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저자서문 13 입오入悟―구약의 세계, 신약의 세계, 나의 탐색역정 바울과의 해후 17 낙향, 삶의 최초의 좌절 19 천안 대흥동 231번지 바이블 클래스 21 함석헌 선생과 나의 장형 김용준 22 교학상장, 눈물겨운 새벽강론 25 허혁 선생님, 불트만과의 만남 27 예수가 유대인일까? 29 이스라엘왕국과 유다왕국 31 북조와 남조의 멸망 34 바빌론 유수의 실상 37 메시아 고레스의 등장 41 바빌론이라는 원점 43 계약의 구체적 의미 45 이스라엘민족과 유일신관 47 스피노자의 신즉자연론, 헤노테이즘, 모노래트리 52 유일신론은 존재하지 않는다: 유일관계의 계약이 있을 뿐 54 비브리칼 히스토리는 역사가 아니다 56 유일신관의 채택: 바빌론 원점의 정치적 전략 59 텅 빈 예루살렘과 토라의 출현 61 E문서, J문서, P문서, D문서 66 근동문명의 총화로서의 바빌론과 유대전승 68 바빌론 유대인 지도자들의 문제의식:반복되는 이야기 패턴 70 바빌론유수와 시온주의, 그리고 예루살렘 74 바빌론 기슭, 거기에 앉아 시온을 생각한다 75 바빌로니아제국과 아캐메니드제국 77 바빌론유수 생존전략: 예레미야의 권고 82 칼 맑스의 유대인 문제 88 고레스 칙령 이후의 유대인들의 행방 90 페르시아의 다리우스대제 92 페르시아제국의 쇠퇴와 아테네의 흥기 95 델로스동맹과 페리클레스의 등장 99 페리클레스 전성시기와 데모크라티아 104 뮈토스와 로고스, 듣는 문명과 보는 문명 108 페리클레스의 죽음 110 아리스토파네스의 섹스파업 111 소피스트의 시대 115 디오니소스 축제, 희랍비극의 주제 119 희랍비극이 말하는 운명이란 무엇인가? 123 소크라테스의 죽음 126 소크라테스, 과연 그는 누구인가? 129 소크라테스가 살었던 시대 132 소크라테스 재판의 정치사적 맥락 138 소크라테스는 과연 반민주주의 사상가인가? 143 크세노폰이 기술하는 소크라테스 145 소크라테스 최후진술의 허구성 150 등에와 무지의 자각 153 법정죄목에 숨어있는 소크라테스의 진실 156 공자의 앎과 소크라테스의 앎 158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리를! 160 예수와 소크라테스 164 예수, 과연 그는 누구인가? 166 입오의 줄거리 168 바울의 예수, 야고보의 예수, 플라톤의 소크라테스 170 플라톤이라는 반민주주의 사상가 174 아리스토텔레스라는 인물 177 아리스토텔레스와 알렉산더 180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토마스 아퀴나스까지 183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와 남인 기독교 185 플라톤과 바울 188 알렉산더 대제 이후의 세계, 클레오파트라의 자살 189 그리심산과 사마리아 정통주의 192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의 예루살렘 성전파괴, 하스모니아 왕국의 성립 197 역사적 예수의 역사 199 불트만의 비신화화 201 신화란 무엇인가? 205 칼 바르트는 과연 어떤 사람인가? 209 브루탈 팩트 213 불트만의 케리그마 216 예수와 말씀 219 독일어라고 하는 질병, 독일신학의 문제점 221 한국말 신학: 포괄적 인문학지평 225 갈릴리 지평위의 예수 226 나의 최종적 견해 229 바울이냐, 예수냐 234 천안에서 내가 만난 바울 236 바울, 삶의 고뇌 240 바울의 육체 속의 가시, 그 정체 243 내가 약할 그 때에 곧 강함이니라 245 존재의 겸손, 탄핵의 역정 속에서 248 십자가의 의미 251 나는 종교혁명을 원한다 253 로마서강해The Letter of Paul to the Romans , 바울은 누구인가 259 309 314 320 334 348 358 366 384 388 393 399 410 420 424 426 431 442 446 448 <롬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