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드』로 맨틀은 오늘날 영어로 소설을 쓰는
작가들의 맨 앞자리에 위치하게 되었다.” _《가디언》
서늘한 유머로 그려 낸 변화와 구원, 그리고 사랑의 이야기
위니프리드홀트비 기념상 수상작
맨부커 상 2회 수상에 빛나는 힐러리 맨틀
그가 남긴 작은 보석 같은 소설
영미 문학 최고의 상인 맨부커 상을 두 번이나 수상하는 업적을 이뤘으며, 노벨상 유력 수상 작가로 꼽혔으나 2년 전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작가 힐러리 맨틀. 그에게 첫 대중적 성공을 안겨 주었으며 위니프리드홀트비 기념상을 수상한 장편소설 『플러드』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에 소개된 맨틀의 장편소설은 맨부커 상 수상작인 『울프 홀』과 『브링 업 더 보디스』(한국판 제목 『튜더스, 앤 불린의 몰락』), 그리고 『보다 안전한 곳』(한국판 제목 『혁명 극장』)까지 모두 장중한 역사 소설들이라 작가의 세계적 명성에도 불구하고 독자의 접근이 쉽지 않았다. 작가의 1989년 작인 『플러드』는 그와 사뭇 결을 달리하는 작품으로, 그간 한국 독자들은 만날 수 없었던 맨틀의 재치와 희극에 대한 안목을 맛보게 한다. 맨틀의 대작 역사 소설들에 견주면 날렵해 보일 정도의 분량이지만, 이 소설은 주인공 ‘플러드’처럼 많은 것을 숨긴 작은 보석과도 같은, 결코 그 깊이가 뒤지지 않는 작품이다.
『플러드』는 1950년대 후반 영국 북부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 새 보좌신부 플러드가 부임해 오면서 잇따라 일어나는 신비로운 사건들과 그로 인해 등장인물들의 삶을 완전히 바꿀 변화를 그린 소설로, 어린 시절 맨틀이 겪은 실제 이야기를 모티프로 한다. 종교가 예전 같은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산업화 이후의 20세기에도 여전히 본질을 호도하는 종교의 위선을 그리며 그에 대한 풍자를 통해 우리가 삶에서 놓치고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하는 한편, 잃어버린 믿음과 사랑을 회복하며 영혼을 되찾는 기적 같은 변화는 언제든 가능하다는 희망을 이야기한다. 또한 『플러드』는 문학적 야심으로 가득 찬 젊은 작가 맨틀을 만나는 기쁨이기도 하다. 아직 완숙기에 이르기 전이지만 차근차근 이야기를 쌓아가는 방식과 인물들의 면면을 드러내는 맨틀의 소설 기교는 능수능란하며, 중심 주제를 부각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1950년대 스타일로 구사한 문체는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영국 작가 아이리스 머독과 그레이엄 그린을 떠올리게 한다.
“나는 당신을 변화시키려고 왔어요.
변화가 내 일이지요.”
1956년 영국 북부, 황무지 한가운데에 자리 잡은 퇴락한 방직 공장 마을 페더호턴. 가난한 아일랜드인들이 생계를 위해 이주해와 형성된 이 마을은 주민 대부분이 문맹에, 상거래를 위해서는 조합에 기대야 하고 몇몇 개신교도를 제외하고는 아이들을 성당에서 운영하는 학교에 보내는 폐쇄적인 공동체이다. 이야기는 전근대와 현대 사이에 어정쩡하게 걸쳐져 있는 그곳에 주교가 방문하면서 시작된다. 교회의 현대화를 추진하는 로마 가톨릭의 정책에 따라 주교는 앵윈 신부의 수하에 있는 페더호턴의 전근대적 교회를 20세기에 걸맞게 개혁할 것을 주문한다. 그는 그간 라틴어로 행해 온 미사를 현지어로 바꿔 집전하고, 그에 더해 성당 안에 있는 성상들을 폐기하라는 명을 내린다. “시칠리아의 무지렁이들도 수치스러워할 미신을 믿는” 주민들을 신앙의 길로 이끌어야 하는 앵윈 신부는 고뇌에 빠진다. 사소한 종교 규율을 신줏단지처럼 모시는 그에게는 사실 비밀이 하나 있다. 더 이상 신을 믿지 않는다는 것. 20여 년 전 어느 날 아침 갑자기 사라진 믿음은 지금도 돌아오지 않은 채이지만 그는 그럭저럭 만족하고 있다. 그런데 이제 그 안온한 기만에 종지부를 찍을 때가 온 것이다.
주교는 자신의 명령을 이행하는 데 도움이 될 조수를 보내겠다고 하고 돌아가고, 며칠 후 앵윈 신부와 마을 수녀원에서 파견한 아일랜드 출신 수녀 필로메나와 성당 청년회 신자들이 함께 성상을 땅에 묻는다. 그러고 나서 얼마 후 세찬 비바람이 몰아치는 밤. 사제관의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린다. 가정부 애그니스가 문을 열자 사제복을 입은 젊은 남자가 있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플러드’라고 소개하며, 이곳에 머무르러 왔다고 말한다. 애그니스는 그가 주교가 보낸 보좌신부라고 생각하고 안으로 들인다. 그런데 그 순간 그녀의 몸속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난다. 미세하지만 언제까지나 끝나지 않을 작은 움직임이 시작된 것이다.
앵윈 신부는 새로운 보좌신부를 맞아 그날 밤 함께 위스키 한잔을 한다. 그런데 추위를 가시기에 늘 모자란 벽난로 불이 그날따라 활활 타올라 응접실은 후끈후끈할 지경이고, 플러드 신부의 접시 위의 소시지는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다가 순식간에 사라지고, 앵윈 신부의 술병 속 위스키는 어느새인가 다시 차올라 있다. 애그니스는 플러드가 온 날 밤, 처음으로 싱크대에 설거짓감을 놓아두고 잠자리에 든다. 그런 그녀 깊은 곳에서 은밀한 목소리가 속삭인다. 나는 당신을 변화시키러 왔어요. 변화가 내 일이지요.
“하지만 이곳에선 뭔가가 썩고 있어요.”
“네. 그 문제의 해결을 도우러 오셨나요?”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 플러드를 만나는 이들이 모두 그에게 자신의 속마음을 터놓는다. 앵윈 신부는 자신이 무신론자가 되었음을 고백하고, 폭군처럼 수녀원을 운영하는 페르페투아 원장 수녀는 수녀들이 입회할 때 입고 온 옷들을 보관해둔 궤짝을 플러드 앞에서 활짝 열어젖힌다. 그는 어린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성당에 남은 몇 안 되는 성상을 손보는 젊은 수녀 필로메나를 만난다. 필로메나는 자신의 몸에 생긴 피부병을 성흔(聖痕)이라고 주장하는 광신자 어머니 때문에 아일랜드에서 이곳까지 오게 되었지만, 페르페투아 수녀에게 학대에 가까운 괴롭힘을 당하고 있으며 수도자의 삶에 열의가 없다. 그녀는 플러드에게 자신이 품은 회의와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두 사람은 들판에 있는 헛간에서 은밀한 만남을 갖기로 한다. 헛간에서 플러드는 필로메나의 손금을 봐 주고는 그녀의 운명에 대한 힌트를 주고, 필로메나 역시 자기 안에서 따뜻하게 차오르는 변화의 열기를 느끼기 시작한다. 플러드 역시 필로메나로 인해 자기 안에 생각지도 못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발견한다.
그리고 다음 날 밤. 앵윈 신부와 그의 가정부 애그니스, 그리고 필로메나 수녀는 자정 가까운 시각 불현듯 잠에서 깨어난다. 세 사람은 바깥으로 나와 한 장소에서 마주친다. 그곳에 플러드가 매장한 성상들을 꺼내기 위해 땅을 파헤치고 있다. 세 사람은 즉시 함께 성상들을 다시 파헤치는 작업에 착수하고, 거기에 앵윈 신부가 악마라고 굳게 믿고 있는 성당 신자이자 마을에서 담배 가게를 운영하는 매커보이가 가세한다. 이번에도 신비로운 힘의 작용으로 아침이 오기 전 발굴 작업은 완료된다. 모두가 각자의 잠자리로 돌아가고, 플러드와 필로메나 수녀는 눈이 내리는 가운데 수녀원으로 향한다. 플러드는 필로메나에게 교회 당국의 허가를 기다릴 것 없이 자신의 길을 떠날 것을 부추기며 입맞춤을 한다. 다음 날 아침이 되어 눈은 모두 녹아 사라지고, 가정부 애그니스는 습관처럼 거울을 보다가 얼굴에 있던 사마귀가 감쪽같이 사라진 것을 발견한다. 같은 시각, 수녀원을 떠나기 망설이는 젊은 수녀 필로메나에게 선배인 안토니오 수녀는 말한다. 간밤에 원장 수녀 페르페투아의 입술에 사마귀가 돋았다고. 필로메나는 수녀원장이 잠시 자리를 비운 틈을 타 궤짝 안에 보관되어 있던 평상복 중 한 벌을 골라 입고 다시 세속의 세계로 떠난다. 그곳에는 플러드가 그녀를 위해 예비해 둔 새로운 삶이 기다리고 있다…….
“사람의 자아에는 반드시 죽여야만 하는 것들이 있죠.
익숙한 세계를 도끼로 내리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힐러리 맨틀이 작가 노트에 미리 밝혔듯 플러드는 16~17세기에 활동한 의사이자 학자이며 연금술사인 실존 인물 플러드를 모티프로 창조한 인물이다. 왜 연금술일까. 다시 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