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란 무엇인가?

클라우스 마인처 · Humanities
204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시간이라는 개념의 역사적 변천을 다룬 책. 지은이는 시간이란 단순한 물리적 개념이 아니라 과학적.심리학적 과정과 사회적 개념들이 중첩된 복잡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고대와 중세, 고전 물리학과 현대 물리학, 양자 이론의 시대를 연대순으로 따라올라오며 변천사를 살폈다.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물리학의 발달 과정에 따른 시간 개념의 변화. 뉴턴의 절대적 시간관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비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른 상대적 시간관,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시간의 개념(특이점 문제 등) 등이 상세히 다뤄진다. 뒷부분에는 진화론의 관점에서 '생명'과 '성장'을 둘러싼 시간의 개념,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복잡계의 이론을 통해 시간 의식의 발현이 가능한지의 문제 등도 살피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글 1. 고대와 중세의 세계관으로 바라본 시간 최초의 시간과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에 대하여 '시간의 화살'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이론 아우구스티누스 이론에 따른 시간과 천지 창조 시간과 중세의 천문학 2. 고전 물리학의 세계관으로 바라본 시간 뉴턴의 이론에 따른 절대적인 시간 라이프니츠의 이론에 따른 상대적인 시간 고전역학으로 바라본 시간 칸트의 인식론으로 바라본 시간 3. 상대론적인 시공간 특수 상대성이론으로 바라본 시간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바라본 시간 상대론적 우주론으로 바라본 시간 4. 시간과 양자의 세계 약자역학으로 바라본 시간 양자장이론으로 바라본 시간 시간, 블랙홀 그리고 인간 원리 5. 시간과 열역학 평형 열역학으로 바라본 시간 비평형 열역학으로 바라본 시간 시간, 비가역성 그리고 자생적 조직확 6. 시간과 삶 다윈의 진화론으로 바라본 시간 분자 진화론으로 바라본 시간 시간의 순차적 흐름에 따른 생물학적인 리듬 7. 시간과 의식 시간의 리듬과 뇌의 생리학 시간의 체험과 의식의 발현 컴퓨터 시간과 인공 지능 8. 역사와 문화 속의 시간 역사 속의 시간 기술.산업.문화 속의 시간 기술 세계에서의 시간의 지평선과 시간에 관한 철학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