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인간의 마음은 무엇으로 채워져 있을까?
→ 프로이트, 아들러, 융의 정신분석
나도 내 마음을 잘 모르겠어 「사랑손님과 어머니」 _ 주요섭
◆ 불안을 극복하는 방어기제에는 뭐가 있을까? 지그문트 프로이트
못난 나를 어쩌면 좋을까? 「위대한 개츠비」 _ 스콧 피츠제럴드
◆ 생활양식과 출생 순위는 성격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알프레드 아들러
내 안에 또 다른 내가 있다면 「주홍글자」 _ 너새니얼 호손
◆ 어떻게 건강한 정신, 온전한 자기를 이뤄낼 수 있을까? 카를 융
2부 나를 이해하는 시간
→ 스키너, 로저스, 엘리스의 심리학
나의 행동을 이루는 것들 「멋진 신세계」 _ 올더스 헉슬리
◆ 나도 모르게 부적절한 생각이나 행동을 하고 있다면? 버러스 스키너
우리에게는 뽀루뚜가가 필요하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_ J. M. 데 바스콘셀로스
◆ 자꾸만 남 눈치만 보는 나, 어쩌면 좋을까? 칼 로저스
고통? 마음먹기 나름이지! 「페스트」 _ 알베르 카뮈
◆ 멍든 기억, 그만 떨쳐낼 방법은 없는 걸까? 앨버트 엘리스
3부 가족은 어째서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걸까?
→ 애착과 자아분화, 그리고 착한 아이 콤플렉스
어째서 폭력성을 띠게 되었을까 「폭풍의 언덕」 _ 에밀리 브론테
◆ 애착은 어떻게 형성될까? 존 볼비
제발 홀로 서게 도와줘! 「엄마의 말뚝」 _ 박완서
◆ 우리 가족은 얼마나 분화되어 있을까? 머레이 보웬
지나치게 착한 행동, 괜찮은 걸까? 「변신」 _ 프란츠 카프카
◆ 상처받은 내면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존 브래드쇼
4부 이게 다 성격 때문이야
→ 성격장애와 번아웃 증후군
어쩌다 은둔형 외톨이가 되었을까? 「좁은 문」 _ 앙드레 지드
◆ 기이하고 독특한 A군 성격장애 그녀의 비극은 무엇 때문일까?
잘난 척, 멈출 수 없는 걸까? 「파우스트」 _ 괴테
◆ 극단적으로 불안정한 B군 성격장애 사이코패스, 죄책감이 뭔데?
너밖에 모르는 너를 어쩌면 좋을까? 「태평천하」 _ 채만식
◆ 불안과 두려움에 휩싸인 C군 성격장애 낮은 자존감이 불안의 원인이라고?
그렇게 안 하고 싶습니다 「필경사 바틀비」 _ 허먼 멜빌
◆ 번아웃의 씨앗, 일중독
5부 나의 친애하는 나에게
→ 몰입과 그릿, 긍정심리학
끈기와 열정이 몰입을 부른다 「노인과 바다」 _ 어니스트 헤밍웨이
◆ 끈기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사랑의 감정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 「부활」 _ 레프 톨스토이
◆ 친밀감은 어떻게 만들어질까?