 / 249
3. ‘유위’의 빛과 그늘 -《묵자》, 《맹자》 / 255
4. 선악의 피안 -유위 - 무위의 대립을 넘어 / 262
5. 고대 중국의 행위 이론 비교 -무위, 유위, 형명 / 266
8장 《노자》와 페미니즘
-노자는 페미니스트가 아니었다 / 271
1. 《노자》, 다른 목소리로? / 271
2. 노장, 진실 혹은 거짓말 / 275
3. 《노자》와 페미니즘, 세 개의 메아리 / 279
4. 《노자》의 성인, 계곡처럼 낮게 암컷처럼 부드럽게 / 285
5. 《노자》와 페미니즘은 만날 수 있는가 / 290
9장 《장자》와 과학 기술
-장자는 기술 비관론자가 아니었다 / 299
1. 기술, 애증의 교차로 / 299
2. 기심, ‘최소 투자 최대 효과의 심리’ / 304
3. 기技를 통한 도道, 또 다른 노하우 / 310
4. 기예의 도, 달인의 철학 / 316
5.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21세기 과학 기술 시대의 ‘도술’을 찾아서 / 320
종장 _ 도가에서 도술로, 철학에서 삶으로 / 327
1. 21세기 ‘노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 327
2. 도교란 무엇인가 / 329
3. 텍스트와 도술 / 333
4. 학學의 공동체 -‘사제 모델’과 경술 / 337
5. 학學에서 유遊로 -삶의 기술로서의 도술 / 342
6. 도술의 두 차원 -양생과 달생 / 349
참고문헌 / 354
찾아보기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