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게모니의 미래

Social Science
456p
Where to buy
Rate
2.0
Average Rating
(1)
지난 30여 년의 국제정치를 분석하고 미·중의 헤게모니 경쟁 속에서 불확실성이 점증하는 미래에 헤게모니 변방국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 지침서이다. 트윗이 일상화된 오늘날의 국제정치 시계에서 30여 년은 너무나 긴 시간이다. 과연 그러한 시간 속의 국제정치가 오늘과 내일의 국제정치에 어떤 함의를 가질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 긴 시간 속에서 흘러나온 국제정치 변화의 조그마한 부분이라도 제대로 짚어 낼 수 있다면 오늘의 트윗 속도처럼 변해가는 국제정치의 흐름을 잡아 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Table of Contents

서문 5 제1장 탈냉전의 미지의 세계 11 제2장 새로운 국제정치 담론과 국가 43 제3장 민주평화가 대안인가? 85 제4장 북한 붕괴론의 허와 실 119 제5장 현실주의 대논쟁과 그 이후 159 제6장 동북아 국제질서의 불완전한 변환 201 제7장 북한 핵문제 재조명: 정치한 억제전략 251 제8장 사드THAAD의 국제정치학 295 제9장 빅딜big deal과 미·북 핵협상 335 제10장 헤게모니의 미래 371 주 419 참고문헌 455

Description

헤게모니 변방국 한국의 대안은 무엇인가? 한 치의 물러섬도 없는 미·중 간의 헤게모니 경쟁 속에서 한국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탈냉전 이후 전개된 국제정치는 미래의 동아시아에 어떠한 나침반이 될 것인가? 이 책은 지난 30여 년의 국제정치를 분석하고 미·중의 헤게모니 경쟁 속에서 불확실성이 점증하는 미래에 헤게모니 변방국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 지침서이다. 트윗이 일상화된 오늘날의 국제정치 시계에서 30여 년은 너무나 긴 시간이다. 과연 그러한 시간 속의 국제정치가 오늘과 내일의 국제정치에 어떤 함의를 가질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 긴 시간 속에서 흘러나온 국제정치 변화의 조그마한 부분이라도 제대로 짚어 낼 수 있다면 오늘의 트윗 속도처럼 변해가는 국제정치의 흐름을 잡아 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