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화국

발레리 줄레조
27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3.7(89)
0.5
3.5
5
Rate
3.7
Average Rating
(89)

서울의 아파트단지에 대한 연구로 파리4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학 연구로 국제학계에서도 큰 명성을 얻고 있는 프랑스 지리학자 발레리 줄레조. 서울을 방문한 1993년, 거대한 아파트단지에 놀란 그녀는 한국의 아파트를 연구해 보기로 마음먹었다. 프랑스어로 나온 그녀의 책은 2004년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에서 <한국의 아파트 연구>라는 제목으로 번역해 출간한 바 있다. 그러나 책의 내용은 프랑스 독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 그대로였고, 번역에도 상당한 오류가 있었다. 게다가 조사와 연구의 시점이 1990년대 중반까지 한정돼 있어 그녀는 책을 새로 쓰기로 했다. 대단지 아파트는 도시의 분열을 조장하고 사회적 관계를 단절시키는 주거 형태인가? 프랑스와는 달리 한국의 대단지 아파트는 미래에도 여전히 성공의 모델로 남을 것인가? 한국과 프랑스의 대단지 아파트에 대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도시유형이 사회적 견고성에 대해 갖는 상관관계를 본격적으로 살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3.7(89)
0.5
3.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5

Table of Contents

1장_왜 한국의 아파트인가 1. '아파트 문제'에 대한 도전 2. 제기되어야 할 질문들 3. 어떻게 조사하고 분석했는가 2장_서울의 도시 정책과 아파트단지 개발의 역사(1960~95) 1. 1950년대 서울의 도시경관과 초창기 아파트의 출현 2. 1960년대의 도시 정책과 마포아파트의 등장 3. 1970년대,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등장 4. 1980년대의 아파트 열풍 5. 1990년대, 새로운 도시 개발의 양상들 3장_아파트의 유형학 1. 아파트단지, 분류기준과 그 다양성 2. 아파트단지의 건설 시기별 분류 3. 한국의 아파트단지와 프랑스의 아파트단지 4. 획일적일 수 없는 장소의 의미 4장_아파트단지는 어떻게 양산될 수 있었는가? 1. 도시의 성장과 주택문제 2. 한국 주택정책의 몇 가지 특징 3. 대규모 건설 분야에서의 국가관리 4. 국가의 목표에 종속된 도시 정책 5장_한국의 아파트와 도시중산층 1. 서울의 중간계급, 그들의 주택 2. 부의 외형적 표시인 아파트, 가치 있는 이미지 3. "아파트가 돈이다" 4. 중간계급이 아파트에 몰리게 된 메커니즘 6장_현대건축운동과 한국의 아파트단지 1. 아파트단지와 현대성 2. 한국의 아파트단지와 현대건축운동 3. 서구의 영향: 도시 모델과 건축 모델의 다양성과 노마디즘 4. 대단지 아파트의 한국적 특성 5. 서울의 도시 형태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 7장_아파트는 정말 '현대적'이고 '서구적'인가 1. 아파트가 갖는 현대성의 이미지 2. 서구성과 현대성: 장르의 혼합 3. 현대식 아파트에서의 전통 공간의 '재구성' 4. 아파트, '관습 변환의 실험실' 5. 독특하게 한국적인 아파트의 생활양식 8장_단지 안에서의 사회적 관계 1. 아파트, 노인과 젊은이들 2. 아파트단지, 여성의 영역 3. 아파트단지 혹은 감시 받는 주택의 안락함 결론 : 대단지 아파트와 하루살이 도시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