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필을 시작하며 ? 4
프롤로그 비한국적인 한국인을 바라보며 ? 10
PART 1
이성은 어떤 과정으로 정립되어 왔나?
제1부 이성이란 무엇일까?
동서양의 이성은 왜 다르게 발달했나? ? 27
추상화로 이성의 싹을 틔우다 | 이성은 증명의 정신이다 | 한 사회의 지적 분위기가 곧 문명이다 | 이성관의 차이가 동서양 문명의 차이를 만들다
이성은 학문의 융합에서 형성되고 발달한다 ? 38
이성은 생각이다 | 이분법적 사고와 이과와 문과의 구별은 어떤 연관성이 있나
제2부 이성은 왜 명징해야 하나?
그리스 정신은 왜 증명을 요구할까? ? 45
로고스(logos)를 존중하다 | 참과 진리도 공공의 것이다 | 한 치의 타협도 없이 끈질기게 추구하다 | 정확히 아는 것과 적당히 아는 것 | 증명은 논리에, 논리는 이성에 있다 | 로고스는 전제 조건을 끝까지 지킨다
기하학이 이성을 이끌다 ? 62
이성은 다양한 방향으로 뻗어 왔다 | 철학적 사고력 결핍은 창의력의 결핍으로 이어진다
이성으로만 정확한 인식에 도달한다 ? 71
한 나라의 국력은 수학 수준에 비례한다 | 이성도 정(靜)에서 동(動)의 세계로 가다 | 미미한 오차가 파탄이 되기 전에 등장한 아인슈타인
이성이 학문의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다 ? 80
신이 아닌 인간의 눈으로 보기 시작하다 | 관점에 따라 시야가 달라지다 | 믿어야 할 것은 오직 인간의 이성이다
절대 진리도 사유 방식의 일부일 뿐이다 ? 89
진리는 가설에 불과하다 | 이성에 한계는 없다
제3부 서양을 이끌어온 이성철학의 뿌리는 무엇인가?
데카르트, 현상의 기만성을 파헤치기 위해 의심하다 ? 97
사유 방법을 체계화하다 | 인간은 무엇일까?
파스칼, 이성과 감성을 융합하다 ? 105
정확한 추론이 필요하다 | 대상을 관통하는 미묘한 법칙을 보는 ‘좋은 눈’이 필요하다 | 데카르트의 ‘눈물’은 증기로 이루어져 있다
스피노자, 철학을 기하학의 논리 형식에 담다 ? 114
신(神)에 취하다 | 그의 철학에는 인간의 행복 추구가 흐른다
라이프니츠, 보편의 세계를 열다 ? 119
모든 현상은 단자로 나타난다 | 높은 산일수록 등산로가 많다 | 이성이 세상을 바꾸어 가다
후설, 우리가 믿는 진리가 정말 옳은 것인가? ? 125
판단 중지에서 시작하라 | 객관도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 의식이 알몸이 될 때 보편성을 갖는다
러셀, 현실 참여로 이성의 의미를 확인하다 ? 132
플라톤의 아카데미아 같은 학풍이 천재를 키우다 | 모순을 제거하고 발전 가능성을 열다 | 지적 정직성을 철저히 추구하다 | 이성을 속이느니 차라리 고독을 택하라
PART 2
이성의 본질은 지역, 인종에 따라 다를까?
제4부 언어의 본질이 인간의 본질이다
가야할 곳은 보이지 않는 심층(무의식)이었다 ? 145
지상의 꽃은 지층의 영향을 받는다 | 많은 대상을 하나의 사고 체계로 생각하다 | 많은 대상을 하나의 사고 체계로 생각하다 | 갈루아, 물레방앗간에 갇히다
언어란 무엇일까? ? 152
언어는 인간의 본질이다 | 언어는 차이의 표현이다 | 언어는 관습의 집합이다 | ‘이름’은 내용의 ‘손님’에 불과하다 | 개는 매처럼 날지 않는다 | 언어는 민족의 원형과 되먹임 작용을 한다 | 역사와 풍토가 다양한 언어를 파생시킨다
인간은 부자연스런 문장을 피한다 ? 169
창조는 인간의 본질이다 | 언어는 역동적으로 생성된다 | 인류는 하나의 문법을 가졌다 | 보편문법은 IPS와 같은 것이다 | 인간은 불완전한 정보로도 완전한 언어를 구사한다 | 인간의 유추 능력은 무한하다 | 인간은 어떻게 완벽한 언어 능력을 갖추나 | 인간의 심층과 표층 사이에는 매개변수 f가 있다 | 로빈슨 크루소와 허생(許生)의 무의식은 무엇이 다른가 | 매개 변수 f
제5부 집단무의식과 분열하는 신화
인간의 본질에 다가서다 ? 191
지쇠 관습과 지도자의 책임 | 진화론적 인류학에서 기능주의 인류학으로 | 인류의 본질은 결혼하고 자식은 낳는 당연한 행위에 있다 | 왜 문명인이든 미개인이든 친족을 구성할까 | 야만과 문명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신화는 무의식을 보여주는 보물 창고이다 ? 202
터부의 고통이 공동체의 신화가 되다 | 신화는 공동체의 가치를 반영한다 | 왜 한국인의 무의식은 곰과 호랑이로 나뉠까? | 무의식에 내재된 이미지가 신화로 드러나다 | 분열하는 사회를 이미지화한 단군신화 | 임시 정부부터 폭파해 버리겠다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