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

473p
Where to buy
content
Rate
Comment
More

전근대시기의 조선 여성들이 '전통'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근대'라는 낯선 시공간을 어떻게 체험하고, 기록하고, 부딪혀 왔는지 그 지난한 자취를 살펴본다. 수동적 모습의 조선 여성이 아닌, 능동적이고 급진적인 모습을 다양한 텍스트들을 통해서 알아 볼 수 있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여성이 기록한 여성의 삶 병인양요에 대한 기억-19세기 여성의 한글일기 <병인양란록> - 정우봉 근대격동기 몰락 양반가 여성 양주조씨 노년의 삶과 ‘화병’ - 문희순 덴동어미가 걷던 길 - 김하라 20세기 초 강릉김씨 부인의 여행기, <경성유록> - 김경미 만주로 망명한 여성, 가사문학 ?위모사?를 쓰다 - 고순희 근대기 반가 출신 옥성댁의 생애 경험과 기록 - 천혜숙 제2부 여성에 대한 근대적 시선과 재현 기생, 전통과 근대를 횡단하는 여성 - 박애경 근대계몽기의 노래와 신문에 포착된 과부들 - 이형대 여학교 주변의 여자들-신문?잡지에 나타난 제도교육 최초 형성기(1898∼1910)의 여성 재현에 대하여 - 홍인숙 화자와 주체로 본 유성기 음반(SP) 속 기생 - 장유정 제3부 근대전환기 여성 형상의 변화-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 여훈서(女訓書)를 중심으로 - 성민경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 이정원 20세기 초 ‘춘향 형상’의 변화 - 이지영 근대설화집의 여성 형상화-<온돌야화>, <조선민담집>, <조선동화대집>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 유정월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