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1조 시간’을 가진 새로운 대중의 탄생
1. 텔레비전을 보는 데 2000억 시간을 낭비하는 미국인들
2. 밀크셰이크 오류 - 사람들이 소셜 네트워크에 대해 오해하는 것들
3. 많아지면 달라진다 - 위키피디아 1만 개를 만들 수 있는 ‘1조 시간’의 위력
4.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실 두 가지
2장 수단: 왜 그들은 소셜 네트워크에 열광하는가
1. 왜 동방신기 팬들은 촛불 시위에 동참했는가
2. 낡은 생각에 집착하는 사람들 - 카풀 사이트를 고소한 버스 회사
3. 구텐베르크 경제학 - 아무나 쉽게 생산자가 될 수 없었던 시대
4. 전문가가 만든 책 vs 아마추어가 만든 책
5. 구텐베르크 이후의 경제학 - 누구나 쉽게 생산자가 될 수 있는 시대
6. 생산과 공유의 즐거움을 좇는 사람들
7. 소셜 네트워크가 가져온 충격
3장 동기: 그들이 돈도 안 되는 일에 시간을 쏟아붓는 이유
1. 스타를 위한 생일 선물이 자선 단체로 발전하기까지
2. 데시의 퍼즐 실험 - 돈을 줘야 행동한다는 오래된 착각
3. 그들을 움직이는 것 1 - 자율성과 유능성
4. 그들을 움직이는 것 2 - 멤버십과 관대함
5. 누구나 쉽게 수많은 사람을 모을 수 있는 세상
6. 해리 포터 팬픽션이 50만 개나 존재하는 이유
7. 그들을 이해하고 싶다면 질문을 바꿔라
4장 기회: 그들을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따로 있다
1. ‘인터넷으로 소통하는 노인들’이라는 기사의 함정
2. 놀라운 혁신을 이끌어내는 다수의 힘
3. 최후통첩 게임과 독재자 게임
4. 사람들은 언제 이기심을 버리는가
5. 아무 대가 없이 우리의 삶을 개선시키는 사람들
6. 냅스터의 교훈 - 사람들은 적절한 기회가 생기면 당연히 행동한다
7. 파키스탄 시민들은 왜 거리의 쓰레기를 치우기 시작했을까
5장 문화: 그들을 더 단단하게 연결하는 힘
1. 탁아소 실험 - 시장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있다
2. 보이지 않는 대학과 연금술사의 결정적 차이
3. 공유의 경제학 - 더 나은 지식을 얻기 위해 필요한 조건 네 가지
4. 누가 아마추어 문화를 무시하는가
5. 의사의 지식과 권위에 도전하는 환자
6장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1. 집단의 딜레마 - 공동의 목표와 개인의 만족이 공존할 수는 없을까
2. 어느 여성 히치하이커의 죽음
3. 놀이에서 정치까지, 소셜 네트워크 제대로 이해하기
4. 위험에 빠진 위키피디아 - 우리를 위협하는 것들에 대처하는 법
7장 변화는 이미 일어났다. 문제는 상상력이다
1.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는 20억 명이 연결된 세상
2. 혁명의 역설 - 예측이 불가능한 시대를 살아가는 법
3. 소셜 네트워크에서 성공하기 위한 조건
4. 모든 것을 시도하라
5. 변화는 이미 일어났다. 문제는 상상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