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총론 마을에서 바라본 한국전쟁 1. 프롤로그 2. 전쟁과 마을 주민 간의 갈등 구조 3. 마을 지도자·국가권력과 전쟁 4. 전쟁 이후의 마을 5. 에필로그―복합적 갈등구조론 1 친족 간 학살의 비극, 진도 동족마을 X리 1. 진도에서 X리는 어떤 마을인가 2. 1930년대 X리 청년들의 민족·사회 운동 참여 3. 해방 직후 X리 현풍 곽씨의 동향 4. 한국전쟁기 친족 내 갈등의 폭발과 학살의 반복 5. 맺음말: 친족 내 갈등과 배후의 국가권력 2 ‘영암의 모스크바’, 한 양반마을의 시련 1. 두 양반가 전주 최씨와 거창 신씨 2. 한말·일제강점기 영보마을의 민족·사회 운동 3.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 격동의 영보리 4. 맺음말: 전쟁은 마을에 무엇을 남겼나 3 양반마을과 평민마을의 충돌, 부여군의 두 동족마을 1. 부여군 두 동족마을의 역사와 흔들리는 신분제 2. 한국전쟁기 두 동족마을의 충돌 3. 전쟁의 상처와 강호동지회의 발족 4. 맺음말: 신분 간 투쟁으로서의 마을 전쟁 4 땅과 종교를 둘러싼 충돌, 당진군 합덕면 사람들 1. 전쟁 이전 지주·마름과 소작인 간의 갈등 2. 한국전쟁기 마을 주민 간의 갈등 3. 맺음말: 계급·이념 간 대립으로서의 마을 전쟁 5 두 명문 양반가의 충돌, 금산군 부리면의 비극 1. 금산군 부리면의 명문가 해평 길씨와 남원 양씨 2. 두 가문의 좌우 분화 3. 한국전쟁기 두 가문의 동향과 11·2사건 4. 끝나지 않은 이야기: 전쟁을 기억하는 사람들 5. 맺음말: 좌우 이념 대립으로서의 마을 전쟁 미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