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세대

이묵돌
20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1(54)
0.5
3
5
Rate
3.1
Average Rating
(54)
Comment
More

이묵돌 에세이. 94년생 이묵돌의 시선은 평범하지만 특별하다. 또 그의 이야기는 개인적이면서 대표적이다. '우리'는 텍스트가 아날로그에 그치던 시대에 태어나서, 디지털과 그 너머로까지 변화하는 과도기를 겪었다는 것을, 그리하여 디지털에 익숙하지만 아날로그에도 크게 감명 받는다는 이야기를 통해 '90년생은 통신기술 발달의 수혜자'라는 판단보다 '수혜자면서 피해자다'가 더욱 정확한 목소리라는 것을 깨닫는다. 90년생과 기성세대를 이분하지 않을 때 의미 있는 담론이 가능해진다. 인정할 건 인정하되 '편리한 삶=행복한 삶' 인지 의심해본다. 또 젠더 이슈, 계급 논리 등 또 다른 차원으로 여긴 문제의 실마리도 '90년생, 우리'가 가진 날것의 경험과 성장을 찾아 진단해본다. 갈라파고스는 중남미 에콰도르 영해에 위치한 군도다. 언뜻 별 볼일 없어 보이는 열아홉 개의 섬들은 찰스 다윈이 진화론에 관한 기초조사를 한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유인즉 각각의 섬들이 대륙과 격리된 환경적 특성을 가졌고, 그 덕분에 독자적인 진화를 이룬 고유종이 많았기 때문이다. '갈라파고스 세대'는 '다르다는 것 자체가 세대를 정의하는 특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발상에서 나왔다. 다양한 단면을 가진 90년생이 일군 '자기만의 섬'은 누군가 기대하고 예상한 어른의 전형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또 제법 견고하다. 제3자의 예상과 판단에서 더 나아가 깊이, 멀리 바라볼 차례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Rating Graph
Avg 3.1(54)
0.5
3
5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4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갈라파고스 세대 PART 1 이유도 없이 우린 섬으로 가네 섬 이 선 넘으면 침범이야 (삑) 너무 긴 카톡은 읽기 무서워!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PART 2 어른들은 우릴 보고 웃지 네모난 학사모를 눌러쓰고 인간실격? 난 차라리 웃고 있는 알바생이 좋아 비트코인, 어차피 인생은 동전던지기니까 PART 3 내 좁은 화면 속의 바다 이상한 건 내가 아니라 너야 정보의 바다에도 쓰레기 섬은 있다 상처받긴 싫지만 섹스는 하고 싶어 인스타그램, 24시간 가면무도회 PART 4 이젠 그랬으면 좋겠네 누구는 3루에서 태어나 3루타를 친 줄 알지만 유리천장과 콘크리트바닥 노오력과 열정페이, 처음부터 값매기지 않았더라면 모쪼록 실망만 시켜드려 죄송합니다 에필로그 연극이 끝난 후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