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발성의 원리
Ⅰ. 발성
1. 소리가 나는 원리
2. 성대와 후두의 구조 및 기능
3. 성대 진동의 원리: 베르누이의 효과와 성대의 탄성 회복 작용
4. 음(Pitch)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원리
5. 후두가 튀어나온 이유
6. 후두 위치의 중요성
Ⅱ. 호흡
1. 호흡의 원리
2. 호흡법의 종류
3. 가창 시 올바른 호흡법
4. 연습 방법
Ⅲ. 공명
1. 공명(Resonance)이란 무엇인가?
2. 성구(Vocal Register)란 무엇인가?
3. 성도(Vocal Track)와 공명강
4. 공명 기관 확장해 주기(Open Throat)
5. 공명의 감각 익히기
6. 목소리가 사람마다 다른 이유
7. 성악가와 일반 가수의 공명이 다른 이유
02_보이스(Voice)의 분류와 정의
Ⅰ. 진성과 가성
Ⅱ. 진성의 종류와 정의
1. 흉성/ 체스트 보이스(Chest Voice)
2. 중성/ 미들 보이스(Middle Voice)
3. 두성/ 헤드 보이스(Head Voice)
4. 플래절렛(Flageolet)/ 슈퍼 헤드 보이스(Super Head Voice)/ 휘슬 레지스터(Whistle Register)
Ⅲ. 가성/ 팔세토(Falsetto)
Ⅳ. 그 밖의 소리들
1. 보컬 프라이(Vocal Fry)
2. 위스퍼 보이스(Whisper Voice)
3. 허스키 보이스(Husky Voice)
4. 반 가성
5. 샤우트 보이스(Shout Voice)
6. 벨팅 보이스(Belting Voice)
7. 비음(Nasal Sound)/ 마스케라(Maschera)
8. 믹스 보이스(Mix Voice)
03_보컬 트레이너 그리고 보컬 트레이닝
Ⅰ. 보컬 트레이닝이란 무엇인가?
1. 노래를 잘한다는 것
2. 보컬 트레이닝의 정의
3. 보컬 트레이닝이 어려운 이유
4. 보컬 트레이너(Vocal Trainer)란?
5. 보컬 트레이너가 되려면?
6. 어떤 사람이 보컬 트레이너를 하면 좋을까?
7. 보컬 트레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것들
Ⅱ. 레슨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들
1. 시간 엄수하기
2. 관계 형성하기
3. 상태 파악하기
4. 질문에 답변하기
5. 차트 작성하기
6. 함께 목표 설정하기
7. 얼마나 오래 트레이닝을 받아야 할까?
8. 얼마나 자주 트레이닝을 받아야 할까?
9. 재능은 반드시 필요한 것인가?
10.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해결해주기
11. 수업 모니터하기
04_실전 보컬 트레이닝
Ⅰ. 싱어의 다섯 가지 발성 성향 구분하기
1. 성종(Voice Classification)별 대략적인 음역과 피치 브레이크 위치
2. 흉성만 사용하는 경우(Chest Only)
3. 가성으로 바뀌는 경우(Change to Falsetto)
4. 흉성이 없는 경우(Without Chest)
5. 성구 전환, 파사지오를 잘 하는 경우(Mix 혹은 Connect)
6. 일부분만 성구 전환을 하는 경우(Half Mix)
Ⅱ. 노래를 들어보며 장단점 및 개선점 파악하기
1. 목소리의 톤(Tone)과 음질은 어떠한가?
2. 올바른 발성법으로 소리를 내고 있는가?
3. 올바른 호흡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4. 정확한 피치로 노래하는가?
5. 정확한 박자와 리듬에 맞춰 노래하는가?
6. 셈여림은 어떠한가?
7. 트레몰로, 비브라토의 구사 능력은 어떠한가?
8. 시작하는 음과 끝나는 음의 처리가 자연스러운가?
9. 노래의 다이내믹(Dynamic)이 느껴지는가?
10. 프레이즈(Phrase) 연결 능력은 어떠한가?
11. 발음(Diction)은 어떠한가?
12. 곡 해석 및 표현 능력은 어떠한가?
13. 감정 이입이나 몰입도는 어떠한가?
14. 표정이나 무대 매너, 액팅(Acting)은 어떠한가?
15. 존재감(Presence)이 느껴지는가?
Ⅲ. 발성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1. 공기 반, 소리 반
2. 발성 vs 스타일
3. 피치 브레이크(Pitch Break)
4. 성구 전환 vs 파사지오 테크닉
5. 자음과 모음을 발성에 적용하는 원리
6. 어택의 정의와 종류
7. 처음 중성과 두성을 사용할 때 가성이라고 오해하는 이유
Ⅳ. 발성 성향에 따른 트레이닝 방법
1. 흉성만 사용하는 경우(Chest Only)
2. 가성으로 바뀌는 경우(Change to Falsetto)
3. 흉성이 없는 경우(Without Chest)
4. 성구 전환, 파사지오를 잘 하는 경우(Mix 혹은 Connect)
5. 일부분만 성구 전환을 하는 경우(Half Mix)
6. 발성 성향에 따른 트레이닝 시 주의할 점
Ⅴ. 음치의 종류와 음감을 키우는 방법
1. 음감이 부족한 경우
2. 성대 조절 능력이 부족한 경우
3. 공명 감각이 부족한 경우
4. 호흡을 안정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Ⅵ. 비브라토(Vibrato) 마스터하기
1. 바이브레이션(Vibration) vs 비브라토(Vibrato)
2. 비브라토의 종류 및 특징
3. 노래에 비브라토 적용하기
4. 다양한 비브라토의 연습 방법
Ⅶ. 곡 카피(Copy)를 위한 음악 듣는 방법
1. 카피(Copy)란 무엇인가?
2. 악기별(보컬 포함)로 들으면서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 파악하기
3. 악보를 기반으로 정확히 체크하기
4. 곡이 진행되는 순서 파악하기(Song Form)
5. 각 성구의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