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장 18세기의 선율 양식(Line and Other Elements of Style)
선율형태; 조성틀; 가능한 음역과 자주 사용되는 음역(Shape; Tonal Framework; Range and Tessitura)
구조적 음고(Structural Pitches)
보충 음형(동기적 음형)(Filling-In Figures(Motive Figures))
악구와 종지법(Phrase and Cadence)
종지음형(Cadence Figures)
박자와 리듬(Meter and Rhythm)
선율음정; 선율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들(Melodic Intervals; Details of Line)
음계; 반음계주의; 경향음(Scales; Chromaticism; Tendency Tones)
비화성음(Nonharmonic(Nonchord) Tones)
복합 선율선(Compound Line)
선율작법을위한 제안(Suggestions for Melodic Writing)
응집성의 방법들(Means of Coherence)
선율작법을 위한 점검표(Melodic Writing Checklist)
제2장 비모방적 2성부 작법(Nonimitative Two-Voice Writing)
2성부 작법의 개관(General Observations)
두성부 관계에서 유의해야 할 점들(Specific Details of Voice Relationship)
화성과 비화성음(Harmony and Nonharmonic Tones)
복합박자(A Note on Compound Meter)
대위법 분석을 위한 점검표(Contrapuntal Analysis Checklist)
2성부 대위법에서 알아야 할 요점들(Essentials of Two Voice Counterpoint)
2성부 선율 작법의 실제(Process Demonstrations)
제3장 2성부에서의 반음계주의(Chromaticism in Two Voices)
비기능적(비화성적/장식적/선율적)반음계주의(Nonfunctional(Nonessential, Decorative, Melodic) Chromaticism
기능적(화성적)반음계주의(Functional(Essential) Chromaticism)
반음계적 선율선과 관련된 화성들(Harmonies Related to Chromatic Lines)
나폴리3화음(The Neapolitan Triad)
증6화음(Augmented-Sixth Chords)
제4장 2성부 춤곡 형식(Composition of Binary Dance Forms)
제5장 2중대위법(전위대위법)(Double Counterpoint(Invertible Counterpoint))
옥타브(15도)2중대위법(Double Counterpoint at the Octave or Fifteenth)
12도2중대위법(Double Counterpoint at the Twelfth)
10도2중대위법(Double Counterpoint at the Tenth)
제6장 모방기법과 카논(Imitation; Canon)
모방기법(Imitation)
카논(Canon)
모방과정에서 생기는 변형들(Variants in the Imitation Process)
제7장 2성 인벤션(The Two-Voice Invention
제시부주제와 대주제(The Exposition: Theme and Countertheme)
에피소드(The Episode)
인벤션 전체에 관하여(The Invention as a Whole)
인벤션 전체의 분석(Analysis of a Complete Invention)
제8장 3성 대위법 Ⅰ: 텍스처, 리듬, 화성(Three-Voice Counterpoint Ⅰ: Texture, Rhythm, Harmony)
텍스처와 리듬(Texture and Rhythm)
음역과 성부간격(Range and Spacing)
진행형(Relative Motion)
화성(Harmony)
종지음형들(Cadential Figures)
비화성음(Nonharmonic Tones)
제9장 2성부 대위법 Ⅱ: 반음계주의, 3중대위법, 카논(Three-Voice Counterpoint Ⅱ: Chromaticism, Triple Counterpoint, Canon)
반음계주의(Chromaticism)
교차관계(Cross-Relation)
3중대위법(3중 전위대위법)(Triple(Triple Inverible) Counterpoint)
반주붙은2성카논(Accompanied Two-Voice Canon)
3성카논(Canon in Three Voice)
제10장 푸가 Ⅰ(Fugue Ⅰ)
주제(The Subject)
응답(The Answer)
제시부(The Exposition)
제11장 푸가 Ⅱ(Fugue Ⅱ)
전체구조(Overall Structure)
에피소드(The Episode)
미들엔트리(Middle Entries)
대제시부(The Counter-Exposition)
확대기법과 축소기법(Augmentation and Diminution)
전위기법(Inversion)
스트레토(Strellto)
지속음(Pedal Point)
종결부(The Ending Section)
푸가 전체의 분석(Analysis of a Complete Fugue)
제12장 4성 대위법(Four-Voice Counterpoint)
텍스처와 리듬(Texture and Rhythm)
화성(Harmony)
4성푸가(Four-Voice Fugue)
푸가의 변형들(Other Fugal Variants)
제13장 변주곡 형식들(Variation Forms)
파싸칼리아(The Passacaglia)
샤콘느(The Chaconne)
골드베르크 변주곡(The Goldberg Variations)
제14장 정선율에 의한 기법: 코랄 프렐류드(Cantus Fimus Procedure: The Chorale Prelude)
화성붙인 코랄을 약간 장식하는 수법(The Ornamented Chorale Harmo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