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 큐브릭 : 미국인 영화감독

데이비드 미킥스
34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3.6(20)
0.5
4
5
Rate
3.6
Average Rating
(20)

휴스턴대학교 영문과 교수이자 문학과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평론가로 활약하고 있는 데이비드 미킥스가 큐브릭의 여러 인터뷰와 새로운 기록물에 근거하여 최초로 큐브릭 영화의 개인적 측면을 탐구한 책을 펴냈다. 이 책은 큐브릭의 삶을 담은 전기이지만 데이비드 미킥스는 큐브릭 개인의 일대기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주인공은 큐브릭이 만든 각각의 영화들이다. 미킥스는 큐브릭의 필모그래피를 연대기적으로 상세하게 탐구하면서 매 장마다 각 영화의 제작 과정과 촬영 에피소드, 캐릭터 분석, 원작과의 비교와 차이, 박스 오피스 및 평단의 반응, 동 시기 큐브릭의 삶 등을 기술함으로써 영화와 이를 둘러싼 상황을 입체적으로 그려 보인다. 저자는 자신의 모든 영화에 열렬하게 매진한 큐브릭의 모습을 충실히 보여 주며 독자들을 그의 삶과 작품 속으로 깊이 빠져들게 한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3.6(20)
0.5
4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서문 9 1 내가 영화를 저것보다 더 잘 만들 수 있다는 건 알겠어: 「킬러스 키스」, 「킬링」 31 2 제대로 할 때까지 계속해라: 「영광의 길」, 「스파르타쿠스」, 「롤리타」 63 3 완전하고 최종적인 예술적 통제권: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115 4 바벨탑은 우주 시대의 시작이었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43 5 시실리안 디펜스로 시작합시다: 「시계태엽 오렌지」 168 6 스탠리하고는 그거 하나로 몇 시간이라도 이야기할 수 있어요: 「배리 린든」 194 7 인간성에는 본질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샤이닝」 215 8 거만하게 해야 한다는 걸 명심해, 론 체이니처럼: 「풀 메탈 재킷」 242 9 영화로 만들기가 두렵다: 「아이즈 와이드 셧」 269 감사의 말 306 옮긴이의 말 309 찾아보기 328

Description

“스탠리 큐브릭은 영화 연출 역사상 최고의 거장이며 우리는 모두 이분의 영화를 모방하느라 허덕였다.” -스티븐 스필버그 “나는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새로운 영화를 볼 때면 그가 나를 다시 놀라게 할 수 있을까 하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항상 그러했다. 내가 큐브릭 감독으로부터 배운 것은 두 번 다시 같은 일을 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제임스 카메론 천재, 괴짜, 완벽주의자, 거장… 그 어떤 수식어도 큐브릭 앞에서는 평범해진다 스탠리 큐브릭은 1928년 7월 26일 의사였던 아버지 자크 큐브릭과 어머니 거트루드 큐브릭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열두 살 무렵 아버지가 선물한 그라플렉스 카메라로 사진을 찍기 시작했고 아버지에게서 체스를 배웠다. 사진 촬영은 “세상에서 일이 벌어지는 방식”을, 체스는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구하는 방법”을 그에게 가르쳐 주었다. 스탠리의 아버지는 막연하게 아들 또한 의사가 되기를 바랐으나, 어머니는 일찍이 아들의 천부적 재능을 알아차리고 지지했다. 고등학교 졸업을 몇 달 앞둔 열일곱 살 때, 대학에 가기에는 너무 낮은 성적을 받았던 큐브릭은 자신이 찍은 사진을 가지고 『룩』 매거진의 사무실을 찾았고, 사진 기자로 채용되어 일하면서 카메라 앵글과 조명 등 사진 촬영의 화학적 작용에 대해 익히게 된다. 스무 살 때 토바 메츠와의 첫 번째 결혼으로 그리니치 빌리지로 이주한 큐브릭은 자유분방한 뉴욕의 지식인들과 어울리며 문학과 철학과 영화에 빠져든다. 『룩』에서 사진 기자로 4년을 보내는 동안 그는 그 기간 상영된 거의 모든 영화를 보았고, 자신이 “더 잘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당시에는 영화 학교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큐브릭은 극장에서 영화를 반복해서 보며 독학으로 영화 제작법을 익혔다. 스물한 살 때 12분 30초짜리 뉴스 영화 「시합날」을 시작으로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같은 영화들을 제작해 주류 할리우드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샤이닝」과 「풀 메탈 재킷」, 「아이즈 와이드 셧」 등을 통해 관객들을 새로운 세계로 이끌었다. 휴스턴대학교 영문과 교수이자 문학과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평론가로 활약하고 있는 데이비드 미킥스가 큐브릭의 여러 인터뷰와 새로운 기록물에 근거하여 최초로 큐브릭 영화의 개인적 측면을 탐구한 『스탠리 큐브릭: 미국인 영화감독』을 펴냈다. 이 책은 큐브릭의 삶을 담은 전기이지만 데이비드 미킥스는 큐브릭 개인의 일대기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주인공은 큐브릭이 만든 각각의 영화들이다. 미킥스는 큐브릭의 필모그래피를 연대기적으로 상세하게 탐구하면서 매 장마다 각 영화의 제작 과정과 촬영 에피소드, 캐릭터 분석, 원작과의 비교와 차이, 박스 오피스 및 평단의 반응, 동 시기 큐브릭의 삶 등을 기술함으로써 영화와 이를 둘러싼 상황을 입체적으로 그려 보인다. 저자는 자신의 모든 영화에 열렬하게 매진한 큐브릭의 모습을 충실히 보여 주며 독자들을 그의 삶과 작품 속으로 깊이 빠져들게 한다. “저는 이카로스의 이야기가 주는 교훈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처럼 ‘너무 높이 날아오르려 하지 마라’여야만 하는지 혹은 ‘밀랍과 깃털은 무시하고 날개를 더 훌륭하게 만들어라’ 같은 생각일 수도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칠 줄 모르는 끈기와 예술적 기교를 지닌 큐브릭은 당대의 다른 영화감독들보다 더 높이, 그리고 더욱 견고하게 날아오를 수 있었다. 천재, 괴짜, 완벽주의자, 거장 혹은 이 외에 어떤 수식어가 붙더라도 스탠리 큐브릭이라는 이름 앞에서는 그저 평범해질 따름이다. “인간성에는 본질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큐브릭의 영화들은 실패한 정복에 관한 이야기다. 완벽히 통제된 계획은 사람의 실수 또는 기이한 우연으로 망가지거나 남성적 분노에 장악되었다. 그는 테이크를 거듭 요구하고 마지막 세부 사항까지 들여다보며 자신의 비전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주장했다. 배우, 작가, 그리고 자신의 주위에 몰려 있는 다른 영화 종사자들을 항상 이용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혼돈을 어떻게 이용할지에 대한 감각도 가지고 있었으며 ‘영화 연출’을 즐겼다. 자신의 작품에서 큐브릭은 질서와 광기, 지배와 격렬한 반항을 결속함으로써 극도로 조직화된 세계를 표현하는 동시에 가장 위험하고 자극적인 상태에 있는 인간의 에너지를 보여 준다. “인간성에는 본질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큐브릭은 스티븐 킹의 소설 『샤이닝』에서 무엇이 그의 마음을 끌었는지를 설명했다. “거기엔 악한 면이 있어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루소의 철학에 격렬하게 반대했던 큐브릭이 악을 인간이 지닌 “잘못된” 무언가로 묘사하는 건 말하자면 불발과 같은 것이었다. 「킬링」의 조니 클레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 「시계태엽 오렌지」의 알렉스, 「샤이닝」의 잭 토랜스, 「풀 메탈 재킷」의 파일 이병, 「아이즈 와이드 셧」의 빌 하퍼드에 이르기까지 큐브릭의 많은 영화에서 등장인물들은 기능 장애, 설계 결함으로 비틀거리고, 황홀경에 빠져 있는 큐브릭의 캐릭터들은 때로 불길한 방식으로 영화 팬을 몰두하게 한다. 이는 모두 어릴 때부터 학교를 거부했던 어린 스탠리 큐브릭의 머릿속에 아주 기분 나쁘게 간직된 내면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의 냉담한 영화 중심에는 어린 시절 개구쟁이에 고집불통이던 꼬마 큐브릭과, 집에 머무르며 영화를 만드는 일을 좋아하는 차분하고 평정을 잃지 않는 성숙한 감독이 함께 자리한다. 큐브릭은 무엇이 됐든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를 즐거워했으며 일반적으로 할 법한 걸 하지 않은 채 속 시원한 충격으로 관객들을 만족시켰다. 친절하지만은 않은, 그러나 더없이 특별한 영화감독 스탠리 큐브릭의 생애와 그의 영화에 대한 이야기 『스탠리 큐브릭: 미국인 영화감독』은 여느 전기나 평론서보다 체계적으로 큐브릭의 생애와 그의 영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이다. 저자는 대부분 문학 작품에 바탕을 둔 큐브릭 영화의 핵심을 문학자의 눈으로 섬세하고 꼼꼼하게 짚어 낸다. 개별성을 지닌 큐브릭의 작품과 캐릭터 들은 그 사이사이에 작은 통로, 불쑥 튀어나온 고리 같은 게 있어서 어느 순간 다른 시공간에서 펼쳐지는 사건으로 연결되거나 철컥 맞물리기도 한다. 미킥스의 탁월함은 바로 그 매개를 이루는 단초를 찾아내고 다양하게 뿌려진 콘텍스트를 매끄러운 비유와 논리를 통해 해석해 준다는 데에 있다. 그는 스탠리 큐브릭과 주변 인물들의 수많은 인터뷰와 평론을 적절하게 인용하는데, 특히 그가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눈 크리스티안 큐브릭의 말들은 자칫 딱딱해 보일 수 있는 분석에 생생한 활기를 더해 준다. 역시 다채롭게 인용된 문학과 미술 작품, 성경, 신화·역사·인문·철학, 그리고 많은 고전 영화는 큐브릭의 영화 세계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여지를 안긴다. 큐브릭이 꿈꾸었으나 실행되지 않은 주요 프로젝트들인 「타 버린 비밀」, 「나폴레옹」, 「아리아인 증명서」, 그리고 스필버그가 실현한 「에이 아이」와 관련한 이야기 또한 흥미롭다. 이 책은 그다지 친절하지 않다. 저자는 이 책의 독자가 큐브릭의 세계에 처음 들어서고자 하는 입문자가 아니라, 이 감독을 어느 정도 친숙하게 여기며 영화와 인문학 전반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고 있을 거라고 전제한 듯하다. 하지만 한 편이라도 큐브릭의 영화를 보며 매혹되어 본 적이 있다면, 그의 독특한 사실주의와 날카로운 유머와 예상의 틀을 벗어나는 이야기 구조와 아름답고 정교한 미장센과 촬영에서 색다른 감흥을 느껴 본 적이 있다면, 혹은 큐브릭의 삶과 그의 작품과 그 배경과 의미가 궁금하다면, 그걸 한눈에 살펴보고자 한다면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이 책의 가치가 빛나기 시작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