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서론 상반되는 이론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상반되는 이론들 상반되는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1장 유교 : 성인(聖人)들의 도리(道理)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진단 이후의 발전 비판적 토론 더 읽을 거리 제2장 우파니샤드 힌두교 : 궁극적인 지식을 향한 추구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진단 처방 서로 다른 해석들 샹카라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 라마누자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비판적 토론 더 읽을 거리 제3장 성서 : 하느님과 관계된 인간 형이상학적 배경 : 유대-기독교적 개념에서의 하느님 인간의 본성에 관한 히브리의 이론 진단: 인간의 불복종 처방: 하느님의 언약과 회복 신약성서 신약성서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 진단: 죄에 대한 신약성서의 견해 처방: 예수를 통한 하느님의 구원 기독교의 영적인 부분과 초자연적인 부분 더 읽을 거리 제4장 플라톤 : 이성의 지배 플라톤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적 배경: 형상의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영혼의 세가지 구조 진단: 영혼과 사회간의 부조화 처방: 철인군주의 교육과 지배를 통한 영혼과 사회간의 조화 더 읽을 거리 제5장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의 완성이라는 이상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적 배경: 성질로서의 형상, 그리고 네가지 질문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이성을 포함한 여러 능력의 집합체인 영혼 이상과 진단: 인간의 완성, 덕과 악,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지혜 깨달음, 혹은 처방 : 정치적 숙련과 지적 관조 더 읽을 거리 사상사적 간주곡 플라톤 이후의 고대 사상 : 철학은 과연 어떤 인생 지침을 제공하는가? 스토아 학파 / 에피쿠로스 학파 / 신플라톤주의 중세: 신앙에서 이성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아우구스티누스(354-430) / 이슬람 철학자들 / 아퀴나스(1224-1274) 종교개혁: 신앙의 권위를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 과학의 발전 : 어떻게 과학적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까? 홉스(1588-1679) / 데카르트(1596-1950) / 스피노자(1632-1677) 계몽주의: 과학이 우리 삶의 지침이 될 수 있는가? 흄(1711-1776) / 루소(1712-1778) / 콩도르세(1743-1794) 제6장 칸트 : 이유와 원인, 역사와 종교 칸트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과 지식의 한계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지각과 개념, 이유와 원인과 자유의지 진단: 이기심과 사회 처방: 순수한 종교와 문화적 발전 더 읽을 거리 제7장 마르크스 : 인간 사회의 경제적 기반 마르크스의 생애와 저술 역사적 유물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경제학, 사회, 그리고 의식 진단: 소외, 자본주의, 그리고 착취 처방: 혁명과 유토피아 더 읽을 거리 제8장 프로이트 : 정신의 무의식적 기반 프로이트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적 배경 : 신경학, 결정론, 그리고 유물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정신적 결정론, 무의식, 본능, 그리고 아동발달 진단: 정신적 부조화, 억압, 그리고 신경증 처방: 정신분석 요법 비판적 논의: 프로이트는 사이비 과학자인가? 비판적 논의: 도덕론자로서의 프로이트 더 읽을 거리 제9장 사르트르 : 근본적인 자유 사르트르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 : 의식과 대상, 무신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존재와 본질, 부정과 자유 진단 : 불안과 불성실, 타인과의 갈등 방 : 반성적인 선택 "제1윤리학" : 만인을 위한 본래성과 자유 "제2윤리학" : 사회와 인간의 욕구 더 읽을 거리 제10장 인간의 본성에 관한 다윈주의 이론 진화론 다윈의 자연선택론 / 진보인가, 진보가 아닌가? / 유신론자인가, 무신자인가? 진화론에 의거한 인간의 본성 뒤르켐과 표준 사회과학 모델 / 스키너와 행동주의 / 촘스키와 인지심리학 / 틴버겐과 동물행동학 / 윌슨과 사회생물학 / 사회생물학에 대한 반박 / 투비와 코스미데스 : 통합적 인과 모델 진화론에 의거한 진단과 처방 스키너 : 행동 기술에 관하여 / 로렌츠 : 인간의 공격성에 관하여 / "생물학적 결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