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1. 박노자 - 복제된 오리엔탈리즘과 한국의 근대 전근대적이라는 말의 함정 한국식 '접대문화'의 기원 열린 민족주의는 가능한가 중심부와 주변부 사이, 한국사회의 대안 환경문제와 자본주의의 미래 복제된 오리엔탈리즘 우리가 꿈꾸는 아름다운 세상 2. 한홍구 - 좌절의 역사, 희망의 역사 "묻지 마 다쳐" 금기의 현대사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베트남 파병이라는 안 좋은 추억 누구를 위한 국익인가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대한민국 사병은 거지인가 아프냐, 나도 아프다 함께 하는 삶의 즐거움 3. 홍세화 - 한국사회에서 진보적으로 산다는 것 반공화주의자의 뿌리 존재를 배반하는 의식화 공화국의 의미 교육을 통한 신분 상승이라는 허상 건강한 보수의 의미 진보적 삶의 가치 경쟁과 물신주의 대신 연대의식을 우리 사회의 지식인 존재의 미학을 위하여 4. 하종강 - 너희가 노동문제를 아느냐 노동문제는 과연 소수의 문제인가 우리들의 노동법 호러영화의 주인공, 한국의 직장인들 노동조합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정상적인 사회가 가지고 있어야 할 법과 제도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본주의 우리 시대의 노동자 파업은 노동자의 소중한 권리 진보의 속도 수용할 것인가 극복할 것인가 가치 있는 삶, 차별 없는 노동을 위하여 5. 정문태 - 전선 취재 17년의 비망록 전쟁터에 들여놓은 첫발 종군기자, 혈액형 'G'인 사람들 종군기자라는 말은 과연 옳은가 전쟁 취재의 문제점 전시 언론의 역사 - 1854년 크림전쟁에서 한국전쟁까지 전쟁 보도사의 기적 베트남전쟁 통제를 뛰어넘는 전쟁 취재를 위해 전쟁과 한국 언론 전선에서 만난 사람들 평화와 전쟁기자의 역할 6. 오지혜 - 시대의 무당, 딴따라를 말한다 우리 시대의 무당, 연예인 연예인은 생각이 없다는 편견을 버려 연예인의 사회적 영향력 우리 대중문화의 미래 7. 다우드 쿠탑 - '살람' 평화로 가는 길 팔레스타인은 '국가'의 문제다 이스라엘의 점령에 반대한다 팔레스타인 바로 알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관계 '살람' 평화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