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37가지 물고기 이야기

Humanities/History
31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2(10)
Rate
3.2
Average Rating
(10)
사람과나무사이 출판사 '세계사를 바꾼' 시리즈 세 번째 책. 한두 가지 질문으로 시작해보자. 질문 하나. '만일 물고기가 없었다면 인류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만일 그랬다면 인류가 번성하고 번영하기는커녕 생존하는 일 자체가 녹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또 만일 그랬다면 지난 수천 년간 인류가 이룩해낸 찬란한 문명도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질문 둘. '만일 15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까지 청어가 발트해에서 북해로 산란 장소와 회유 경로를 갑자기 바꾸지 않았다면 이후 중세 유럽의 세력 판도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이 변화로 200년 가까이 유럽 무역 시장의 패권을 장악해왔던 발트해 연안의 한자동맹 위상이 추락했다. 이후 북해 연안의 네덜란드가 청어 무역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17세기 유럽과 세계를 제패하는 헤게모니 국가가 되었다. 그 밖에도 이 책에는 바이킹이 청어의 이동 경로에 발맞추어 유럽의 많은 국가를 침략하고 거대 제국을 건설한 이야기, 15세기 말 황금 섬 지팡구를 찾아 항해하던 존 캐벗이 실수로 도달한 섬에서 해수면이 불룩 솟아오를 정도로 거대한 대구 떼를 발견해 신항로 개척시대를 촉발한 이야기, 평범한 생선 대구가 미국 독립전쟁 자유정신의 상징이자 원동력이 된 이야기 등 흥미롭고도 통찰력 넘치는 내용으로 빼곡하다.
Rating Graph
Avg3.2(10)

Table of Contents

서문_ 청어의 회유 경로 변화가 국가의 운명을 바꾸고 유럽사와 세계사의 물줄기를 돌려놓았다고? 제1장_ 유럽의 세력 판도를 바꾼 작지만 위대한 물고기, 청어 이야기 1. 청어의 회유 경로 변화가 유럽의 세력 판도를 바꾸고 여러 국가의 흥망성쇠를 결정지었다고? 2. 청어를 매개로 한자동맹 중심지로 떠오른 독일 도시 뤼베크 3. 빌럼 벤켈소어의 ‘소금에 절인 청어’가 세계사를 바꾸다 4. 청어전투에서 ‘소금에 절인 청어’로 열 배 많은 프랑스군을 격파한 잉글랜드군 5. 작은 어촌마을 암스테르담을 세계적 도시로 거듭나게 한 ‘소금에 절인 청어’ 6. 청어와 대구는 왜 셰익스피어 작품에서 ‘부정적인 물고기 역할’을 전담했나 제2장_ 청어,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운명을 바꾸다 7. 엘리자베스 1세는 왜 그토록 ‘해양주권론’에 집착했을까 8. 청어로 부를 쌓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를 설립해 동아시아로 진출하다 9. 네덜란드와 청어 어장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잉글랜드 10. 찰스 1세의 야심 찬 어업 육성 계획이 실패로 돌아간 이유 11. 세 차례의 잉글랜드?네덜란드 전쟁으로 번진 ‘청어잡이’ 불화 12. 셰익스피어 시대의 잉글랜드인은 왜 청어를 천대했을까 제3장_ 신항로 개척시대를 열어준 주인공, ‘스톡피시’와 ‘소금에 절인 대구’ 13. 말린 대구 ‘스톡피시’가 없었다면 콜럼버스보다 500년 앞선 바이킹의 아메리카대륙 발견도 없었다 14. 신항로 개척시대를 가능케 한 ‘스톡피시’와 ‘소금에 절인 대구’ 15. 네덜란드와의 ‘청어 경쟁’에서 밀린 잉글랜드가 아이슬란드 해역의 대구에 눈독 들인 이유 16. 북아메리카에서 존 캐벗이 발견한 ‘대구 떼’가 신항로 개척시대의 역사를 바꾸다 17. 존 캐벗이 북아메리카를 발견하고 영지로 선언한 이후에도 잉글랜드가 아이슬란드에 집착한 이유 18. 필그림 파더스들은 왜 대구가 풍부한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하고도 한동안 굶주림에 시달려야 했을까 19. ‘뉴잉글랜드’를 탄생시킨 주인공 존 스미스의 파란만장한 인생 이야기 20. 셰익스피어에게 문학적 영감을 불어넣어준 1609년 신대륙에서의 ‘시벤처호 해난사고’ 21. 셰익스피어는 왜 잉글랜드 평민과 아메리카대륙 선주민을 ‘말린 대구’에 비유했을까 22. 노예무역을 발전시킨 싸구려 대구, ‘웨스트 인디즈’ 제4장_ 식민지 미국이 잉글랜드에서 독립하고 강대국이 된 원동력, 대구 23. 미국 독립혁명 당시 매사추세츠주에서 대구가 ‘자유’의 상징이 된 까닭 24. 뉴잉글랜드에서 분탕질치는 잉글랜드 어민들 25. 잉글랜드의 서인도제도 사탕수수 재배가 ‘소금에 절인 대구’ 수요를 폭발적으로 늘린 이유 26. 대구 어장을 지키기 위해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농장주? 잉글랜드 정부라는 거대 권력에 맞선 뉴잉글랜드 어민들의 끈질긴 투쟁 27. 뉴잉글랜드 대구 어부의 정치의식이 민주주의를 앞당겼다고? 제5장_ 청어와 대구는 중세 유럽의 기독교 사회를 어떻게 지배했나 28. 중세 기독교는 왜 극단적으로 식욕을 금기시하고 억압했을까 29. 초기 기독교가 ‘뜨거운 고기’ 육류를 금하고 ‘차가운 고기’ 생선 섭취를 권장한 까닭 30. 단식일의 변화: 육식을 금하는 날에서 적극적으로 생선을 먹는 날로 31. ‘청어’와 ‘대구’가 중세 유럽의 기독교 세계 경제 시스템을 좌우할 수 있었던 이유 32. 신분과 생활수준에 따라 천차만별이었던 단식일의 다양한 생선들 33. 피시 데이 쇠퇴가 잉글랜드 어업 쇠퇴로, 어업 쇠퇴가 국방력(해군력) 쇠퇴로 제6장_ 물고기는 어떻게 기독교에 스며들고 강력한 영향을 미쳤을까 34. 기독교에서 물고기는 왜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할까 35. 고대 페니키아의 신관들이 금기로 여겨졌던 물고기를 먹은 진짜 이유 36. 베드로를 독실한 신자로 변화시킨 기적의 물고기 37. 기독교는 어떻게 ‘아가페’와 ‘에로스’가 혼재한 물고기라는 상징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였을까 맺음말_ ‘피시 앤드 칩스’가 이 책에 등장하지 못한 이유 참고문헌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